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2016 카자흐스탄 국제 안전 박람회
<ATAKENT 전시센터 구조>
ㅇ 알마티 ATAKENT 전시센터 내 전시장 9A,B동에서 개최된 2016 카자흐스탄 국제 안전 박람회는
다음 6개 섹션으로 구성되었음.
- Security(보안)
- Protection(보호)
- Recue(구조)
- Fire safety(소방안전)
- IT Security(정보보안)
- Weapons&Self-Defence equipments(호신용품)
ㅁ 전시회 참가업체 및 참관 바이어 현황
ㅇ 대부분의 참가업체는 카자흐스탄과 러시아 업체였으며 중국 업체도
간혹 눈에 띄었음.
ㅇ 바이어 역시 카자흐스탄, 러시아를 비롯한 CIS 국가 공급선이 주를 이룸.
ㅁ 바이어들의 인기를 끌었던 품목 또는 주요 전시 품목
ㅇ Security(보안) 섹션 중 CCTV가 가장 인기 있는 품목이었음
- CCTV의 경우 정부기관, 은행, 에너지 관련 기업, 부유층 개인 주택 등 다양한 곳에서 수요를
보이고 있음
- 이 중 석유관련 기업체의 경우 화재경보에 대한 수요 역시 매우 높음
ㅇ Fire safety(소방안전) 섹션 역시 인기가 높았음
- 현재 카자흐스탄은 공공서비스 분야의 낙후된 장비, 시설을 개선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 장비에 대한 수요가 상승하는 추세.
ㅁ 참가업체 부스 트랜드 및 특징 있는 부스 형태/디자인
<전시장 내 각종 대형 부스>
ㅇ 전시장 규모에 비해 대형 부스가 많아 각종 보안 장비들을 실제로 테스트하기 용이했음.
출입 통제 시스템을 취급하는 몇 업체의 경우 상담 테이블을 장비 안쪽에 배치하여 바이어가
시스템의 성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부스를 마련함.
ㅁ 전시품목의 향후 시장 전망
ㅇ 아직까지 카자흐스탄 내 보안장비 생산은 수입량에 비해 저조하기 때문에 한국 업체들 역시
현지 시장진출의 기회를 잡을 수 있음.
- 내수생산만으로 수요를 충당하기엔 생산 시설도 부족할뿐더러 기술 역시 수입 제품에 미치지
못함.
- 현지 생산품일지라도 내부 부품은 수입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
ㅇ 현재 시장은 저가의 중국, 러시아 제품과 고가의 유럽 제품으로 양분화 되어 있음
- 높은 품질이되, 유럽 제품에 비해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한다면 한국에 대한 현지인의 긍정적인
이미지에 힘입어 빠르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그러나 여타 분야와 마찬가지로 운송비와 기간 측면에서 중국, 러시아산 제품과의 경쟁이 어려
움을 인지, 현지 조립방식을 택하는 등 적절한 대책 마련이 필요함.
출처원 : 코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