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 전시회 개요
□ 전시회 특징
사진 (KOTRA 카이로무역관 촬영) :
전시회가 개최된 Cairo International Conference Center(CICC)
ㅇ 이집트 최대 규모의 호텔 기기 전시회
- 매년 호텔업과 관련된 분야의 제품들을 전시하는 행사로서 호텔 기기, 베이커리 기기, 디저트 및 카페 음식과 제조 기기, 호텔 가구 및 청소용품 등 다양한 종류의 호텔 보급품을 만나볼 수 있음.
- 다양한 전시 품목에 적합한 전시장을 이용하여 여러 홀에서 행사를 진행함으로서 많은 참관객들로 문전성시를 이룸.
- 전시회는 매년 10월 개최되는데, 9월부터 4월로 이어지는 관광 성수기에 맞춰 호텔 물품들의 공급에 적합한 시기임에 기인함.
ㅇ 제품 전시 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보다 풍부하고 밀도 높은 전시회 추구
-전시중인 커피 기기를 이용한 커피 시음이나 홍보 중인 음식 품목의 시식 체험 등을 통해 오감으로 전시회를 관람할 수 있는 기회 제공.
-이집트 관광부와 요리사 협회의 후원으로 이집트 식음료 올림픽, 베이커리 기술 대전, 호텔요리 대전과 같은 다양한 경연대회가 매년 함께 개최.
ㅇ 접근성이 좋은 전시장을 사용하는 참관객 친화형 전시회
- 예년부터 사용해왔던 전시회장을 사용함으로서 전시회를 찾는 참관객들에게 익숙함을 제공.
- 공항과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참가하는 기업들에게도 접근성이 뛰어남.
□ 전시관 구성 및 현장 스케치
ㅇ 올해 참가기업 수는 201개사로, 2015년도 275개사, 2016년도 290개사, 2017년도 340개사와 비교하여 기업의 수가 다소 적었음. 대내외적인 치안 불안 요소로 이집트 관광객의 수가 감소한 것이 참가기업 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보임. 그러나 전시회에 방문한 참관객들의 수는 매우 많았던 것으로 보아 전시회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파악됨.
ㅇ 전시관 구성
- 이번 호텔기기 전시회는 크게 여섯 개의 전시관으로, 호텔 기기, 베이커리 및 제빵 기기, 세계 음식, 카페, 가구, 청소용품으로 이루어짐.
사진 (KOTRA 카이로무역관 촬영) :
주방기기 및 주방용품, 청소용품, 가구 등 전시관별 부스
-----------------------------------------------------------------------------------------------------------------
*제 1 전시관 (음식 및 카페) : 커피 분쇄 기계, 커피 머신, 커피 청소기계, 캡슐커피, 초콜릿, 시리얼, 고기, 치즈, 냉동제품, 푸딩, 케이크, 유제품, 생선, 주스 등
*제 2 전시관 (음식 및 베이커리) : 제빵 용품, 비스킷 기계, 빵가루 기계, 계산기, 반죽용 가루, 아이스크림, 시리얼, 오븐, 반죽 믹서, 피자용품, 파스타제품, 저장고, 카페장비, 원재료, 청소용품 등
*제 3 전시관 (가구) : 침구, 이불, 의자, 헬스클럽 장비, 금속가구, 문고리, 금고, 자물쇠, 커튼, 사우나 욕조, 주방가구 등
*제 4 전시관 (호텔기기 및 주방용품) : 알루미늄 주방용품, 도자기&유리, 출장요리 장비, 세제, 식기세척기, 전자용품, 지폐 계수기, 냉동&냉장 장비, 그릴, 살충제, 취사장비, 미니바, 저울, 비누 등
*제 5 전시관 (호텔기기 및 청소용품) : 알루미늄 주방용품, 유리&도자기 제품(접시, 와인 잔, 컵 등), 공기청정기, 미끄럼방지제, 매점관리, 카펫 청소 기계, 카펫 염료, 천장청소 기계, 청소기, 의류청소, 탱크청소, 정리 용품, 사무 장비 정리, 청소 서비스 등
------------------------------------------------------------------------------------------------------------------
ㅇ 오감으로 느껴보는 호텔 기기 및 식자재 전시
- 호텔에서 필요한 소파나 침구류, 의자 등의 가구 전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접시와 그릇, 유리잔 등의 주방용품도 상당수 눈에 띄었음.
- 시각과 촉각을 통해 전시 품목을 확인하는 것을 뛰어 넘어서 맛보고 향을 음미하는 등 오감을 만족시키는 전시 트렌드를 보이고 있음.
- 케이크, 아이스크림, 캔디류의 디저트 제품 뿐만 아니라 연어나 곡류 등의 식료품들을 시식해보고, 간단하게 직접 요리를 해볼 수 있는 자리까지 마련되어 있음.
사진 (KOTRA 카이로무역관 촬영) :
전시회의 주를 이룬 가구 부스(상) / 다양한 종류의 식료품 부스(하)
ㅇ 주목 끄는 부대행사 : 요리 경연대회
- 매년 연례 행사로 주니어 요리사 경연대회, 전문 요리사 경연대회, 여성 요리사 경연대회 등의 다양한 장르의 경연대회가 전시회에 참가한 방문객들의 앞에서 진행됨.
