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전시회장 전경
자료 : KOTRA 도쿄 무역관 직접 촬영
■ 전시회 내용 및 주요 출전 품목
ㅇ 기존과 달리 올해에는 도쿄 빅사이트 행사장 공사로 인해 전기와 후기 두 번에 나누어 열리게 됨. 전기에는 IoT/M2M전과 임베디드 시스템전이 함께 열렸고, 후기에는 빅데이터 활용전, AI 자동화전 등 11개의 전시회가 동시에 열릴 예정
ㅇ 주요 출전 품목
- 제 22회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기술전 : CPU/MCU, 미들 웨어, 보드·컴퓨터, 개발 툴 등을 전시함. 주로 자동차·수송기기, FA기기, 의료기기, 통신·모바일, 가전·AV 메이커 등이 방문하여 제품·서비스 판매 및 수주나 상담을 진행함.
- 제 8회 IoT(사물인터넷) / M2M(사물지능통신)전 : 무선통신기술, 센서 등을 비롯해 원격 감시, 생산 관리 애플리케이션, AI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솔루션을 전시함. 주로 제조업, 사회인프라(가스, 수도, 전기), 유통서비스업의 기획·개발자나 책임자가 방문함.
ㅇ 한국관 전시
- 전시장에서는 한국NFC, SK 텔레시스 등 한국 기업들의 부스도 만날 수 있었음. SK 텔레시스 등 일부 기업은 개별 부스로 출전한 반면 AERIX 등 4개 기업은 한국 사물인터넷 협회에서 구성한 한국관에서 공동 전시함.
한국관 전경
자료 : KOTRA 도쿄 무역관 직접 촬영
■ 일본 IoT 시장 동향
ㅇ 가파르게 성장하는 일본 IoT 시장, 2022년 5년 만에 2배 규모로 확대 예측
- 일본의 IT 전문 조사회사 IDC Japan의 2018년 9월 일본 국내 IoT 연간 지출액 예측 결과에 따르면, 2017년 약 5조 8천억 엔 규모에서 2022년 약 11조 7천억 엔까지 거의 두 배 가량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 특히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시장은 IoT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꾸준히 올라 더욱 유망한 시장으로 평가됨. 이번 Japan IT Week 전시회에서도 소프트웨어나 보안 서비스 등의 전시 비중이 높았음.
일본 IoT 시장 규모 예측
자료 : IDC Japan 홈페이지 “https://www.idcjapan.co.jp/Press/Current/20180912Apr.html”
■ 전시회 주요 특징
ㅇ IoT 기술을 통한 업무 현장의 원격 관리와 자동화가 트렌드, 일본판 인더스트리 4.0 구현 노력 주목
- 이번 전시회에서는 화상 센서를 통한 무인 감시 시스템 등과 같이 작업 현장 자동화를 통해 업무 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제품과 소프트웨어들이 참관객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음.
- 이는 일본의 일손 부족 현상 심화와,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맞추어 공장 자동화 니즈가 높아짐에 따른 것으로 분석됨.
ㅇ 일상 생활과 IoT 기술을 접목시킨 아이디어 제품들도 인상적
- 스마트 미러나 전자기기를 접목한 옷과 가방과 같이 기존의 일상품들이 IoT를 통해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 지 미리 경험해볼 수 있었음.
ㅇ 제조업 강국의 인프라와 도쿄 올림픽에 주목해 세계 각국 IT 기업들이 일본 진출 고려
- 이번 Japan IT Week Spring에는 100개사 이상의 해외 기업들이 참가하였으며, 중국과 한국, 미국, 유럽 등 다양한 국가에서 일본 진출 기회를 엿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이들은 주로 제조업 현장에서 쓰일 수 있는 제품들과 도쿄 올림픽을 목표로 하는 제품을 선보임.
■ 주목 받은 제품 소개 및 인터뷰
인터넷 이용은 물론 피부 상태까지 관리해주는 스마트 미러
자료 : KOTRA 도쿄 무역관 직접 촬영
다양한 업계에서 활약이 기대되는 대화형 로봇 ARISA
자료 : KOTRA 도쿄 무역관 직접 촬영
화상 인식 카메라를 통해 공장 자동화 실현
자료 : KOTRA 도쿄 무역관 직접 촬영
AR 글래스를 통해 수리가 필요한 부분과 내용을 확인
자료 : SKY 주식회사 홈페이지 “https://www.skygroup.jp/software/technology/”
초소형 센서로 7가지 정보 실시간 확인
자료 : KOTRA 도쿄 무역관 직접 촬영
■ 시사점
ㅇ 향후 수년간은 IoT를 통한 노동생산성 향상 등 당면한 과제 해결에 활용될 가능성 高
- 특히 최근 일본에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일손 부족이나 생산성 향상 등의 문제를 IoT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제품들이 현지에서 주목을 받음. 일본에서의 IoT는 노동력의 대응과 관련한 분야에서 보다 발달할 가능성이 높아 보임.
- 이번 전시회에서 세미나를 진행한 히타치 제작소의 모리타 카즈노부 CSO는 "IoT를 비즈니스에서 활용하는 것은 기존 프로세스의 개선을 하고자 하는 노력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고 밝힘. 즉 생산 현장에서는 “현재까지 일본 제조업을 이끌어온 숙련 기술자들이 인구 감소로 인해 줄고 있기 때문에, IoT 플랫폼을 통한 품질 관리의 디지털화와 데이터 분석기술을 이용한 숙련 기술 전승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밝힘.
ㅇ IoT의 비즈니스 기회는 "고민해결"에서 시작
- "분실물 제로! 일상의 고민을 IoT로 해결한 일본 스타트업 인기 (바로가기)"의 사례에서 보듯 IoT의 비즈니스 기회는 우선 고민 해결에서 찾아야 할 것임. 생산 현장에서의 고민, 서비스업이나 각종 산업의 고민뿐만 아니라 개인의 고민을 해결하는 것도 IoT가 방법이 될 수 있음.
- 따라서 해외 기업이 실제 일본 현장의 고민을 파악하고 그러한 니즈를 비즈니스 모델로 만드는 것이 쉽지않기 때문에 시장진출은 더욱 어려움. 그러나 반대로 보편적인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이라면 파괴력이 있을 수 있음. 즉 기술 그 자체가 중요하기보다 그것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과제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하고 실제 실증은 물론 자국에서 비즈니스화를 한 실적을 만드는 노력을 선행해야 할 것임.
자료 : Japan IT Week 홈페이지, IDC Japan 등 KOTRA 도쿄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