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 전시회 소개
제16회를 맞이하는 2018 홍콩 국제 라이선싱 쇼는 Hong Kong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HKCEC)에서 2018년 1월 8일 월요일부터 1월 10일 수요일까지 3일간 개최되었다. 2018 홍콩 국제 라이선싱 쇼는 아시아에서 가장 큰 라이선싱 쇼이다. 세계적인 이용허락자(Licensor, 라이선서), 사용권자(Licensee, 라이선시), 판권 관리 회사(Licensing Agent, 라이선싱 에이전트), 애니메이션 및 교육 브랜드, 제조업체, 유통업체, 소매업체들이 참여하였다. 바이어들은 전시회를 통해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아시아 지역의 라이선싱 산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다. 또한, 2018 홍콩 국제 라이선싱 쇼와 관련성이 있는 홍콩 완구 및 게임 전시회, 유아용품 전시회 및 문구 전시회가 같은 기간에 개최되어 바이어들이 여러 전시회에 참여하여 다양한 사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 전시관 구성
2018 홍콩 국제 라이선싱 쇼는 아시아 국가관 및 종합관으로 구성되었다. Grand Hall & Foyer에는 종합관을 비롯해 중국, 홍콩,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태국의 업체들이 국가관으로 참여하였고, Hall 3B에는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 말레이시아의 업체들이 국가관으로 참여하였다. Level 4 Mezzanine에는 홍콩 자체 브랜드관과 대만관이 들어섰고, Chancellor Room & Foyer에는 홍콩 자체 브랜드관이 들어섰다. S421-430 Meeting Room에서는 제품 시연회 및 행사가 진행되었다. 2018 홍콩 국제 라이선싱 쇼와 동시에 열린 아시안 라이선싱 컨퍼런스 2018(Asian Licensing Conference 2018)은 Meeting Room N201-N212에서 진행되었다.
중국,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태국, 대만 국가들의 정부 차원의 지원이 이루어진 덕분에, 아시아관은 올해 그 규모를 더욱 확장할 수 있었다.
■ 국내 참가업체 성공사례
▶ 퍼니이브
한국관에서는 홍콩 국제 라이선싱 쇼에 3번째 참가 중인 퍼니이브 업체의 휴대폰 소녀 밈이 많은 바이어들의 시선을 끌었다. 밈은 휴대폰을 많이 좋아해서 휴대폰 소녀라는 별명이 붙었지만, 결코 휴대폰에 중독되지 않았고 휴대폰 이외에도 좋아하는 것들이 많은 캐릭터이다. 퍼니이브는 밈 캐릭터를 활용해 만든 제품들을 전시하여 관련 바이어들과의 사업을 진행하였다. 바이어들은 소셜 미디어 페이스북, 메신저 카카오톡 및 라인 등을 통해 이미 캐릭터를 접한 후에 퍼니이브 부스를 방문한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홍콩, 대만,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권 바이어들이 많이 방문한 것을 보아,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퍼니이브는 iOS와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밈이 직접 춤추는 게임인 <Funny Tap>를 출시하여 사업을 확장하고 더 많은 바이어를 유치할 계획이다.
■ 바이어들의 인기를 끌었던 품목
▶ Postgal Workshop
홍콩 업체인 Postgal Workshop 부스에서 거대한 딘동 캐릭터 인형이 다양한 국적의 바이어들의 이목을 끌었다. 또한 딘동 캐릭터를 가지고 만든 제품들을 전시함으로써 바이어들에게 라이선스 상품화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딘동은 먹는 것을 좋아하고, 날마다 사람들을 웃게 하는 유쾌한 애완 고양이이다. 그리고 그는 이 세상에서 마음만 먹으면 못해낼 것이 없다고 믿는 꿈과 긍정적인 에너지로 가득 찬 캐릭터이다. 업체관계자는 이러한 귀엽고 따뜻한 이미지의 딘동이 친근감을 주어 특히 홍콩, 대만, 태국 등 아시아 지역의 10대 여자 고객들에게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고 밝혔다. 딘동의 3미터 크기 조각상은 홍콩 침사추이의 코믹 스타의 거리에 위치해 있고, 딘동 캐릭터는 홍콩 지역의 음식점에 라이선싱 되었다. 딘동 만화는 제4회 도쿄 아시아그래프에서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하였고, BS일본 TV에 방영되었다. 또한 제 34회 홍콩 국제 영화제에서 유명한 애니메이션 상을 수상하였다. Postgal Workshop은 유튜브, 페이스북, 웨이보 채널 운영과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제품 소매점을 통해 다각도로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그리고 메신저 카카오톡 및 라인과의 제휴를 통해 인터넷 및 스마트폰의 주된 이용 층인 젊은 세대를 겨냥하고 있다.
