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작성자 : 관리자
등록일 : 2019-08-02
조회수 : 666
2019 러시아 모스크바 국제 향수 및 화장품 전시회
- 러시아 및 CIS 지역 최대 규모의 화장품 전시회, 시장 트렌드를 한 눈에 -
- 한국기업 57개사 참가, 수출 계약 체결 등 긍정적 결과 -
□ 전시회 개요
러시아, CIS 지역 및 동유럽 내 최대 규모의 향수 및 화장품 전문전으로 연간 2회 개최됨.
모스크바에서 3일간 개최된 이번 전시회의 규모는 한국, 중국, 벨라루스, 브라질, 독일, 홍콩 등 19개국 500개사 이상이 참가했으며, 2,500개 이상의 브랜드가 소개됨.
그 중 한국 기업은 총 57개사가 참가했으며, 참관객은 41,000명에 달함.
주요 전시 분야는 화장품, 뷰티 살롱 및 스파 제품, 헤어 및 두피 케어 제품, 네일 케어 제품으로, 그 외에도 컨퍼런스, 포럼 등의 풍부한 구성을 갖춤.
참가 업체는 시장 진출, 신제품 및 서비스 출시, 유통 채널 구축, 브랜드 인식 제고, 비즈니스 규모 확대, 판매 등의 효과적인 비즈니스 기회로 활용 가능
전시회 전경
자료원: 모스크바 무역관 자체 촬영
주요 화장품 품목별 참가기업 비율
자료원: INTERCHARM 홈페이지
□ 전시회 이모저모
멘토쉽 및 포럼 등 다채로운 부대 행사
- 메이크업 아티스트, 헤어 디자이너, 네일 아티스트 등의 신규 전문가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인 인터참 멘토십(InterCHARM Mentorship)과 직업 센터(Job Center) 프로그램을 각각 진행. 직업 센터 프로그램은 실제 네일아트 기술 관련 교육을 진행함.
- 뷰티 비즈니스 포럼으로는 인터참 프리미엄(InterCHARM Premium)이 개최되었으며, 다수의 뷰티 기업 대표들과 경영진들이 참여
- 인터참 메드(InterCHARM Med)에는 미용사 및 미용 의학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였으며, 미용 의학 및 약용 화장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됨. 주요 주제는 미용 주사와 미용 치료였으며, 그 중 과다 색소 침착 및 주사 기술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짐.
그린 코너 (GREEN CORNER)
자료원: INTERCHARM 웹사이트
- 그린 코너는 천연 및 유기농 관련 제품 섹션으로 국제적인 품질 인증을 받은 제품을 소개
- 건강과 환경을 생각하는 분위기에 따라 러시아 및 국제 브랜드의 천연 및 유기농 화장품을 대표하여 소개하고자 마련된 섹션
- 실제 러시아 및 CIS지역의 약국 및 화장품 유통업체에 따르면, 천연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번 그린 코너 섹션도 많은 사람들의 이목을 끌었음.
- 유기농생산물 국제감시단체(ECOCERT),독일 유기농 인증 기관(BDIH) 및 이탈리아 유기농 협회(ICEA)의 인증을 받은 천연 및 유기농 제품들로 높은 품질을 보장
□ 러시아 뷰티산업 동향
러시아 뷰티 시장은 독일, 프랑스, 영국에 이어 유럽 내 4번 째로 큰 규모.
- 러시아 향수 및 화장품 시장 추산 78억 달러로, 지난 7년 대비 38% 증가
- 러시아 주요 도시(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내 인구의 1/3 가량이 20-60세 사이의 여성으로 다수의 잠재소비자를 가진 매력적인 투자 지역. 또한 남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도 꾸준히 증가 추세
- 2018년 한국의 대 러시아 화장품 수출액은 1억 59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63% 증가
□현지 반응
전시 관계자에 따르면, 러시아에 한국 브랜드 M사와 같이 이미 상당한 인지도를 가진 브랜드가 존재하며 'Made in Korea'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로 인해 한국 브랜드에 대한 신뢰가 어느정도 형성되어 있는 상태
- 따라서 한국 기업의 전시 부스에 대한 관심과 인기가 높은 편으로 나타남.
- 다만 고가의 제품 보다는 중저가 제품을 선호하는 편이며,아직 러시아 시장에 출시되지 않은 실험적인 제품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첨언
실제로 이번 전시회를 통해 한국 기업 D사는 총 280만 달러, S사는 15만 달러, L사는 5만 달러의 수출 계약 체결 성과를 이룸.
□ 시사점
러시아 뷰티 산업 동향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비즈니스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 가능
- 지난 추계 인터참 전시회에는 한국 기업 100개사가 참가하는 등 꾸준한 참가율을 유지중
- 실제로 여러 한국 기업들이 전시회 참가를 통해 제품 시연 및 브랜드 인식 제고 정도에 미치지 않고, 러시아 기업과의 계약 체결 등 비즈니스 규모를 확대하는 실질적인 성과를 이루어 냄.
- 추계 인터참 전시회가 올해 10월 23-26일 동일한 장소에서 개최될 예정
러시아 뷰티 시장 진출 전략
- 한국 화장품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지만 특정 브랜드 이미지는 아직 구축되어 있지 않으므로 중소기업 제품도 러시아 진출 가능성을 보임.
- 실제 러시아 시장도 고가의 제품 보다는 중저가의 제품을 더 선호하는 분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