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작성자 : 관리자 등록일 : 2016-12-20 조회수 : 1181



 



2016 홍콩 국제 춘계 조명전시회


Hong Kong International Lighting Fair 2016 (Spring Edition)


 



2016 홍콩 국제 춘계 조명전시회 개최


 


_x510523120_x510523520




이번 전시회는 201646일부터 49일까지 총 4일간 홍콩전시컨벤션센터(HKCEC)에서 홍콩무역발전국(HKTDC)의 주관 하에 개최되었다. 전 세계 각지의 업계종사자들이 참여하는 무역전시회로, 2015년 참가업체는 1,250개사를 넘겨 역대 최고기록을 경신하였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조명시장의 핵심 상품인 LED 제품과 최근 트렌드인 스마트라이팅 제품들이 중점적으로 선보였다.




전시관구성



_x510464528



본 전시회는 홍콩전시컨벤션센터의 1Hall 1A-E, 3Hall 3B-E에서 개최되었다. 고급 디자인, 컨템퍼러리 제품, 클래식 제품에 쓰이는 브랜드 조명제품들은 1Hall 1C-E에 위치한 'Hall Of Aurora' 테마관에 전시되었다. LED 조명등은 실내와 실외로 나누어져 전시되었다. LED Indoor 조명등은 Hall 3C-E, LED Outdoor 조명등은 Hall 3B-C에 위치하여 바이어들을 맞이하였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Guangdong Jiangmen LEDZhongshan Semiconductor Lighting Industry Association, 두 개의 단체관이 설치되었다.



 


 


참가 한국 업체




DooYoung T&S Corporation












- 부스 : 1B-D21


- 주요품목 : High-powered LED lighting 등 세라믹 조명등


- 제품특징 : 특허기술을 가진 세라믹 등으로 가격대는 높은 편이나 인기가 꾸준함


- 인터뷰 : "프랑크푸르트 조명건축전시회, 광저우 칸톤 페어에 참여 한 후 이곳 홍콩 조명전에 참가하였다. 추계 조명전보다 규모가 작다는 것은 알지만, 홍콩 전시회에서는 유력한 바이어들을 많이 만날 수 있어서 참가하였다. 중동 시장을 노리고 있기 때문에 중동 출신 바이어들을 타겟팅하고 있다. 이곳은 바이어의 수준도 높고 전시회장 분위기도 좋은 편이다. 다만 일방적으로 정보요청을 하거나 소량의 샘플만 주문하여 제품을 카피하고자 하는 중국 업체들이 있다. 하지만, 전시회에 참가하는 이상 어쩔 수 없는 부분이므로 각별히 주의하고 있다."



I2M Co., Ltd


 








 




 - 부스 : 1B-E07


- 홈페이지 : www.i2m.kr


- 주요품목 : 트랜스포밍 LED 조명등


- 제품특징 : 손으로 터치를 하면 프라스틱 재질의 등 부분의 형태가 변화함


- 인터뷰 : "작년 추계 조명전에 참여하여 많은 관심을 받아 결과가 좋았기 때문에 올해 춘계 조명전에도 참여하였다. 한국에서는 가습기 제품이 인기가 가장 많지만, 홍콩 시장에서는 날씨 여건상 가습기 보다는 조명등이 인기가 많은 편이다. 아직 연구개발 중인 시제품을 전시하였는데, 반응이 매우 좋아 이후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올해 추계 조명전도 참가계획 중이다."  





주목을 끄는 부대행사



스마트라이팅 전시장


_x510474208_x510433256




스마트폰, 전자디바이스 등에 의해 컨트롤되는 스마트라이팅은 현재 조명시장의 최신 트렌드이다. 그래서 주최측은 스마트라이팅 제품만을 위한 전시공간을 따로 마련하였다. 현장에서 직접 제품을 체험해 볼 수 있어 현재 스마트라이팅의 기술이 어느정도까지인지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전시장 뿐 만 아니라 곳곳에서 스마트라이팅 제품을 홍보하는 부스가 눈에 띠었다




업계종사자가 진행하는 Buyer Forum


_x510437976_x510438376




전기간 중 총 3회의 바이어포럼이 진행되었다. 각각 주제는 ‘Business Opportunities in the European Markets’, 'Business Opportunities in Belt and Road Markets', 'Business Opportunities in the Chinese Markets'으로 전 세계 조명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또 어쩐 기회를 잡아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이었다. 모든 포럼은 중국어(보통화)와 영어로 동시에 진행되었다. 청중들은 강연자의 연설을 열심히 들으며 필기를 하거나, 끝난 후에는 질문을 하는 열성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유사한 전시회 살펴보기



(1) 프랑크푸르트 조명건축 박람회 2016


(2) 라스베가스 조명박람회 2016


(3) 2016 광저우 국제 조명 전시회
 



전시회 참가 종합 평가




홍콩의 조명제품 수출 총액은 201410,638 백만 홍콩달러(한화 15800)로 그 규모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생산비 절감을 위하여 공장을 중국과 동남아시아로 이전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수출업자와 수입업자는 홍콩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중국대륙, 한국 뿐 만 아니라 인도, 중동 국가 등 지리적으로 거리가 가까운 곳의 바이어들이 많이 방문하기 때문에 바이어 및 참가사들의 국적도 매우 다양한 편이다. 때문에 4월의 춘계, 10월의 추계로 나뉘어 1년에 두 번 개최되며, 두 행사 모두 인지도가 매우 높다. 이번 전시회의 참가 업체는 대부분이 중국 업체였다. 홍콩 및 아시아 시장의 조명시장은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심한 편이다. 다른 국가의 제품들에 비하여 가격 면에서 경쟁력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제품들은 특허나 상표문제, 제품 하자, 짧은 수명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전시회와 같은 조명전문 전시회에 참가하여 조명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새로운 바이어를 발굴하여 중국 제품과 맞설 수 있는 경쟁력을 찾는 것도 좋은 방법 일 것이다.


 


 



출처: KOTRA 홍콩무역관


사진: KOTRA 홍콩무역관 직접촬영


목록보기 인쇄하기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