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작성자 : 관리자 등록일 : 2019-08-06 조회수 : 701

 전시회 개요


   토론토와 몬트리올에서 격년으로 개최되고 있는 캐나다 최대 식품 전시회인 SIAL Canada 2019 4 30


   부터  5  2일까지 토론토에서 성황리에 개최됨.


    - 이번 전시회에는 약 1,100개의 기업이 부스 참가로 제품을 선보였고, 18,500여명의 참관객이


   방문하였으며, 캐나다, 미국, 멕시코 등 50개의 국가에서 국가관을 마련함. 


    - 캐나다 기업이 가장 많이 참가했으며, 북미자유무역협정(USMCA) 체결국가인 미국, 멕시코 및 유럽, 중국


   순으로 참가가 많았음.


    - 주요 전시품목은 유기농 제품, 유제품, 육류, 냉동식품 등


    - 특히, 식품뿐 아니라 관련 서비스 기업들의 참가도 이루어지고 있어 캐나다 식품 전시회 중 서비스업과


   관련된 전문가가 참가하는 유일한 전시회임.


   한편, aT센터(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는 한국관 운영으로 총 13개의 한국기업 국가관으로 참가함.


    - 건강스낵, 조리김, 양념소스 제품군의 참가가 두드러졌으며, 특히 가공식품 제품군이 바이어의 인기를


   끌었음.


    - 그 외 4개의 한국기업은 별도의 부스를 마련해 개별 참가함. 


2019년 캐나다 국제 식품 전시회 개요


SIAL Canada 산업군별 참가 현황 


 word_image


자료: SIAL Canada 웹사이트


SIAL Canada 전시회장 전경


word_image  word_image 


word_image  word_image


자료 : KOTRA 토론토 무역관 자체촬영


SIAL Canada 한국관 현장 사진


 word_image  word_image


 word_image  word_image


자료: KOTRA 토론토 무역관 자체촬영


 캐나다 시장 내 인기를 더해가는 웰빙 식품


   캐나다 소비자들의 생활수준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올가닉 제품, 헬시 푸드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1990년대 말부터 유기농 제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는 해마다 거의 두 배로 증가하였고, 2017년 캐나다


   유기농 시장 통계에 의하면 총 유기농 시장은 CAD$5억 2천만 규모


    - 특히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은 밀레니얼 세대는 자신들이 소비하는 식품 제품들의 성분을 자세히 알고


   싶은 욕구가 증가함.


    - 유기농 제품 전문 기업의 수는 지난 1년 동안 12% 증가하여 2019년 현재 총 22,000여개가 되었음.


  ㅇ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글루텐 및 전분을 함유하지 않은 식품, 채식주의, 저열량 제품 및 유기농 음료


  제품들이 각광받고 있음.


   - 전시회 주최측 담당자는, SIAL Canada는 유기농, 건강식품 제품군 전시에 주력하고 있으며, 작년대비


   전시회에 참가한 관련 기업 수가 증가하였다고 전함. 


□ 간편한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는 캐나다


   1인가구 증가와 함께 다양한 가정간편식(HMR: Home Meal Replacement) 제품 참가의 증가


    - HMR은 조리가 끝난 상태의 제품으로 간단한 가열만으로 식사준비를 마칠 수 있다는 장점과 한끼식사를


    대체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기를 얻고 있음.


    - 전시회에서 주로 볼 수 있었던 제품으로는 냉동식품, 조리된 파스타, 건조된 과일 및 육류 등이 있음.


   휴대가 간편한 커피, , 유기농 음료, 발효음료 등 RTD(Ready To Drink) 제품의 인기 또한 증가


□ 각광 받는 치즈 산업


    치즈는 SIAL Canada 방문자가 가장 많이 찾는 상품으로, 그 인기를 반영해 올해부터 치즈 제품을 위한


    별도 전용공간 (Cheese by SIAL pavilion)을 마련


    - 치즈 관련 제품으로 전시회에 참가한 기업의 대부분은 유럽과 캐나다 동부 지역에 소재한 기업들임.


    - 9개의 나라에서 총 229개의 치즈 제품으로 참가하였으며, 주로 체다, 구다, 스위스, 브리, 블루,


    저열량 치즈 등이 주목을 받음 .


