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작성자 : 관리자 등록일 : 2020-01-06 조회수 : 575

필리핀 마닐라 국제식품박람회 참관기

- 식품, 제빵, 식품기기, 주방용품 등을 다루는 필리핀 최대 규모 식품박람회 -


- 필리핀 식품 트렌드를 한 눈에 확인하고 세계 각국의 제품을 접할 수 있는 현장 - 


□ 행사 개요


  ㅇ 행사 소개



  ㅇ 필리핀 최대 규모 식품박람회, World Food Expo 2019


    - 2001년 최초 개최 이후 18년째 개최되고 있으며 필리핀 내 최대 규모를 자랑함.


    - 해당 기간 필리핀 마닐라시에 있는 SMX Convention Center 및 World Trade Center에서 동시 진행됐으며, 한국관의 경우 SMX Convention Center에서 진행됨.


    - 한국, 대만, 태국, 중국, 미국, 독일, 영국 등 총 7개의 국가관으로 구성돼 있으며 한국관에서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를 통해 남양 외 총 12개 업체가 참가함.


필리핀 국제식품박람회(WOFEX2019) 현장



자료: KOTRA 마닐라 무역관 자체 촬영


□ 박람회를 통해 알아보는 필리핀 2019 음식 트렌드


  ㅇ 건강식 및 다이어트 관련 제품 인기 


    - 건강에 좋은 식품 대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번 박람회에 참가한 많은 기업들이 필리핀 소비자의 변화하는 선호도에 어필할 수 있는 제품을 다수 선보임.


    - 홍삼, 홍삼 캔디 등 원재료 자체의 건강함을 내세우는 제품 및 NO SUGAR(설탕 무첨가), LESS SUGAR(설탕 함량 낮춤)제품 등을 선보이며 건강에 대한 필리핀 사람들의 높아지는 관심도를 공략함. 또한 다이어트 및 웰빙 또한 큰 관심사로 여겨져 좋은 유산균을 통해 다이어트 효과를 볼 수 있는 김치, 요거트, 티 종류의 제품 또한 인기를 얻음.


  ㅇ 채식주의 메뉴 개발 열풍  


    - 방송, 신문 등 여러 매체에서 채식의 장점을 홍보 및 권장하며 필리핀 내 채식주의자 수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또한, 필리핀은 외국인 관광객이 많은 나라로 채식주의인 외국인 또한 많이 방문함. 패스트푸드점, 식당 등에서도 채식주의자를 위한 메뉴개발을 하려는 모습을 보이며 늘어가는 채식에 대한 수요에 대비함.


    - 이러한 모습을 반영하듯이 일부 전문가들에 따르면 사람들은 육류 제품의 대체품으로 식물 기반의 식사를 더욱 선호할 것이라 전망하고 실제 전시장 내에 고기가 들어가지 않은 햄버거 패티를 홍보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며 그 사실을 입증함.


  ㅇ 환경 친화적 제품 사용 증가


    - 소비자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 또한 개선돼 가는 추세를 보이며 플라스틱, 비닐, 기타 비생물성 물질 등을 사용한 포장 대신 환경 친화적인 포장법을 선호하는 경향이 늘고 있음.


    - 이에 맞게 필리핀 마카티시(Makati City)에서는 매장에서 비닐봉지를 제공하지 않고 필리핀 내 다수의 스타벅스 매장에서는 종이 빨대를 사용하는 등 국가와 기업차원에서의 변화가 증가함.


  ㅇ 간편조리식, 인스턴트 등 편의성 강조한 제품 선보여 


    - 행사에 참가한 많은 외국계 기업들은 인스턴트 식품을 주력으로 내세우며 진출하고자 함.  타깃층은 바쁜 현대 직장인들 및 학생들로 식사를 제대로 준비할 시간적, 금전적 여유가 부족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며, 이에 맞게 전자레인지에 몇 분간 조리 시 바로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라면이나 떡볶이 같은 제품도 접할 수 있었음.  


    - 2018년 설문조사 기업 Nielsen에 따르면 필리핀 사람들의 약 77%가 패스트푸드점을 주로 이용하며, 28%의 사람들은 배달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혼자 요리하기보다는 외식을 선호하는 필리핀 사람들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관련 업계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들이 참고할 필요 있음.


 필리핀 국제식품박람회(WOFEX2019) 전시 제품 및 부스 



자료: KOTRA 마닐라무역관 자체 촬영


□ 전시 참가 기관·기업 관계자 인터뷰



□ 시사점


  ㅇ 해외 제품의 수요가 높은 필리핀 시장


    - 필리핀 내 해외 식품의 꾸준한 수요 및 소비량은 한국 기업의 필리핀 식품 시장진출의 긍정적 요인임.


    - 해외 제품에 수용도가 높으며, 한류 콘텐츠의 인기로 한국 제품의 관심도 또한 높은 편


  ㅇ 필리핀 식품 시장 트렌드


    - 인스턴트 및 유기농 건강식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인 만큼 건강함을 강조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친환경적인 패키징 또한 필리핀의 현 트렌드인 만큼 재활용 가능한 ‘소포장 패키징’이 제품 판매에 유리할 것으로 전망됨.


    - 필리핀 사람들은 가격을 가장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는 만큼 가격정책을 차별화해 소포장 번들 판매, 낱개 판매 등 ‘가성비’를 강조하는 편이 유리


  ㅇ 주방기기 및 설비 분야의 진출 가능성


    - 현재 필리핀의 주방기기 및 설비 분야는 주로 중국, 대만, 미국 등이 독점하는 형태임.


    - 한국 기업들의 기술력으로 충분히 진입이 가능하나 다른 국가에 비해 가격대가 높은 편으로 진출의 난항을 겪는 편임. 따라서, 가격 경쟁력만 갖출 시 충분히 필리핀 시장에 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자료: WOFEX 2019, Nielson, 유로모니터, 현장인터뷰 등 KOTRA 마닐라 무역관 자료 종합    

목록보기 인쇄하기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