■ 참가업체 부스 트렌드 및 특색 있는 부스
▶ CLICK! Licensing Asia, Limited
CLICK! Licensing Asia, Limited는 세계적인 브랜드들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한 판권 관리 회사로 다양한 산업군의 수많은 브랜드들을 앞세워 그 규모를 자랑했다. 이 업체는 이용허락자, 사용권자, 전략적 파트너, 소매업체 및 소비자들에게 라이선싱에서 발생된 이익 및 효용을 제공한다. 또한 필리핀 본사를 포함하여 중국, 홍콩, 인도네시아, 싱가포르/말레이시아, 대만, 태국/베트남, 한국 지부를 설치하여 아시아 전역에서 사업을 진행하여 강한 존재감을 가지고 있다. 매년 아시아 지역에서 열리는 라이선싱 관련 전시회에 참여하면서 사업 확장 및 세분화 효과를 누리고 있다. 2018 홍콩 국제 라이선싱 쇼에서는 게임류의 Rabbids, Angry Birds, Warcraft, Overwatch, 디자인 브랜드 Britto,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류의 Sesame Street, Hotel Transylvania 3, Ghostbusters, Peter Rabbit, 완구류의 Shopkins, 장식품 Precious Moments, 패션 및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Cherokee Global Brands의 Tony Hawk, Hi Tech, Everyday California, Flip Flop Shop, 개와 고양이를 의인화한 캐릭터를 내세운 Pets Rock, 토끼 캐릭터 Miffy를 전시하였다. 업체관계자는 아시아의 각 국가별 특성에 따라 브랜드에 대한 수요가 상이하기 때문에, 이처럼 다양한 브랜드를 라이선싱할 수 있다는 것이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자사의 강점이라고 밝혔다.
▶ International Management Group(Overseas), LLC
IMG(International Management Group)는 Endeavor 그룹의 일원으로, 스포츠 에이전트에서 출발하여 대학, 행사, 패션, 글로벌 마케팅, 아카데미, 라이선싱, 미디어 등 여러 산업으로 진출한 세계적인 기업이다. IMG의 라이선싱 부문을 담당하는 IMG Licensing Worldwide는 2018 홍콩 국제 라이선싱 쇼에서 골프 관련 Arnold Palmer, The Open Championship, Ernie Els, 테니스 관련 Sergio Tacchini, Li Na, 축구 관련 FC Barcelona, Chelsea FC, JUVENTUS Football Club, 미식축구 관련 NFL, 럭비 관련 RWC2019, 격투기 관련 UFC, 기타 스포츠 관련 Maui & Sons, Gola, Gerry Cosby, Stars On Ice, 자동차 관련 24 Heures Du Mans, Ferrari, Volkswagen, Aston Martin, Lamborghini, Jeep, DUCATI, Chevron, Texaco, STP, Good Year, 대학 관련 American Colleges, Chicago, Stanford, NCAA, American Freshman, 자연 환경 관련 National Geographic, 패션 관련 Cosmopolitan, Bazaar, Esquire, Been Trill, Joyrich, Beyond Closet, Laura Ashley, 음악 관련 Rolling Stone, Billboard, 음료 관련 Pepsi, 7Up, Mountain Dew, 사탕 관련 Dylan's Candy Bar, 유명인 관련 Brigitte Bardot, 영화 관련 Twentieth Century Fox Consumer Products, FILMS OF MARILYN, Planet Of The Apes, Avatar, Alien Franchise, Predator Franchise, Rio, Ice Age, Ferdinand, MGM Consumer Products, Rocky, RoboCop, Ted 2, 드라마 관련 Downton Abbey, 캐릭터 및 엔터테인먼트 관련 The Simpsons, Sesame Street, Care Bears, Pink Panther, Dennis The Menace, 예술 관련 Norman Rockwell, 군대 관련 Royal Navy 브랜드들의 아시아 지역에서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여 전시한 판권 관리 회사이다. 2018 홍콩 국제 라이선싱 쇼에서는 아시아 지역에서 지적재산권을 가지고 있는 브랜드들을 앞세워 홍콩, 중국 바이어 등의 아시아 지역의 바이어 위주로 좋은 반응을 얻었다. IMG는 미국에서 출발한 기업이지만, 아시아 지역 라이선스 산업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고 많은 브랜드들의 지적재산권 확보, 아시아 지역에서의 이용허락자 및 사용권자 모집, 그리고 아시아 지역 전시회에의 정기적인 참여를 진행하고 있다.
