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전시회 특징
ㅇ 1990년 설립 이후 제30회를 맞은 ‘하얼빈 국제경제무역박람회’
- 중국 상무부와 헤이룽장성 정부, 러시아 경제발전부 및 공업무역부가 공동 개최하였으며, ‘중ㆍ러 지방협력 : 기회, 잠재력과 미래’를 주제로 6월 15일부터19일까지 각국 기업들의 상품 전시가 이뤄짐.
- 중국 측 996개 및 러시아 측 139개 기업을 포함한 1700여 개 기업이 약 30개국에서 참가했음.
-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스리랑카 등 일대일로 참여국이 다수 참가했고, 한국과 북한에서도 각각 90개, 11개 기업이 부스 참가했음.
- 올해 박람회에서 체결한 계약액은 1700억 위안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으며, 지난해 591억 위안보다 약 3배 가까이 증가했음.
ㅇ 중ㆍ러 수교 70주년을 맞이하는 대형 박람회로 주목을 받음
- 중ㆍ러 수교 70주년뿐만 아니라 양국 정상이 이번 달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 관계를 ‘신시대 전면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끌어올린 직후 개최되어 대내외 관심 집중
- 작년 박람회에 비해 중ㆍ러 협력관의 규모가 확대되었고, 중ㆍ러 합동 공연을 진행하는 등 중국과 러시아의 협력 관계를 강조하였음.
전시회 이모저모
ㅇ 중ㆍ러 양국 밀착관계를 보여주는 중ㆍ러 협력관
- 중ㆍ러협력관은 이번 박람회의 주 전시관으로 중국기업 900여 개사와 러시아기업 130여 개사가 참가했음. 러시아기업 전시 면적이 3267평방미터에 달해 역대 최대 전시규모를 창출
- 현지에서 중국과 러시아 가수들이 ‘일대일로로 나아가자’라는 제목의 노래를 합창했고, 양국 무용수들이 합동 공연을 하며 활기찬 현장 분위기를 조성
- 헤이허(黑河), 쑤이펀허(?芬河) 등 러시아와의 접경지역 부스에는 양국의 교류 역사 등에 대한 사진이나 설명문을 배치해 양국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강조하고자 함.
ㅇ 국가 부스별 상이한 분위기
- 국제 및 홍콩ㆍ마카오ㆍ대만관은 총 34개 국가에서 온 500여 개사가 참가했으며, 국가별 전시부스 분위기는 상이한 편
- 특히 각 국가 부스가 나와있는 국가관의 경우, 박람회 기간 내내 인파가 몰릴 만큼 수입상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음.
출처 : 선양무역관
한국관 평가
ㅇ 다양한 제품이 전시된 한국관
- KOTRA, 충청북도, 대전광역시, 부산테크노파크, 부천시 등 주요 공공기관과 함께 한국 내 수출유망기업 97개사가 올해 박람회에 참가하여 한국관을 운영하였음.
- 화장품, 식품, 의류 등 생활소비재 전반을 아우르는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이면서 소비자들의 큰 관심을 얻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