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작성자 : 관리자 등록일 : 2016-12-15 조회수 : 1216



2016 러시아 시베리아 신발, 가방, 악세서리 전시회


   


 


전시회의 특징


2016년 3월 10일부터 3월 12일까지 노보시비르스크 엑스포센터 B홀에서 열린 동 전시회는 2011년에 시작되어 6번째 개최되었습니다. 여성 신발, 남성 신발, 아동용 신발, 스포츠 신발 (등산화, 운동화 등), 슬리퍼, 특수목적용 정형외과 신발, 가죽 제품 (핸드백, 벨트, 가방)등이 전시되었으며, 눈은 많이 오지만 배수시설이 잘되어있지 않은 시베리아의 특성을 반영한 방수제품이 소개되었습니다.



▲ 방수제품을 소개한 HYDROP(러시아)사



■ 전시관 구성



▲ 박람회장 배치도는 위와 같으며, 참가기업 리스트는 동 박람회의 홈페이지 sibshoes.ru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참가국 및 경쟁국 참가 현황


64개 업체중 독일3, 이탈리아 1, 중국 2개 업체를 제외하면 모두 러시아 업체였으며, 중국 생산, 브라질 생산, 이탈리아 생산 제품이 다수였습니다.



▲ 큰 인기를 끌었던 부스는 겨울부츠를 선보인 Franesco Donni(러시아)사와 Baden(러시아)사였습니다. 다른 업체보다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관람객들을 불러모았습니다.



■ 전시회 참가 종합평가


풍선 등으로 아기자기하게 전시장을 꾸며놨으며, 각 부스의 크기가 넓어서 관람객들이 부스 안에서 여러개의 신발을 비교하고 신어볼 수 있었습니다.



○ 디자인이 경쟁력인 제품들 전시의 특성 상 사진 촬영을 금하는 부스도 있었습니다.



신발, 가방, 악세서리 전시회지만 대부분의 부스는 신발 업체였습니다. 업체명만 있을 뿐 어떤 종류의 신발을 다루는지 표기해놓지 않았고 카탈로그도 구비해놓지 않은 업체가 많아 파악하기 어려웠습니다.



가격표시도 유로, 루블, 달러 등으로 표기하면서 통일되어 있지 않았고, 참가업체 중 3분의 1은 가격표가 붙어 있지 않아 직접 물어봐야 했습니다. 대부분 겨울용 롱부츠였으며, 제품디자인이 다양하지 않아 이목을 끄는 부스가 없었다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 전시장 전경


러시아 신발시장 동향



○ 러시아 신발시장은 연간 200억 달러 규모로 추산되는데, 15~20%를 차지하는 고가시장과 50~60% 비중의 중저가 시장으로 크게 구분됨.


- 중저가 신발의 가격대는 3000~7000루블(약 11만~20만 원)대로 정의할 수 있음.



○ 5년 전까지만 해도 고가시장은 Ecco, Corso Como, Econika, Carlo Pazolini, Moscotte 등의 유명 신발메이커가 다수의 체인점을 통해 시장을 주도하고, 중저가시장은 약 3~5개 내외의 점포를 보유한 중소형 신발 유통업체가 대부분이었음.



○ 그러나 4년 전부터 Tsentrobuy(center-obuv.ru), Kari(kari.com), Obuv(obuv.com) 사 등의 대대적인 투자로 한 해 100개의 신발 전문상점이 생겨나는 등 전문 신발체인점이 크게 팽창함.



○ Obuvy Rossii 사의 Mr. Anton Titov 사장은 러시아 신발시장의 성장을 연평균 10%로 예상하며, 대형업체의 중소업체 인수와 지방으로의 점포 확대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함.



○ 시베리아 시장의 주요 신발업체로는 Okcanna사, Obuvy Rossii 사, Kari사가 있으며, Obuvy Rossii 사, Kari사에 비해 Okcanna사의 가격대가 높은 편임.



○ 한편, 다양한 가격과 디자인 그리고 브랜드 요소가 있는 신발시장의 특성상 3~4개의 대형업체가 시장을 모두 좌우하는 것은 어렵다고 전망함. 그 근거로 미국과 독일 역시 대규모 신발업체가 각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최대 10~12%라고 언급함.



○ 러시아 신발시장으로의 수출 확대 노력 필요


- 러시아 신발시장은 식품, 의류와 함께 유망 소매시장의 하나로 시장규모는 연 10%대의 고성장이 예상됨.


- 반면, 우리나라 신발 제조업체의 우수한 경쟁력에도 대러시아 신발 수출은 저조한 상황으로 우리 기업의 수출확대 노력이 필요함.



○ 가격경쟁력의 유지와 브랜드화 필요


- 우리나라 신발산업 기업의 경쟁력 등을 고려할 때 러시아 중저가 신발시장으로의 시장 개척이 적합함.


- 중저가 시장은 가격경쟁력이 중요 요소이기는 하지만, 최근 브랜드 가치를 중요시 하는 러시아 소비자들의 동향을 고려할 때 브랜드화 제고 노력이 필요



출처 : KOTRA 글로벌윈도우 모스크바 무역관 “확대하는 러시아 신발시장, 지금이 기회다"


및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 자체자료


 



■ 입장료


-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초대권을 반드시 지참해야 합니다.


홈페이지(sibshoes.ru)에서 E-ticket 발급시 무료입장 가능합니다.




자료원: sibshoes.ru 및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 자체자료​,코트라

목록보기 인쇄하기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