■ 전시회 부대행사
2018 홍콩 국제 라이선싱 쇼는 아시안 라이선싱 컨퍼런스 2018(Asian Licensing Conference 2018)과 동시에 진행되었다. 아시안 라이선싱 컨퍼런스 2018은 유명한 30명의 라이선싱 산업 전문가인 연사들이 글로벌 라이선싱 산업 정보를 청중들에게 제공하는 설명회이고, 동종 행사 중 아시아에서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바이어들이 인적 네트워크와 파트너십을 확장하고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하며 적절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었다.
또한, 라이선스 산업 종사자들에게 새로운 파트너십 기회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매칭이 진행되었다. 비즈니스 매칭은 이용허락자, 사용권자, 판권 관리 회사 모두 신청할 수 있고, 온라인으로 사전 등록을 할 때 업체 정보와 선호하는 사업 유형을 제시하면 이후 맞춤형 미팅이 제공된다.
이외에도 VIP 바이어와의 만남, 댄스 공연, 기자 회견, 제품 시연회 등의 다양한 행사들이 진행되어 참가자들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하였다.
- 아시안 라이선싱 컨퍼런스 2018
사진 출처: HKTDC 홍콩 국제 라이선싱 쇼 홈페이지
■ 전시회 종합평가
2018 홍콩 국제 라이선싱 쇼에서 최신 라이선스 산업 관련 트렌드 및 산업 발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8 홍콩 국제 라이선싱 쇼의 후원단체인 국제라이선싱산업협회(LIMA)에 따르면, 최근 아시아 지역, 특히 중국의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지역 라이선스 관련 상품들의 소매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다. 홍콩은 성장하고 있는 중국 및 동남아시아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한 중요한 관문으로서 글로벌 라이선스 산업의 허브 역할을 한다. 또한, 홍콩은 아시아의 쇼핑과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지이고, 지적 재산권 보호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이 유통 및 재수출되는 곳이기 때문에 많은 국제적인 라이선스 관련 업체들이 사업 확장을 위해 홍콩을 선택한다. 따라서 홍콩 및 아시아의 라이선싱 쇼에는 앞으로 더욱더 많은 바이어들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1가구 1자녀 정책 폐지 및 가구 소득 증가, 인도네시아의 높은 출산율, 한국 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교육 중시 풍토 등이 아시아에서 교육과 오락을 동시에 추구하는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2018 홍콩 국제 라이선싱 쇼가 홍콩 완구 및 게임 전시회, 유아용품 전시회 및 문구 전시회와 동시에 개최됨으로써 교육과 오락이 함께할 수 있는 최적의 장이 마련되었다. 라이선스 관련 업체들은 소비자들이 좋아할 만한 개성을 가진 지적재산권을 통해 교육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한다면 아시아 시장의 흐름에 적합한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과 모바일 산업의 발달로 인해 온라인 게임 및 미디어는 라이선스 제품을 홍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소셜 미디어와 카카오톡, 라인 등의 메신저 또한 라이선스 산업의 중요한 무대이다. 위의 업체들의 사례에서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흥행이 오프라인 시장에서의 긍정적인 반응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라이선스 산업 특성상 사람들의 삶을 구성하는 모든 재화 및 서비스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라이선스 산업의 발전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또한 상대적으로 신흥 시장에 속하는 아시아 라이선스 산업의 발전이 기대된다. 한국 업체들은 적절한 전략을 가지고 지리적 이점을 이용해 아시아 지역 라이선스 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발판으로 삼는다면 글로벌 시장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사진 출처: 별도 표기 외에 직접 촬영
내용 출처: 홍콩무역관, HKT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