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작성자 : 관리자 등록일 : 2019-08-06 조회수 : 692

□ 2018 중국 시안 국제차업 전시회 개요



□ 전시장 배치


640.webp (6)


 자료원 : 중국 서안 차 전시회 홈페이지


□ 전시회 참가 업체 및 주요 전시품


 ㅇ 총 1,800여개 개 부스로 구성되었고, 찻잎 이외에 다복, 다구, 다기, 차 관련 상품 등으로 다양한 제품군으로 형성됨. 


  ㅇ 해외 업체로는 한국 다기협회와, 대만 차 제조 기업, 네팔 정부 등의 참여 또한 확인됨.


    ㅇ 특히 이번 전시회는 지방정부 별 특별관이 구성되어 지역별 특색있는 차들을 손쉽게 접할 수 있었음.


  ㅇ 전시회 관계자는 한국의 차 문화 또한 특별한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하며, 한국의 녹차 재배 업체들이 대표단을 꾸려 온다면 한국관 설립도


      고려할 수 있다는 의사를 전달.


           


자료원 : 시안무역관 자체 촬영, 텅쉰망


□ 전시회 현장 스케치


  ㅇ 현장에서 차를 직접 우려내고, 차에 대한 설명을 하는 차예사(茶??)들에 대한 관심이 특히나 높았으며, 차를 우려내는 포차(泡茶) 기술이 뛰어나거나


     미모가 뛰어난 차예사가 있는 부스로 관객들이 몰리고 있다는 것이 당시 담당자의 설명


  ㅇ 이는 차 자체의 품질또한 중요하지만, 차의 효능, 차에 얽힌 배경을 풀어내는 설명능력을 비롯 차를 멋지게 우려내는 엔터네이너 적인측면 까지도 


      음차(飮茶) 및 구매의 과정으로 여긴다는 점을 엿볼 수 있음.


  ㅇ 이에 차후 차 전시회 참가 계획이 있을 경우, 현지 차예사를 고용, 차의 배경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후 전시회 부스를 운영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시안무역관 자체촬영, 텅쉰망


□ 제13회 서안 국제 차 박람회에 참가한 현지 업계 관계자의 의견


  ㅇ 중국 Z사 관계자 는 한국 차 제조 업체의 중국 진출에 대해 쉽지 않지만 그렇다고 기회가 없다고 볼 수도 없다고 해석함.


    - 한국의 주요 차 소비층은 노년층이나 중국은 그 구분이 매우 모호하며, 이에 중,청년층 또한 주요 고객층 중 하나임.


    - 특히, 지금까지는 찻잎의 생산지, 유서있는 차 제조 가문의 제품이 1순위 선택기준이었다면, 최근 청년층의 소비 트랜드가 "보이는 것"에 집중되면서,


      포장과 고급 브랜드화가 서서히 차 시장을 공략 중.


    - 이에 현재 중국 국내 소비자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는 X사의 차 제품의 경우 찻잎의 품질 자체는 이번 박람회에 참가한 여타 브랜드에 비해


      다소 떨어짐에도, 포장과 매장의 고급화를 통해 현재 그 어떤 찻잎보다 비싼가격에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음.


    - 특히, 찻잎의 경우 선물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보니 종이로 얼기설기 포장된 고급 찻잎보다 용기에 잘 포장된 보통 찻잎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음.


     - 이에 한국 찻잎 또한 적절한 브랜드화와 한국 특유의 우월한 디자인을 잘 살린다면 중국 시장 진출도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전함.


     - 다만, 한국 찻잎을 직접 가져온다기보다는 비즈니스 모델만 가져오는 것이 성공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의견도 제시


□ 시사점


  ㅇ 산시성 인근지 업체들이 주로 참가한 중국 서안 차 전시회에 약 1,000여개사 이상 업체가 참가했음을 통해 중국은 차( )시장 소비층이


      두텁게 구성된 안정된 시장임은 사실이나 공급자 또한 많은 레드오션임을 알 수 있음.


  ㅇ 특히, 저렴한 농촌 노동력으로 품질 좋은 찻잎이 다수 생산되는 상황이며, 찻잎 자체의 특성 상 위생에 대한 우려 요소도 적다보니 한국 찻잎이


     공략하기 특히 어려운 시장 중 하나


  ㅇ 이에 중국 차 시장을 공략하려는 우리 기업은 아래 몇 가지 방식을 통한 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됨 


    - 중국보다 개방된 우리나라의 FTA를 활용, 타국의 값싼 찻잎을 다량 들여와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중국 내수시장에 판매


    - 중국 내에서 생산되는 찻잎을 사용하되 고급화 전략을 통해, 유명 브랜드와의 콜라보, 고급스러운 2차 가공식품 생산 또는 고급스러운 다기 등과


      세트로 판매하는 방식을 통해 청년 고객층을 공략 


    - 아울러, 차를 휴대하고 다니며 마시는 소비자들을 공략, 전통적인 다기 외에도 보기 좋은 보온병 또는 텀블러 판매 (K-POP과 접목 등)


 


 자료원 : 중국시안차업전시회 홈페이지, 텅쉰망 및 시안무역관 종합 

목록보기 인쇄하기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