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작성자 : 관리자 등록일 : 2020-01-14 조회수 : 519

 전시회 개요



   전시회 소개  특징


 


전시회 장소 Egypt International Exhibition Center(EIEC) 


(KOTRA 카이로 무역관 촬영)


ㅇ 다양한 기회와 방향성을 제공해주는 전시회


• 올해로 29번째로 개최되는 전지전력 박람회로서, 2018년 기준 200개 이상의 업체들이 전시회에 참여했고 1만 명 이상의 방문객이 방문했을 정도로 그 규모가 큼.
• 전구와 케이블에서부터 큰 규모의 전력 발전기까지 다양한 품목들을 전시함.
• 전기전력 분야 제조 및 공급업체들과 바이어들에게 다양한 사업 기회 및 방향성을 제시함.


ㅇ 시장 최신 트렌드를 읽을 수 있는 다양한 전시회
• 이집트 업체뿐 아니라, 터키, 한국, 중국, 이탈리아 등 다양한 국가에서 참여하는 부스를 통해 세계 전력 시장의 트렌드를 알 수 있음.
• 일반 전구, 전지, 케이블류뿐만 아니라 스마트 배전 시스템,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홈의 전력 컨트롤 시스템 등 4차 산업혁명 이후의 트렌드가 반영된 제품들을 볼 수 있음.


 전시관 구성  특징





박람회의 한국관, 중국관과 다양한 국가의 다양한 품목이 전시된 전시관들


사진(KOTRA 카이로 무역관)


ㅇ 전시관 구성 및 특징
• 이번 전기전력박람회는 총 1개의 전시관으로 구성됨. 참가국들은 한국, 중국, 이탈리아, 터키, 이집트 등으로 다양했음.
• 각 기업들의 전시품목은 콘센트, 스위치 등에서부터 큰 기관장치, 발전장치 등에서까지 그 크기와 기능이 다양했음.
• 중국관은 부스가 약 20여개 정도로 다른 국가관에 비해 그 수가 압도적으로 많았음. 각 부스의 규모는 소규모로 콘센트, 작은 전구 등 작은 전시품을 위주로 전시함.
• 이탈리아 기업 D사는 전기부품을 넣어놓는 캐비닛 등을 전시함.
• 이집트 기업 E사는 입구에서 관련 제품 팸플릿을 배부하며 스마트 계량기, 조명, 발전기 등을 전시해 방문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킴.
• 아랍전통복장을 입고 홍보를 하던 이집트의 한 업체도 방문객들에게는 인상적이었음.
• 한 이집트 업체 A사는 전시관을 집 형태로 꾸며 조명, 스위치 등을 효과적으로 전시함.
□ 국내 기업 인터뷰로 보는 이집트 전기전력 시장 현황


ㅇ 전시회에 참가한 국내기업 2개사와 전기전력시장 트렌드 및 이집트 시장 진출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음. 인터뷰 내용은 하기와 같음.


ㅇ 한국 기업 A사
• 피뢰기, 폴트로케이터 등을 취급하는 업체임.
• 한국에서는 설비발달 등으로 인해 사용빈도가 극히 낮아진 피뢰기, 폴트로케이터 등의 제품들은 이집트 등의 국가에선 여전히 유용하나 공급이 많지 않은 실정임. 따라서 이집트 시장은 그런 면에서 매우 유망함.
• 현재는 제품 자체의 필요성을 보고 진출해야 할 것 같음.
• 철도, 전력 등 국가가 통제권을 가지는 산업분야와 협업이 필요하므로, 이집트 정부 기관들과의 연결성이 필요함.


ㅇ 한국기업 B사
• 릴레이, 컨트롤 스위치 등을 취급하는 업체임.
• 이집트는 차후 모든 분야에서 개발이 활발히 이뤄질 국가인만큼 전력 소모량도 클 것으로 예상됨.
• 그렇기 때문에 전기전력 분야에서 한국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가능성도 꽤 있을 것으로 사료됨.
• 한국산 제품들에 대한 인식은 품질 등의 면에서 좋은 편이나, 중국/터키산 제품들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음.
• 중국산 제품은 싼 가격을 경쟁력으로 하고 터키, 유럽산 제품들은 적당한 품질에 관세가 없는 것을 무기로 함.
• 중국과 터키/유럽산 제품들을 상대하려면 원가 절감 전략이 필요함.




한국관의 한국 기업 부스들


사진(KOTRA 카이로 무역관 촬영)


□ 이집트 바이어 인터뷰로 보는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인식


ㅇ전시회에 참가한 이집트 바이어 2개사와 이집트 바이어들의 한국 기업 및 제품에 대한 인식, 한국 기업들이 세워야 하는 이집트 시장 진출 방향성에 대해 알아보았음. 인터뷰 내용은 하기와 같음.


ㅇ이집트 업체 A사
• 카메라(cctv), 알람 시스템 등을 취급하는 업체임.
• 한국 기업, 제품에 대한 이미지는 이집트 내에서 아주 좋은 편임.
• 중국 기업의 경우엔 해외 진출을 할 때 PT, 홍보를 굉장히 많이 함. 그에 비해서 한국 기업은 홍보 등의 부분이 상대적으로 약한 편임. 중국 등을 상대하려면 한국 기업들은 그 품질의 우수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음.


ㅇ이집트 기업 B사
• 스위치, 램프 등을 취급하는 업체임.
• 한국 제품들은 품질이 우수하나 가격대가 높은 편임.
• 중국 제품들은 품질은 별로이나 가격 면에서 경쟁력이 있음.
• 터키, 유럽 제품들은 품질도 괜찮고 관세를 면제받아 가격 면에서도 경쟁력이 있음.
• 한국 제품들도 비용을 절감해야 이집트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을 것임.
□ 요약 및 시사점


• 이집트는 젊은 층 인구 비율이 높고 전체인구는 1억에 가까운 중동의 대국임. 또한 IMF data mapper에 따르면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지역이므로 그에 따라 전력수요도 앞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이집트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를 잇는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수단 등의 아프리카 다른 국가들과 전기전력 분야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임. 이집트 진출을 발판삼아 아프리카 진출도 꾀해볼 수 있음.
• 현재 이집트 전기전력 시장에는 값싼 중국산, 터키 및 유럽산 제품들이 대거 포진해있음. 한국산 제품의 우수한 품질에 대한 인식은 좋은 편이나, 가격을 무기로 하는 다른 지역의 제품들을 상대하려면 비용 절감 전략이 필수임.
• 중국 기업들의 경우엔 자국 기업 및 제품 홍보, PT에 적극적이고 비용 면에서도 경쟁력 이 있음. 한국 기업은 제품 품질의 우수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할 필요가 있음.
• 관세가 면제되는 터키, 유럽 등지의 지역에서 제품을 수입하여 관세면제혜택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의 비용 절감 노력이 요구됨.
• 4차 산업 혁명 이후 모든 산업 분야는 빠르게 변화중임. 전기전력산업에서도 곧 상용화될 스마트 홈, 스마트 그리드 등의 분야에서 한국 기업은 그 뛰어난 기술력을 무기로 이집트 전력 시장의 트렌드를 이끄는 선두주자로 발돋움하기 위해 다양한 측면에서의 진출 전략을 수립해야 함.


*비고 : 리뷰자료 초반 표의 개최규모, 참가업체수, 참관객수는 2018년 전기전력박람회의 자료임.


자료원 : 카이로 무역관 자체 조사, Electricx 홈페이지, 주최사 informa middle east&africa 제공자료

목록보기 인쇄하기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