   또한, SIAL은 캐나다 내 치즈의 인기를 반영하여 최고의 치즈를 선정하는 International cheese competition


   in Canada 를 진행


    - 2019년도에 시작된 캐나다 내 최초의 국제 치즈 경쟁대회로, 정해진 23개의 치즈 카테고리 중 가장


    우수한 치즈를 선정


    - 선정된 치즈는 언론 보도 및 전시회 기간 중 Cheese pavilion Best in Show라는 타이틀로 전시됨.


     * 올해는 퀘백 주 Fromagerie La Station사 기업의 Alfred Le Fermier Grand Cru가 치즈가 챔피언으로 선정됨.


   , 와인 등 치즈와 조화를 이루는 음식을 소개하고 직접 시식 해볼 수 있는 워크숍(SIAL Inspire Drink)


   진행됨 .


   치즈에 대한 수요 증가 및 캐나다-유럽연합(EU) 간 자유무역협정  CETA(Comprehensive Economic and Trade


   Agreement) 의 발효로(2016 10 30) 북미 치즈 시장의 규모는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하지만, 캐나다는 낙농업계 보호를 위해 치즈 제품에 수입 쿼터 및 허가제를 시행하고 있어 진입장벽이


    있는 편 .


□ 전시회를 통해 본 올해의 혁신제품


   SIAL Canada 혁신경진대회(SIAL Innovation)는 식품, 비식품을 통틀어 진행하는 행사로, 올해 총 3개의


   제품이 선정됨. 


    - 전시회에 참가하는 모든 식품, 포장, 제조 공정, 판매 및 제조 분야에서 수상자를 선정하며, 건강, ,


    편의성, 혁신성 등 최신 식품 트렌드가 반영된 제품이 선정됨.



자료 : SIAL Canada 웹사이트


□ 전시회 이모저모


2019 SIAL Canada 부대 행사



자료 : SIAL Canada 웹사이트


SIAL La Cuisine 우승 메뉴


  word_image


자료: SIAL Canada 웹사이트


 시사점


 


   SIAL Canada는 RC Show(Restaurants Canada, 토론토), GIC(Grocery Innovations Canada, 토론토)와 함께


   캐나다 내 손꼽히는 식료품 전시회 중 하나로, 다른 전시회에 비해 국가관 참가가 두드러짐.


    - 제품군으로 진행되는 RC Show, GIC 전시회에 비해 SIAL Canada는 국가관으로 전시면적을 나누고 있어,


   각 국가별 식품산업의 트렌드와 특징을 같이 확인해 볼 수 있음.  


    - 철저한 B2B 중심의 전시회는 아니지만, 산업 전반에 걸친 교육목적의 컨퍼런스가 많이 진행되고, 시장의


   트렌드와 경쟁국 동향을 파악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 내수기업과 수출초보기업이 참가하기에 좋은


   전시회임.  


    - 전시회에 참관한 바이어 또한 여러 국가에서 판매되는 제품들을 한 곳에서 볼 수 있어서 유익한 행사였다고


    전함.


   다양한 부대행사가 진행되는 전시회인만큼, 우리 기업들도 전시회 참가시 참관객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이벤트


   마련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으로 보임.


    - 한국 식품의 건강성을 알리기 위한 교육, 참관객이 참여해 볼 수 있는 간단한 요리교실 워크숍 등이


    유익할 것으로 보임 .


 


   캐나다에 식품제품 수출을 위해서는 첨가 요소 등 정확한 라벨링을 표기하는 것이 매우 중요


    - 캐나다는 우유, 겨자, 깨, 땅콩, 달걀 등을 주요 알레르기 유발성분으로 분류하고 있기 때문에 성분 함유


   여부에 대한 라벨링 표기가 필수이며, 이행하지 않을 경우 벌금, 판매 금지, 리콜 등의 강력한 조치가


   이루어지므로 주의해야 함. 


    - 또한, 영어와 함께 불어를 공용어로 채택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라벨링 등에 영어와 프랑스어 병기가


   필수임.


   필수(강제) 인증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바이어들은 최소 HACCP 국제 인증 취득 제조업체와의 거래를 선호


  ㅇ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및 유기농 제품 시장 성장, 1인 가구 증가 등의 추세에 발맞추어 우리 기업들은 한국


  음식의 건강적 측면을 강조하고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는 등의 전략 구사가 필요함.


  


자료: 2019 SIAL Canada 웹사이트, 행사 참가자 인터뷰, KOTRA 토론토 무역관 자료 종합


작성자: 캐나다 토론토무역관 이희원

목록보기 인쇄하기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