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 Cambodia Architect and Décor Expo 2019 주요 특징
ㅇ 캄보디아 건설 산업 호황으로 민간에서 전시회 주관.
- 태국 민간 주관사인 ICVEX 에서 주관하는 전시회로 2016년부터 매년 개최하여, 2019년까지 4회 개최. 주관사에서는 매년 12%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캄보디아 건설 산업 호황과 더불어 비즈니스 기회 창출을 목적으로 전시회 주최
- 태국 민간 주관사로 참가 기업중 태국 기업 비중 높음. 2019년 기준 전체 약 110개 참가 기업중 약 50개 기업이 태국 참가 기업.
- 태국 기업은 물류 및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 한국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캄보디아 시장 진출 이점을 가지고 있어, 전시 참가 유리.
ㅇ 기 진출 기업보다는 캄보디아 시장 신규 진출 희망 해외기업의 참가 다수
- 이번 전시회에서도 태국과 중국의 대규모 국가관 참가로 신규 진출 희망화는 기업의 참가가 많음. 이는 캄보디아 전시회 참가 목적이 신규 바이어 및 파트너 발굴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며, 기 진출한 기업은 브랜드 인지도 제고 이외에는 전시회 참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음.
- 특히, 캄보디아 국내에서 제조되는 제품이 부족한 시장 특성상 캄보디아 바이어는 인테리어 및 건축 자재 수입 의존도 높아 브랜드 홍보 보다는 신규 제품 발굴을 위해 참관객으로 전시회 방문함.
- 일부 기 진출 기업의 경우 글로벌 브랜드의 지사 또는 법인으로 현지 시장에서 유통망 확장 및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해 참가.
ㅇ 주요 전시 제품 카테고리는 페인트, 가구, 창문 샤시 및 도어락 시스템
- 전시 참가 업체 제품 카테고리는 예년보다 다소 줄어들고, 창문 샤시와 같이 캄보디아 내 수요 높은 제품의 참가가 증가함.
- 한국 브랜드로는 도어락 제품 취급하는 에픽시스템과 LG 하우시스의 창문 샤시 제품을 총판하는 현지 기업 G-Gear 참가.
- 글로벌 브랜드로는 TOA, JOTUN 등 페인트 기업의 부스 참가가 눈에 띄었으며, 쉰들러 엘리베이터, 3M 태국 지사에서 창문 필름 제품으로 참가함.
□ 전시 주관사 인터뷰
ㅇ 캄보디아 전시회는 현재 Cambodia Architect & Décor 만 운영 중.
- 캄보디아는 매년 7%의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으려는 업체들이 많음. 특히 태국 및 중국 기업들이 캄보디아 시장 진출의 창구로 전시회를 이용하고 있으며, 충분한 수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진출 시작함.
- 건설 경기의 경우 다른 산업보다도 더욱 활발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로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 수요도 많다고 판단하여 신규 바이어 발굴 및 현지 에이전트 발굴을 목표로 하는 업체들을 대상으로 마케팅 하고 있음.
ㅇ 참가 업체 목적에 맞는 비즈니스 미팅 주선이 중요.
- 전시회 구성상 B2C보다는 B2B 업체가 많으며, 해당 업체들의 성과를 위해 전시회 홍보 시 일반 관람객 대상 홍보보다는 현지 업체들 직접 초대장 발송하는 형태로 행사 알리고 있지만, 캄보디아 기업인들의 관심이 더 필요함.
- 전시회 참관객 대상 입장료는 아직 고려하고 있지 않음. 보다 많은 비즈니스 참관객 유치하고 전시 참가기업들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세미나 개최, 네트워킹 이벤트 일반 참관객 대상 확장 진행함.
ㅇ 캄보디아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로 전시 주관사로 수익 창출을 위해서는 고민이 필요
- 현재 전시회 수익은 전시 참가기업의 참가비에 의존하고 있음. 캄보디아 상황 상 전시 참가 입장료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음. 향후 전시 시장 성숙하고 현지 참관 바이어의 인식이 개선되면 실행해 볼 수 있음. 이를 위해 전시회 더불어 세미나, 네트워킹 리셉션 등 다양한 부대 행사 계획하고 있음.
□ 시사점
ㅇ 전시회 개최는 매년 되고 있으나 전시회 규모가 증가하고 있지는 않으며 주관사 신규 진출 기업에 집중하고 있음에도 전시 참가 전 사전 시장 조사 필요.
- 캄보디아에는 이미 시장에서 유통되는 태국, 중국 등 인근국 제품이 다수 존재하며, 이러한 제품은 전시회를 통해 확인이 어려우므로 전시회 참가만으로 건축 시장을 이해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음.
- 따라서 캄보디아 전시 참가를 위해서는 사전에 사전에 코트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형태로 시장 조사 및 바이어 발굴을 병행하고, 전시회 출장을 통해 샘플의 소개 및 심화 미팅을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
ㅇ 건설 관련 전시회 주관 기관에 따른 분산으로 집중효과 부족.
- 건설 산업 자체는 분명 호황이나 이에 따라 캄보디아에서 개최되는 건축 관련 전시회 3개로 증가함. 이에 따라 참가 기업의 분산효과가 발생하며, 캄보디아 바이어들도 모든 전시회를 참여하고 있지않음.
- 따라서 전시회 참가만으로는 효과적인 진출이 되기 어려우며, 다양한 루트를 통해 캄보디아 시장 진출 고려해야 함.
출처 : 프놈펜무역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