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작성자 : 관리자 등록일 : 2019-08-06 조회수 : 544

□ 전시회의 특징


 ㅇ 중국 국제남부치과전시회는 23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내실있는 국제 전시회로 최근 치과산업의 동향 및 최신 기술을 접할 수 있는 전문


     전시회임. 


    - 각종 레이저를 활용한 치과 의료기기, 치과용 디지털 3D 프린터, 임플란트, 교정기, 치료 및 미용용도의 턱 외과 전용기기, X선 장비 등


      첨단 기술이 접목된 기기가 이번 전시회의 전체적인 추세였음.


  ㅇ 국제남부치과전시회가 개최되는 광둥성은 중국 내 치과설비의 40% 이상을 생산하는 중국 최대 치과설비 제조기지로써 전문 바이어들


     이 다수 참가하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중국 치과산업의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었음.


   - 전시 기간 내 30여 가지의 전문 주제로 약 170회의 학술 세미나를 개최했고 세미나에 국내외 유명 치과 전문가를 200여 명 초청해 치과


     전시회로써의 전문성이 돋보임.


  ㅇ 한국관 참가기업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올해 참가기업이 느끼는 제3국 딜러들의 방문은 전년대비 저조했던 것으로 드러남.


    - 다수의 한국 기업들은 해외 딜러의 방문이 저조했던 원인으로 일주일 뒤인 3월 12~16일 개최되는 2019 독일 쾰른 국제치과전시회


      (IDS) 를 지목함.


  ㅇ 전시회 참가 기업 구성으로는 중국 현지기업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독일, 한국, 미국, 대만 4개국이 국가관으로 참가함.


- 1층에 위치한 독일관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관은 2층에 위치해 국가관 간의 접근성이 좋았다는 평가를 받음.    


□ 한국관 현장


설명: WeChat Image_20190311145710.jpg설명: WeChat Image_20190311145712.jpg


자료원: KOTRA 광저우무역관


  ㅇ 한국관은 KOTRA와 한국치과기재산업협회가 협력해 구성함.


    - 한국기업은 주로 자사브랜드 홍보와 기존 바이어와의 관계 유지 및 신규 바이어 유치를 목적으로 전시회에 참가함.


    - 바이어 타깃이 중국 딜러에 국한되지 않고 주변 아시아 국가 및 동남아, 중동, 남미 등 제 3국 딜러 및 바이어를 겨냥한 기업이 많았음.


  ㅇ 최근 중국의 경제 성장과 소비자의 소비 트렌트 변화에 따라, 치과 진료뿐만 아니라 치아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임.


    - 대부분 참가 기업은 중국 치과 시장에 대해 낙관적인 태도를 보이며, 발전 가능성을 높게 평가함.


  ㅇ 중국 치과 시장 진출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중국 현지 인증을 꼽음.


    - 의료기기의 경우 임상시험 등 준비 절차가 까다로워 우리 중소기업이 인증을 받기가 쉽지 않음. 또한 인증 획득까지 소요기간이 길어


      중국시장 진출 계획에 차질이 생기는 경우가 많은 편임.


□ 주목 끄는 부대행사


 ㅇ 전시회 주최측은 치과 산업의 전문 관계자들을 초청해 학술 세미나를 개최함.


   - 특히, 병례(病例) 토론회를 개최하고 병례 발표자에게 상금 1000위안 및 증서 등을 수여하는 인센티브를 제시해 현직자들이 풍부한 경


     험을 나누도록 유도함. 학술 세미나는 전문가들의 학술 관점 및 평가를 주고받으며 심도 깊은 대화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함.


 ㅇ 학술 세미나 외에도 전시기간 내 신제품 설명회 코너를 운영해 참가기업이 신규 출시한 기자재를 효과적으로 소개하고 홍보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함.


□ 시사점 및 전망


 ㅇ 중국 정부는 2030년까지 치과의사 4000~5000명을 보유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한 바 있음. 이에 따라 향후 10~20년 내 치과 및 진료소가


    현재의 5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 치아 건강관리 및 미용 목적의 치과 진료도 늘어나고 있어 앞으로 중국 치과시장은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임.


 ㅇ 한국관에 참가할 경우 바이어에게 한국 제품이라는 신뢰를 줄 수 있으므로 브랜드 인지도가 낮다면 단독부스보다는 한국관에 참가하는


    것도 좋은 홍보 방식임. 또한 지속적으로 전문 전시회 참가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첨단기술을 접목한 신제품을 경쟁력으로 내


    세워 가격 면에서의 열세를 보완해야 할 것임.


 ㅇ 국제남부전시회는 현장에서 다수의 비즈니스 상담이 이뤄지고 세계 각국의 많은 참관단이 방문하고 있어 중국 시장진출 외에도 새로운


    시장개척을 위한 교두보로서 역할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됨.


 


 


*자료원: 전시회 홈페이지 및 KOTRA 광저우 무역관 자료종합

목록보기 인쇄하기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