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전시회 현장 르포
ㅇ 미국 최대 보안시장 박람회인 ISC West 는 미국을 포함한 유럽, 아시아,
중남미 지역에서 1,000개 이상 기업이 참가하여 다양한 신상품을 선보임.
- 보안시장의 세계적 트렌드를 파악하고 우리기업 제품의 해외시장 경쟁력
을 평가해 볼 수 있는 전시회로 KOTRA는 19개 한국기업으로 국가관을
총 23개의 부스를 구성하여 동 전시회에 참가함.
ㅇ 미국 최대 전시주최 Reed Exhibition과 미국 보안산업협회(Security
Industry Association, SIA)와 함께 미국 가증큰 보안 전시회를 성공적
으로 개최함.
개별참가업체 현황
ㅇ 샌즈엑스포 Main Hall에 다수의 한국기업 개별참가
- 대기업인 한화테크윈을 포함 아이디스, 비바코리아, 트루엔, 유니온커뮤
니티, Viewz 등 많은 한국기업들이 본 전시장에 개별 참가하여 국가관
외에도 많은 한국 제품들이 관심을 받음.
- 2018년 ISC West 한국관 참가기업인 링크플로우사는 Body Camera 제
품으로 큰 관심을 받아 2019년 Main Hall에 단독 개별 참가하였음.
- 리모플러스(Remo+)는 스마트 도어락 제품으로 바이어들의 많은 관심을 받음.
주재국 내외 동종 전시회와의 경쟁 상황
ㅇ 한국, 중국과 대만의 3개의 국가 단체관 구성으로 Global Expo에 참가하
여 각 나라의 다양한 신상품을 선보임.
ㅇ 대만 대외무역발전협회인 Taiwan External Trade Development Council
(TAITRA)는 Taiwan New Products Launch라는 신제품 발표회를 전시회 개
막일에 Conference Room에서 진행하여 대만 참가기업 EverFocus,
GeoVision, VIVOTEK 등의 기업을 소개함.
ㅇ 중국은 Shenzhen China에서 150여개 기업이 참가하여 50개사는 본관
Sands Expo로 개별 참가하였고 100개 기업은 국가관을 구성해 Global
Expo에 참가함.
국가관 참가 현황
ㅇ 국가관 참가국가 : 30개국
ㅇ 국가관 현황 : 한국, 중국, 멕시코, 캐나다, 이태리 등 30개국참가
시사점
ㅇ 규모는 줄어들었으나 좀 더 ‘보안’에 집중할 수 있었던 행사로 평가
- 국가와 산업을 막론하고 현재 전 세계의 기술 흐름은 우리를 ‘스마트 기
술’로 ‘연결’된 시대로 인도하고 있으며, 이러한 트렌드 속에서 ‘보안’의
중요성도 함께 커지고 있음.
- 이러한 트렌드를 대표하는 세계 최대의 소비자 전자제품 박람회인 CES*
에서도 보안 관련 분야를 어느 정도 다루고 있어, ISC의 전반적인 규모
는 이전에 비해 다소 축소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주*: 2018년 이전까지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했던 독일 하노버 기반의 정보통신, 전
자 제품 및 기술 박람회인 CeBIT가 폐지되며, 이제는 CeBIT의 여러 구성원들을
흡수한 미국의 CES가 세계 최대의 전자정보기술 및 제품 박람회로 자리매김함.
- 그러나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실제로는 행사가 더욱 ‘보안’에 초점을 맞
춘 참가 기업들과 핵심 바이어·투자자들에 집중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
여, 오히려 더 효율적이었다는 평가도 다수 존재함.
- 미국 ‘보안’ 업계에 집중하여 진출을 계획하거나 보안 분야에 특화된 업
계의 선진 기술·시장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들은 앞으로도
이러한 전문적 행사에 참가한다면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됨.
ㅇ 예년에 비해 관심 증가한 한국 제품, 미국 시장 전망 밝을 것으로 기대
- ISC West 2019 한국관을 찾은 다수의 현지 바이어들과의 인터뷰에 따
르면, 공통적으로 이제는 중국 제품 대신 한국 제품이나 베트남 제품으
로 시야를 넓히고 있다고 전함.
- 이는 지속되는 미국 트럼프 정부와 중국 정부 사이의 무역 분쟁에도 영
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며, 이렇듯 정확한 예측이 어려운 상황 속에서
바이어들은 품질과 기술력이 뒷받침되는 한국 제품에 많은 관심을 기울
이게 된 것으로 보임.
- 이러한 현상은 보안 관련 분야의 많은 한국 기업들에 기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관련 우리 기업들은 지속적인 시장 파악과 기술력 개
발을 통한 매력적인 제품으로 계속 북미 시장에 문을 두드릴 필요가 있음.
전시회 전반적인 전시품 경향
ㅇ 연결 보안 전시 (Connected Security Expo)
- 연결 보안 전시에서는 우리 사회가 점차 나아가는 방향인 ‘초연결 시대’
에서 점점 늘어나는 사이버 위협을 완화하는 데에 물리적(Physical) 보
안과 IT 보안이 어떻게 함께 활용될 수 있는지에 집중했으며, 무인 보안
전시는 보안과 관련된 UAV(Unmanned Aerial Vehicles; 무인 공중차
량), UGV(Unmanned Ground Robotics & Vehicles; 무인 지상 로봇·
차량), 드론 솔루션 및 관련 소프트웨어와 애플리케이션에 초점을 맞춤
ㅇ 무인 보안 전시 (Unmanned Security & Safety Expo)
- 로봇기업 Knightscope, Inc.의 후원으로 무인 보안 전시 구간이 따로 마련되
어 27개 기업의 보안용 드론(UAV), 무인 로봇과 차량(UGV), 그리고 무인 보
안 시스템 등이 전시됨. 앞으로 무인 보안 기기가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 미국 보안 산업 협회 SIA의 후원으로 구별된 전시공간에서 56개 기업의
보안 애플리케이션, 데이터/IT 보안, 연결 주택 및 연결 차량, IoT, 개인
정보 보안 관리 시스템 등 연결 보안 관련 제품과 솔루션들이 소개
한국관 참가기업 전시품 동향
ㅇ UAV, UGV 보안기기로 적극 활용 될 것으로 전망
- 앞으로 무인 기기와 시스템이 보안 산업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
측됨에 따라, FAA의 관련 규제를 습득하고 앞으로 보안기기로서의 로봇
과 드론의 창의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임.
ㅇ DVR, 라이팅, 카메라, 모니터, 안전네트, 도어락 등 다양한 품목이 참가하였
고, 기술과, 디자인 등의 뛰어나다는 바이어들의 평이 주를 이루었음.
ㅇ 작년에 비해 Connected Home 관련 제품을 찾는 바이어들의 수가 눈에
띄게 많아졌고, 미국 많은 보안전자기기 시장의 관심이 Home Security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나 한국관 제품 성향이 Industry용 제품이 많았음.
ㅇ 기존의 제품들은 중국과의 가격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에 창의
적이고 획기적인 제품 또는 기술력이 뛰어난 제품이 바이어들의 관심을
살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짐.
출처 : 로스앤젤레스 무역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