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인도 제지산업 박람회(Paperex South India 2016)
- 연 7%의 성장률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인도 제지산업 -
- 한국 포함 외국기업에 엄청난 수출 기회될 것 –
- Paperex South India 개요 및 전시회 특징
ㅇ 홀수연도에 격년으로 열리는 Paperex India(2015년 기준 12회 개최)의 연장선상에서 남인도 공급업체에 더 많은 글로벌 바이어 발굴 기회를 제공하고
해외기업에 인도 진출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Paperex India가 개최되지 않는 짝수연도에 격년으로 개최됨.
ㅇ IARPMA(Indian Agro & Recycled Paper Mills Association), WPF(World Paper Forum) 등에서 후원하고 남인도 중소 규모업체 및 중국, 독일, 말레이시
아 등 14개국 업체 참가
ㅇ 외국업체 중 중국 업체 수가 16 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유일하게 국가관 별도 설치
ㅇ 한국 기업으로는 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1개 업체가 참가했음. 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은 현재 델리 에이전트를 통해 마케팅 및 수출을 하고 있고,
52개 제지 공장을 고객사로 두고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남인도 지역 진출을 위해 본 전시회에 참가했다고 인터뷰 함.
(좌) 설치된 중국관 모습 / (우) 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부스
ㅇ 아래와 같이 이틀 간 총 5개 세션, 19번의 강연으로 컨퍼런스가 개최됨.
□ 인도 제지산업 현황
ㅇ 인도의 제지시장은 현재 7%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며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꾸준히 4% 이상 성장세를 이어나갈 전망
- 경제 성장의 추세에 비례하여 종이 사용량도 늘어나는 추세
- 인도 제지 산업은 세계 전체 제지 생산량의 3% 차지
- 인도 제지 산업은 직접고용 50만명, 간접고용 150만명을 창출하고 있음.
- 인도 현지 JK Paper사의 MD인 Harsh Pati Singhania에 따르면, 늘어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관련 업계에서 2030년까지 약 130억 달러를 투자
해야한다고 보고 있음
ㅇ 인도의 평균 1인당 종이 소비량은 약 11kg으로 엄청난 성장 가능성이 있음
- 아시아 지역 1인당 평균 종이 소비량 26kg, 전세계 1인당 평균 종이 소비량 56kg
- 1인당 1kg의 종이 사용량 증가가 100만 톤의 수요 증가로 이어질 전망
ㅇ 성장 요인
- 교육 수준 증가, 늘어나는 식자율
- 컴퓨터 사용 인구 증가, ATM 기계 등의 증대
- 늘어나는 중산층으로 인한 고급 일용소비재(Fast-Moving Consumer Goods, FMCG) 포장에 대한 수요 증가(복합쇼핑몰, 헬스케어 지출 및 처방전 없
이 살 수 있는 의약품 증가, 인스턴트 식품 선호도 증가 등이 주요 원인)
- 이 산업은 전체 경기 성장에서도 긍정적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사람들의 생활 수준을 높이는 촉매제 역할을 함.
ㅇ 국내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기 시작
- 현재 인도 제지산업의 목재 소비량은 연간 약 1,310만 톤(Tonnes Per Annum, TPA)인데 반해 이용 가능량은 약 1,138만 톤임.
- 이 수요는 2020년까지 약 2,000만 TPA까지 오를 것
- 제지 산업의 광범위하게 농가임업의 형태로 식목을 하고 있어 2,3년 내에 공급량 부족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으나 단기간에 해
결되기 어렵다는 것이 다수의 의견임.
- 약 750~800개의 인도 제지 업체(전통시장 포함) 중 원재료 부족과 외국 기업과의 경쟁으로 인해 수많은 소규모 업체들이 사업을 중단하고 있으며,
대기업 및 중견기업들도 가까스로 원자재를 확보하고 있는 상태
□ 수출입 현황
ㅇ 국내 원료 부족으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상대적으로 저렴한 수입 업체들에 의해 가격 압박을 받고 있음.
- 수출량은 연평균 4억4472만 달러이며 수입량은 평균 11억2494만 달러임. (1996년~2016년 10월 기준)
- 인도-아세안 FTA, 한-인도 CEPA와 같은 협정을 통한 관세 혜택으로 외국기업들의 시장 점유율 확대 추세
2015년 인도의 제지, 펄프산업 수출입 동향
ㅇ 인도 제지산업 수입총액 기준 국가별 순위
- 누적 수입액 (2014년 1월~2016년 10월) 기준 홍콩이 19억8900만 달러로 1위, 미국이 14억7,400만 달러로 2위, 중국이 9억9,300만 달러로 3위, 독일이 5억
3,200만 달러로 4위를 차지하며 한국은 3억 3,200만 달러로 7위를 기록
ㅇ 한국의 대인도 관련 제품 수출 현황
- 특히나 한국의 경우 현재 CEPA로 인한 특혜관세로 기본 관세 0~6% 적용되며, 2017년부터 기본관세 0%의 특혜관세가 적용됨.
- 2016년 1~3분기까지 한국은 인도에 지와 판지, 제지용 펄프 225백만 달러를 수출, 한국의 대인도 수출 품목 중 10위를 차지함.
즉, 최근 인도의 교육 수준 증가, 늘어나는 식자율, 컴퓨터 사용 인구 증가 및 ATM 기계 등의 증대로 인도의 제지 시장은 현재 7%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
으며, 인도의 평균 1인당 종이 소비량은 약 11kg로 엄청난 성장가능성이 있다. 인도- 아세안 FTA, 한-인도 CEPA와 같은 협정을 통한 관세 혜택으로 외국기업
들의 시장 점유율이 확대 추세인만큼, 인도에서의 제지산업은 전도유망함.
하지만, 약 750~800개의 인도 제지 업체(전통시장 포함) 중 원재료 부족과 외국 기업과의 경쟁으로 인해 많은 소규모 업체들이 사업을 중단하고 있고, 대기업
및 중견기업들도 가까스로 원자재를 확보하고 있어 어려움이 따를 것임
ㅇ 한국의 대인도 관련 제품 수출 현황
- 특히나 한국의 경우 현재 CEPA로 인한 특혜관세로 기본 관세 0~6% 적용되며, 2017년부터 기본관세 0%의 특혜관세가 적용됨.
- 2016년 1~3분기까지 한국은 인도에 지와 판지, 제지용 펄프 225백만 달러를 수출, 한국의 대인도 수출 품목 중 10위를 차지함.
ㅇ ‘Make in India’ 정책에 따른 제조업 활성화, 식자율 증가 등의 이유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됨.
ㅇ 한국 기업들이 관세 특혜를 통해 진출하기 좋은 수출 유망 분야
- 기본적으로 지와 판지에 10%의 기본관세, 총 관세 21.782%가 부과됨.
- 한국은 CEPA 관세 특혜를 통해, 2017년부터 지와 판지 기본 관세 0%가 적용됨.
- 또한, 마케팅, 판촉 용지 수요 증가 등의 이유로 고급용지의 수요가 늘고있는 만큼, 한국산 고급용지 수출에 적합
ㅇ 국내 원자재 부족 문제가 단기간에 회복되기 어려울 전망으로 외국 기업들의 진출에 더 없이 좋은 시기로 보임.
출처원 : 코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