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전시회명 | 영문 | CHINA FRANCHISE EXPO |
한글 | 중국 프랜차이즈 전 | |
연혁 | 1999년 부터 15번째 개최 (2013년 기준) | |
전시분야 | 식음료,소매업,설비공급,서비스 관련 프랜차이즈·가맹 | |
홈페이지 | ||
개최기간 | 2013년 04월 26일 ~ 04월 28일 | |
개최전시장명 | 국가회의중심(国家会议中心)(소재 도시명: 베이징 ) | |
주최자명 | 중국 프랜차이즈·경영협회(CCFA-中国连锁经营协会) |
제 15회 중국 프랜차이즈 전이 4월 말 북경에서 개최되었다. 사업 확장을 원하는 기업들과 가맹 희망자들의 만남의 장으로써 총 355개 업체, 29000명이 참관하였으며 시식, 판매, 체험이 가능해 참관객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졌으며 개최되는 3일 내내 활기찬 분위기를 이어갔다.
◎ 참가 기업 및 참관객
전시회는 크게 식음료, 서비스, 소매업, 공급상 4가지 부문으로 구성 되었다. 이 중 식음료 부문은 무료 시식 및 할인 판매가 가능해 가장 많은 관객들은 몰렸으며 중국의 커피시장 성장에 따라 커피 및 디저트 업체가 유독 눈에 띄었다. 식음료 다음으로 서비스 부문 업체 참가가 증가하고 있는데 미용·마사지 외에도 교육, 상담, 숙박 등 다양한 분야의 업체가 참가하였다. 소매업 부문에서는 마트, 제약, 식품, 특히 의료 및 악세사리 업체가 가장 많았다.
참관객은 가맹 희망자 혹은 투자자가 가장 많았으며 이들에게 가장 인기 많았던 품목은 중식과 양식, 테이크 아웃 음료, 커피 및 디저트, 편의점, 교육 서비스였다. 이 외에 일반 참관객들과 프랜차이즈업과 연관된 법률회사, 운송회사 관련 관객도 있었다.
◎ 한국관 소개
이번 전시회에서는 유일한 국가관으로 한국관이 개설 되었다. 코트라에서 모집한 10개 업체와 AT 센터에서 모집한 6개 업체로 구성되었으며 요식업이 가장 많았고 잉크 충전, 공기 정화 등 서비스 업체도 있었다. 한국 음식과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로 많은 관객이 몰렸으며 교촌의 경우 조류독감 발발에도 불구하고 간장치킨과 중국인 입맛을 공략한 매운 치킨으로 부스 전체가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또한 간식류 업체인 델리스의 인기도 만만치 않았는데 비빔밥, 불고기 등 몇 개의 대표적인 음식만 아는 중국인들에게 뻥튀기, 국화빵 같은 한국의 간식류는 큰 관심거리였으며 맛도 나쁘지 않아 향후 중국 시장에서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 전시회 이모저모
전시회에서는 업계의 개성을 살린 부스가 많이 눈에 띄었다. 요식업은 평소에 영업하듯 메뉴판과 제품을 전시해두고 판매, 동일한 서비스를 선보여 실제로 가게에 와 있는 것 같았고 서비스 관련 기업은 제품을 구비해두고 제품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해 참관객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졌다.
전시회 한 켠에서는 하루에 4번씩 악세사리 및 의류 패션쇼가 열렸다. 관중 휴식 공간 바로 옆에 무대를 마련함으로써 더 큰 홍보효과가 있었다. 커피시장 성장과 카페 프랜차이즈 업체 증가를 반영하여 커피 문화와 미식 커피, 관련 용품을 소개하는 자리도 가졌다.
그러나 무대와 관객 휴식처에 가려져 화장실 안내가 제대로 되지 않아 전시회장 3면에 모두 화장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객들은 오랫동안 찾아 헤매거나 한 곳으로 집중적으로 몰려 불편을 초래했다.
◎ 전시회 활용 방안
중국 내 프랜차이즈 전은 여러 개가 있는데 북경에서 열리는 본 전시회 말고도 상해, 광저우, 푸조우 등에서 열리며 그 중 본 전시회가 업체 수, 참관객 수, 규모 면에서 가장 크다. 참관객은 대다수 중국인이며 참가 기업도 중국 기업의 비율이 높으나 외국 기업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의 거대한 시장을 생각해보면 전시회 자체로도, 참가 기업 입장에서도 매우 전도 유망한 전시회라 할 수 있다. 특히 요식업의 경우 양질의 서비스와 중국인들의 입맛을 사로 잡을 수 있다면 중국 전역으로 매장 확대와 사업 성공을 기대 할 수 있다. 그러나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기업들이 몰려들고 경쟁하는 만큼, 섣부른 참가보다는 중국 시장에 대한 심도 있는 조사와 현지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출처 : KOTRA 베이징무역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