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 중부지역 식품 요식업 국내 무역/유통의 대표적 플랫폼으로 자리매김 -
- 특색 있는 제품을 통한 중국시장 공략 필요 -
자료원 : KOTRA 창사 무역관 자체 촬영
□ 박람회 개요
O 지난 9월 20일~22일, 중국 국제 식품 요식업 박람회가 창사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었음.
- 본 박람회는 2006년 민영기업에서 개최했고, 2016년 국가급 전시회로 승격되어 올해로 4년째 성공적으로 개최되고 있음. 중부지역에서 가장 규모가 큰 박람회 중 하나임.
- 30개의 성、시、자치구와 20개의 국가와 지역이 참가하였음. 약 4,000개의 부스가 설치되었고, 국내외 1,600개 기업이 참석하였음. 참관한 총 연인원 수는 20만 명 정도임.
O 창사시 인민정부 부비서장에 의하면 이번 박람회에 15,000명 이상의 바이어를 초청하였고 그 중 식품산업 바이어의 비율은 54%, 요식업의 바이어는 46%를 차지함.
- 허마셴성(盒?生?)、 부부가오(步步高)、 워얼마(沃??)、 마이더룽(?德?)、 우한중베이시장(武?中佰超市)、 흥청그룹(洪城集?)、와이포자(外婆家)、 하이디라오(海底?) 등
□ 현장 이모저모
O 여러 행사가 동시에 진행됨
- 2019년 제 2차 중국 후난 요리 식재료 전자 상무의 날, 제 3차 후난 우수 식량 및 식용유 제품 설비기술 발전회의, 중국 중부지역 요식업 프렌차이즈와 특허가맹 박람회, 제3차 중국 창사 음주 문화의 날 등의 큰 행사가 함께 진행됨.
O 문전성시했던 국제식품전시관
- 브라질 전시관의 커피, 밀랍인형, 열대과일 태국 전시관의 말린 두리안、바나나 등의 특색있는 식품들은 큰 인기를 끌었음. 홍콩전시관은 수 많은 별미와 화려한 인테리어를 통해 핫플레이스로 자리함.
- 카메룬, 르완다 등의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140여 종의 특산품과 퍼포먼스를 선보여 참관객들의 이목을 끌었음.
- 오스트레일리아, 프랑스, 르완다, 브라질, 라오스,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오스트리아, 태국, 일본 등 20개의 국가는 커피, 술, 육포, 커피, 견과류, 유제품, 차, 차구, 해산물 등을 선보임.
(좌) 브라질 전시관 (우) 르완다 전시관 퍼포먼스
자료원 : KOTRA 창사무역관 직접촬영, 中?新??(chinanews.com)
O 한국 식품 전시관, 한국의 맛으로 관람객들의 관심을 사로잡음.
- 총 8개 사의 한국 식품기업이 참가하였으며 떡볶이, 어묵, 감귤 초콜렛, 유자차, 한라봉차, 홍해삼농축액 등 여러가지의 한국 식품을 선보임.
- 참관객들은 “한국 식품은 건강하고 친환경적인 이미지가 떠오른다.”며 한국 식품에 호의적인 반응을 보임.
(좌) 제주자연식품 유자차, 한라봉차 (우) 제주팜 감귤초콜렛
(좌) 신한에코 홍해삼농축액 (우)맛뜰안식품 어묵, 떡볶이
자료원: KOTRA 창사 무역관 자체 촬영
□ 현장 인터뷰
□ 전망 및 시사점
O 개방정책과 무역원활화 정책에 따라서 중국내 수입식품에 대한 소비규모가 빠른속도로 증가하고 있음.
- 2019년 아이리서치(iResearch) 수입식품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수입식품의 규모는 700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연평균성장률이 17.7%를 기록함.
- 주요 소비자들은 광동, 상해, 베이징 등 주로 동부 연해지역의 1~2선 도시에 밀집되어 있음. 하지만 1~2선 도시는 포화상태에 도달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 기업들은 앞으로 3~4선 도시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중국내 중상층의 증가에 따라 삶의 질이 강조되고 있어, 소비자들은 건강하고 안전한 프리미엄 제품을 선호함. 또한 젊은 층이 수입식품의 주요 소비자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제품개발과 마케팅 전략이 요구됨.
O 중국 국내 식품 전자상거래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서 온라인 플랫폼 운영모델이 자리잡고 있음.
- 전통적인 유통채널보다 효율성이 높고 유통원가를 감소시킴. 또한 광범위한 소비자들에게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음.
- 아이리서치(iResearch) 보고서에 의하면 중국내 소비자들의 74.2%가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서 수입식품을 구매한다고 응답함. 따라서 국내 기업들은 전통적인 유통채널에서 벗어나 트렌드에 맞는 유통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O 다양한 감각적 체험을 가져다 주는 식품을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공유하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생겨남.
- 소비자들은 일상생활에서 음료, 스낵 등의 식품을 통해 체험한 쫄깃함, 바삭함과 같은 감각적인 느낌을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공유함.
- 2018년, 중국에는 치즈 휘핑크림을 얹은 치즈티가 큰 인기를 끌었음. 시민들은 “치즈티 토핑의 솜털과 같은 시각적인 효과와 부드럽고 순한 맛”을 공유하기 위해 긴 대기 행렬도 마다치 않았음.
출처 : 창사무역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