- 올해도 세계 요리사 협회에서 주관하는 요리 경연대회가 진행되어 많은 참관객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음.
- 여러 개의 요리 부스 속에서 참가 팀들이 요리하는 모습을 관람할 수 있으며, 한쪽에는 요리사들이 요리하는 모습이 생중계되고 있었음.
- 요리 경연대회는 이번 전시회를 단순한 물품 전시가 아니라, 호텔에서 일을 하는 요리사들과 참관객들까지 함께 하도록 만들어 행사에 활기를 불어넣음.
사진 (KOTRA 카이로무역관 촬영) :
사람들로 북적이는 요리 경연대회 현장
□ 참관 바이어 현황
ㅇ 부스마다 참관객으로 활기찬 분위기
- 5개 홀에서 다양한 종류의 품목을 전시하는 부스가 많았던만큼, 많은 방문객들로 전시장이 붐빔.
- 호텔 및 요식업에 종사하는 관련자들 뿐만 아니라 기업의 제품들을 직접 보고 시식 및 시음해보는 일반 참관객들도 상당수 눈에 띄었음.
- 가족 단위의 참관객들과 학생들의 참관도 많았던 것이 타 전시회와의 차별점임.
- 요리 경연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부스나 음식을 직접 만들어보고 체험하는 부스의 인기가 가장 높았음.
사진 (KOTRA 카이로무역관 촬영) :
직접 시식해보고 체험해보는 참관객들로 붐빈 식료품 부스
□ 참가 바이어 인터뷰
ㅇ 초콜릿 수입업체 L사
- 이집트는 관광업에서는 독보적이고, 관광업의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관광객을 위한 좋은 퀄리티의 디저트와 음식이 앞으로 더 중요해질것이라 표현.
- 초콜릿과 같은 디저트의 경우, 원재료는 프랑스나 유럽국가에서 수입 후, 이집트내에서 가공하는 경우가 대다수.
- 퀄리티 좋은 한국제품을 수입하고 싶지만, 원자재 수입은 거리가 가까운 유럽이 비용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임. 한국제품은 이집트 시장 진출을 위해서 가격조정이 꼭 필요하다고 말함.
ㅇ 주방기구 수입기업 A사
- 컵, 접시, 그릇 등 주방기구를 수입하는 기업.
- 대부분 이탈리아에서 수입하며, 프랑스 등 다른 유럽 국가와 거래를 많이 한다고 함.
- HACE 호텔기기 전시회는 다양한 호텔 관련 용품 및 기기들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가치가 높다고 함.
- 한국 제품에 대해 인지는 하고 있으나 거래 경험은 없음. 한국 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등 다른 동북아시아 국가들로부터 제품 수입은 관세가 40%~ 60%까지 적용되므로 가격이 높아 어렵다고 함.
□ 향후 전시회 (발전) 전망
ㅇ 관광업에 있어서 여전히 매력적인 나라인 이집트
- 이집트 관광 산업은 2011년 민주화 혁명 전까지 총 GDP의 약 11.3%를 차지하고 있었을정도로 국가 핵심 산업 분야 중 하나였으나, 혁명 이후 총 GDP의 2.3%에 불과하는 침체기에 빠짐.
- 국내외에서 일어나는 테러 등으로 인한 치안 불안이 큰 요인으로 꼽히지만, 2014년 7월 이집트 관광객 수는 88만 5,765명으로 전년대비 14.5% 증가.
- 엘시시 대통령이 경제 개발을 위한 추진 사업의 하나로 관광업 개발을 발표함에 따라 관광객 안전 확보와 고부가가치 관광지 개발을 통한 관광업 발전을 기대케 함.
ㅇ 이집트 내에서 잠재력이 높은 식품가공업
- 연 생산량이 34억 달러 수준이며 제조업 생산량의 15%, 고용인원의 20%를 차지하고 관련 업체 수가 7,000개를 넘을 정도로 제조업 내에서 큰 비중을 차지.
- 이집트의 풍부한 농산물과 저렴한 노동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지속적인 인구 증가로 인해 성장이 계속될 전망.
- 농산품, 밀가루, 유제품, 과자류가 주요 생산품목인데, 전 소득층에 걸친 소득 증가와 더불어 외국 기업들의 진출과 함께 2016년 자율 환율제 도입이 시장을 확대시키면서 식품 분야에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임.
ㅇ 이집트 호텔 관련 기기 산업 속의 한국 기업은 아직 걸음마 단계
- 전시회의 주요 품목이었던 가구 제조 분야에서 한국 기업과 거래는 미미한 편. 아시아 국가로부터의 수입은 높은 비율의 관세로 인해 부담스러운 편이며, 가구 원자재 수입은 가격이 저렴한 중국과 거래가 빈번함.
- 우리나라의 브랜드이미지는 깔끔하고 합리적인 가격의 제품을 보유한 국가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시장조사와 함께 현지 관련 기업과 자주 접촉하며 적절한 가격조정을 거친 이후에 시장에 진입한다면 충분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됨.
자료원 : KOTRA 현장 실사, HACE 공식 홈페이지, 카이로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