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 전시회의 특징
ㅇ 중국 광저우 국제완구·교육전시회는 31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어린이 완구 및 교육 제품을 다루는 전시회임.
- 인형, 어린이 활동 및 스포츠 제품, 블록 및 음악 완구 등 각종 완구 제품과, 유아 교육 제품 및 STEM/STEAM 제품, 교습 도구 등 교육용 제품, 애니메이
션 라이선스 및 관련제품이 이번 전시회의 주된 전시 품목임.
ㅇ 광저우 국제완구·교육전시회가 개최되는 광둥성은 세계 최대의 장난감 생산지이자 수출 기지로서 전시회를 통해 중국 완구 및 교육제품 산업의 트렌드
를 파악할 수 있음.
- 완구를 제조하는 것에서 나아가 “창조” 하도록 혁신을 촉진하고 자체 브랜드를 육성해 제품 경쟁력을 제고하고자 함.
□ 전시관 구성
자료원: 전시회 안내책자, 전시회 홈페이지
ㅇ 광저우 국제완구·교육전시회는 지하 1층에서 4층에 걸친 8개 전시홀로 구성돼 서로 다른 품목을 전시함.
- 1층에 위치한 1관은 국제관으로 유모차 및 아기 침대 등 유아용품이 전시됨.
- 1층에 위치한 2관에서는 목제 완구, 종이 완구 및 음악 완구 등 각종 완구가 전시됨.
- 3층에 위치한 6관에서는 애니메이션, 캐릭터 라이선스 및 관련 제품이 전시되었으며, 1, 2, 6관을 제외한 나머지 관에서는 종합 완구제품이 전시됨.
ㅇ 전시회는 종합 완구제품을 전시하는 구역 이외에 ‘이색 전시구역(特色展?)’을 지정함.
- ‘이색 전시구역’은 국제관, 교육제품 및 놀이기구 전시관, 애니메이션 라이선스관, 한국 애니메이션관 4개로 이뤄짐.
- 전시 기간 ‘유아교육 및 완구 포럼’ 및 ‘중국 STEAM 교육 붐 포럼’ 등 관련 분야에 대한 전문 포럼도 개최됨.
□ 주목 끄는 부대행사
자료원: KOTRA 광저우 무역관
ㅇ 전시회 주최측은 완구 산업의 전문가를 초청해 전시회와 연계된 ‘유아교육 및 완구 포럼’, ‘중국 STEAM 교육 붐 포럼’ 등을 개최함.
- 8, 9일 이틀간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개최된 회의에서는 STEAM 교육의 유래와 방향, 인공지능과 STEM교육의 연계, STEAM 완구 신제품 소개
등 STEAM과 교육에 관한 내용이 다뤄 졌으며 심도 있는 대화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함.
ㅇ 회의장 내 STEAM 관련 ‘기업 및 제품 홍보 코너’를 운영해 참가기업이 신규 출시한 교구 및 학습 제품을 효과적으로 소개하고 홍보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함.
□ 한국관 현장
자료원: KOTRA 광저우 무역관
ㅇ 한국관은 KOTRA와 한국콘텐츠라이센싱협회(KOCLA)가 협력해 구성함.
- 한국관은 총 8개 부스 규모로 구성됐으며 주로 자사 브랜드 홍보와 기존 바이어와의 관계 유지, 신규 바이어 유치를 목적으로 함. 자사의 작품 및 캐
릭터, 소스코드 등을 홍보하고 나아가 캐릭터에서 파생된 각종 교습도구 및 스티커, 생활용품 등을 선보임.
ㅇ KOTRA와 한국콘텐츠라이센싱협회는 한국관 참가기업을 위해 2019년 4월 9일 오전 ‘2019 한국 캐릭터 IP 피칭 쇼’를 개최함.
- 동 행사에서는 한국 참가기업 5개사가 참가해 자사의 캐릭터를 소개하고 IP 라이선스, 파생상품 개발 등 분야에서 파트너를 발굴함.
- 현장에서 한국기업과 중국기업간 중국 시장에서의 협력에 대한 MOU를 체결함.
□ 향후 전시회 참가를 위한 조언 및 참고사항
ㅇ 중국 완구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새롭고 참신한 제품이 필요함.
- 단순한 완구는 이미 중국 시장에 대부분 진출한 상황이며 더 이상 소비자의 관심을 끌지 못함. 또한 중국제품의 품질이 많이 향상됨에 따라 품질만
가지고는 중국산 완구와 경쟁이 어려움. 따라서 참신한 아이디어로 제품을 개발해야 함.
ㅇ 완구와 교육 시장의 융합이 가속화됨에 따라 완구제품 역시 놀이를 통한 자극과 교육에 초점이 맞춰짐.
- 전시회 명칭이 ‘광저우 국제완구 및 교육제품 전시회’로 바뀌고 '중국 STEAM 교육 붐 포럼'이 개최되는 등 완구와 교육의 접목이 이번 전시회에서 가
장 중요한 이슈였음.
ㅇ 애니메이션 IP는 완구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됨.
- 통계에 따르면 현재 중국 완구시장의 30%가 애니메이션과 그로부터 파생된 완구임. 2019년 ‘라이온 킹’과 ‘토이스토리4’, ‘앵그리버드2’ 등 어린이에
게 인기를 끈 애니메이션의 신작 영화가 개봉돼 애니메이션 파생 완구의 판매를 견인할 것으로 보임.
- 완구 및 유아용품 외에도 선풍기 등 가전제품 및 화장품까지 IP 파생상품의 시장은 다양한 분야로 더욱 확대될 전망임.
*자료원: 완구전 홈페이지, 중국 완구산업 운행상황보고서 등 자료 참고 및 KOTRA 광저우 무역관 자체 자료 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