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 다양한 국가관 조성으로 글로벌 뷰티 업계 최신 동향 파악에 용이 - - 중남미 뷰티시장 진출 희망 우리 기업, 현지 소비자 반응 파악 시 유용하게 활용 가능 □ 전시회 개요 □ 전시회 특징 ㅇ 중남미 최대 뷰티 전시회인 EXPO BEAUTY SHOW가 올해 11회를 맞이해 지난 10월 27일부터 29일까지 멕시코시티 소재Centro CitiBanamex 에서 개최됨 ㅇ 3,000개사 이상의 국내외 기업 및 약 80,000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한 것으로 집계됨 ㅇ 제품홍보 및 시연, 각종 뷰티 서비스의 홍보를 위한 기업들의 전시 부스 외에도 30개 이상의 부대행사와 80개 이상의 세미나가 진행되어 상당히 생동감 있는 전시회로 평가받음 ㅇ 한국, 중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국가관으로 전시회에 참여해 글로벌 뷰티 업계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며, 그와 동시에 사업 파트너, 투자자, 바이어를 발굴할 수 있는 비즈니스 장의 기능 또한 수행 ㅇ B2B 상담 뿐 아니라 B2C 현장 판매도 많이 이루어짐 □ 멕시코 뷰티 시장 현황 ㅇ 2019년 기준 멕시코 뷰티시장 규모는 약 103.6억 달러 수준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5% 이상 성장함 - 뷰티시장 성장 이유는 멕시코 인구 증가, 멕시코 중산층 비율 확대,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그루밍족(화장품, 모발 관리 용품 등 미용 제품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남성을 뜻함)의 증가 등으로 분석 ㅇ 멕시코의 뷰티 시장은 2018년 총 123억 2,336만 달러의 판매액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2013년 대비 37.4 %의 증가한 수치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임 - (스킨 케어) 건강을 우선으로 하는 뷰티 트렌드가 확산됨에 따라, 스킨 케어 제품이 총 판매액의 15%를 차지하며 멕시코 뷰티 시장을 선도함. 이는 2017년 대비 6% 증가한 수치 - (색조 화장) 멕시코 여성들에게 색조 화장이 일상의 일부로 자리 잡으며 그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음 ㅇ 화장품은 새로운 소비재 수출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및 음악·방송 등 다양한 콘텐츠를 통한 한류의 확대로 한국산 화장품의 우수성이 알려짐에 따라 올해도 수출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 □ 전시회 현장 스케치 ㅇ 헤어 제품, 색조 화장품, 네일 제품 순으로 전시 부스 비중 높아 - 고객이 제품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제품들의 전시 비중이 높았음 - 대다수의 전시 부스에서 스타일리스트를 대동해 직접 제품 시연을 선보였으며, 관객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신제품에 대한 피드백을 주고받은 점이 인상적 2019 전시회 제품 분야별 부스 수 자료: 공식 홈페이지 ㅇ ‘홈 케어(Home Care)’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 - 최근 집에서 관리하는 ‘홈 케어(Home Care)’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가격도 비교적 합리적이고 간편한 제품들이 높은 인기를 얻음 - 에스테틱(전문 마사지)이나 피부과 시술을 받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소비자들이 홈케어 미용기기 시장의 주 고객으로 떠오르는 추세 ㅇ 남성 뷰티 시장의 확대 - 장내 EXPO Barbershop 2019가 개최되었으며. 참관객이 많이 모여 남성용 관리 제품에 대한 인기를 확인할 수 있었음 - 최근 미용 관리하는 남성이 늘어남에 따라 멕시코 뷰티 시장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함. 남성들의 경우 색조 화장보다 스킨케어 제품(클렌징, 스킨·로션 등)을 더 선호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스킨과 로션의 기능을 동시에 담은 올인원(All-In-One) 제품을 선호 - 유로모니터 에 따르면 남성 뷰티 시장은 전년도보다 4% 증가해 올해 6%의 성장이 예견되며, 2023년에는 385억 페소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됨 2004-2023 그루밍족을 위한 남성 뷰티 제품 판매 동향 (단위: 백만 멕시코 페소화) 자료: Euromonitor(2019.10) 자료: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 자체 촬영 ㅇ 한국관 참관 후기 - K-pop, K-Drama로 시작된 한류에 대한 관심이 한국 제품, 특히 화장품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 - 6개의 한국 기업이 참가하여 한국관을 조성하여 다양한 색상 및 제품을 요구하는 멕시코 소비자의 수요를 반영한 제품들을 전시함 - 기능성제품과 중저가 전략을 강조하는 기업이 다수 전시에 참여 - 멕시코 소비자의 특성상 자신의 피부톤과 동일한 색상의 베이스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트렌드를 반영한 화장품을 전시했던 것이 인상적
자료: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 자체 촬영 2019 EBS 전시회장 전체 부스 배치도 자료: 공식 홈페이지 □ 전시회 주요 부대행사 ㅇ EBS 아카데미 (EBS ACADEMIA) - EXPO BEAUTY SHOW에서 별도의 참가비 없이 참관객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메이크업 화장품 최신 기술 동향과 제조 실습 교육 프로그램으로,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진행하는 교육 프로그램인 만큼 수준이 높다고 평가받고 있으며 매년 참관객에게 큰 인기를 얻음 자료: 공식 홈페이지 □ 주요 참가 기업 인터뷰 ㅇ 한국 기업 인터뷰 ㅇ 현지 기업 인터뷰
□ 전망 및 시사점 ㅇ 멕시코 뷰티전시회 참가를 통해 고객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신규 바이어를 유치할 수 있음 ㅇ 고객과의 즉각적인 소통을 통해 신제품에 대한 고객의 반응을 바로 살필 수 있다는 점이 참가 업체들에 큰 이점 ㅇ 외모를 관리하는 남성들이 증가하면서 남성용 화장품 시장이 점점 활발해지고 있으나 그에 비해 제품의 다양성이 현저히 떨어져 향후 남성용 화장품 시장은 그 잠재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됨 ㅇ 한국 제품의 경우 가성비와 아이디어로 경쟁력을 갖춘 화장품이 큰 인기를 얻는 바, 우리 기업들이 현지에 진출 시에는 경쟁력 있는 가격과 성능, 그리고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요구됨 ㅇ 중남미 뷰티 시장으로의 진입을 희망할 경우 세계 각국의 최신 동향 및 트렌드 그리고 수요 현황 및 협력 기회 발굴 등을 위해 EXPO BEAUTY SHOW 2020 참가를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임 □ 전시회 현장 사진 자료: EXPO BEAUTY SHOW 공식 홈페이지, Euromonitor, 자체 현장 인터뷰 및 사진 촬영, KOTRA 멕시코시티무역관 보유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