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 전시회의 특징
○ 화장품과 청소제품의 원재료, 완제품 및 관련기술에 관한 전시회임.
○ 여러 국가에서 오는 제조업체, 공급업체, 유통업체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커뮤니케이션을 구축하는 플랫폼의 역할을 담당함.
○ 효과적인 화장품과 청소제품 등을 생산하기 위한 독특하고 혁신적인 원료제품들을 만나볼 수 있으며 각종 미용제품과 천연제품 또한 전시됨.
○ 올해 전시회는 인도 전역에서 온 바이어들에게 호평을 받음. 특히 새로 도입된 VIP 고객 프로그램으로 여러 고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음.
□ 전시회 참가업체 및 참관 바이어 현황
○ 주로 피부, 헤어, 손톱과 관련한 미용업체와 건강제품 관련 업체들이 전시업체로서 참가함.
○ 전시회에 참가한 22개국의 업체들 중 미국관에 가장 많은 업체들이 참가함.
또한 중국업체들이 전시한 스킨케어 제품이 많은 관심을 끌었고 바이어들은 가격과 품질 면에서 모두 만족스럽다고 밝힘.
○ 대부분의 참관 바이어들은 소비자들에게 직접 판매할 수 있는 최종 소비재 제품 관련 부스와 원재료 가공기계 관련 부스에 많은 관심을 보임.
□ 전시회를 통해 파악된 현지 시장 확대 방안
○ 최근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많은 온라인 화장품 업체들이 당해 전시회에 바이어로서 참가함.
온라인 화장품 업체들은 이 전시회를 통해 새로운 판매품목을 발굴하려 하며 수입업체 및 유통업체와도 많이 접촉함.
○ 한국 미용 업체들은 당해 전시회 또는 다른 여러 플랫폼을 활용하여 기존의 일반 도소매 업체 뿐만 아니라 온라인 판매업체들에게 접촉할 필요가 있음. 혹은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홈쇼핑을 통한 판매나 미용제품 전문 인기 유투버를 통한 마케팅도 좋은 성과가 예상됨.
○ 한국 업체들이 주의할 점으로는, 동물성 원료가 금지되는 등 인도의 관련 규제사항과 제품 등록절차를 숙지할 필요가 있으며 한국제품이 가지고 있는 고품질 이미지를 활용하여 탈모 방지, 안티에이징, 미백, 여드름 방지, 비타민 첨가 등 기능성 제품들에 집중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임. 인도 소비자들은 브랜드 충성도가 아직 높지 않아서 높은 기술력의 혁신제품들이 브랜드와 상관없이 큰 인기를 끌 수 있음. 또한 제품 개발시 대기오염도가 높고 고온다습하여 화장품이 잘 번지는 점, 인도인들이 어두운 피부색을 가지고 있지만 하얀 피부를 선호한다는 점 등 인도 현지의 특성을 파악하여 현지화 제품을 개발한다면 인도시장 진출에 성공할 수 있을 것임.
자료원: 전시회 홈페이지, 현장 인터뷰 및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