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작성자 : 관리자 등록일 : 2020-01-14 조회수 : 518

- 올해 10년째로 미국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인 미시간 주에서 매년 9월 개최 –


- 참가업체 734개, 참관객 수 8,500명이 찾는 미국 대표 배터리 쇼 -


 행사 개요



  해로 10년째를 맞이하는 2019 The Battery Show, Electric & Hybrid Vehicle Technology Expo는 미국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인 미시간에서 개최되었으며, 자동차, 재생에너지, 전자제품 등 다양한 산업을 대표하는 업체들이 최신 배터리 및 배터리 부품 기술과 제품을 소개함


  -  배리쇼는 영국 컨퍼런스 및 출판 전문업체인 Informa 에서 개최하고 있으며 북미 배터리 쇼 (미국 노바이, 9월)와 유럽 배터리 쇼 (독일, 슈투트가르트, 5월)로 나눠서 개최 중임


 ㅇ 또한, 작년보다 더욱 확대된 제품 쇼케이스 및 테크 포럼 세션을 통해 산업 인들  친목을 다지고 산업 동향에 대해 교류하는 시간을 가짐


 ㅇ 약 8,500명이 참가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참관객의 주요 종사 직종으로는 Engineering이 가장 높았음. 이 외, Business Development/Marketing, Executive Management, Research & Development, Consultant, Purchasing 순임  


 



























































연번


관심 분야


The Battery Show


Electric & Hybrid Vehicle Technology Expo


1


Engineering


29%


34%


2


Business Development / Marketing


22%


25%


3


Executive Management


8%


8%


4


Research & Development


6%


5%


5


Consultant


3%


3%


6


Purchasing


2%


2%


7


Project Management


2%


3%


8


Technical Service / Management


2%


1%


9


Manufacturing / Prdocution


1%


2%


10


Others


18%


15%


 


자료원 : thebatteryshow.com/


 북미 배터리 시장 동향


 ㅇ 시장조사기관 IBIS World 따르면 미국 리튬 배터리 시장 규모는 2018 기준 49 달러이며, 향후 5년간 연간 1.5% 성장률과 함께 2023 53 달러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할 전망


  - 리튬 이온 배터리의 주요 산업 구성은 리튬 니켈 망간 코발트 배터리(Lithium nickel manganese cobalt batteries) 29% 가장 두드러진 성장을 보였으며,   리튬 코발트 산화물 배터리(Lithium cobalt oxide batteries) 29%  리튬 인산철 배터리(Lithium iron phosphate batteries) 22% 집계됨


 ㅇ 또한, IBIS World 따르면 미국 최대 배터리 생산 기업은 LG 화학 미시건으로 6%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LG 화학 미시건은 2011 미국 미시건  Holland 시에 배터리 생산 공장을 설립하였으며, 사업 확장으로 105,000 평방피트 (Square Food) 규모의 공장을 증설하여 2017년부터 추가 물량 생산에 돌입함. 주요 고객으로는 Ford GM  완성차 기업이 있음


미국 배터리 시장 점유율



자료원 : IBIS World


 ㅇ 전세계 적으로 연비 기준이 높아지고 있으며, 중국의 경우 정부 주도로 전기차 개발과 인프라 확충에 힘쓰고 있는 만큼 배터리 산업은 전기차 시장과 함께 발전하여 미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산업  하나임


  -  자동차 산업의 지각변동으로 기존 내연기관에는 없었던 배터리 ,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과 같은 배터리 관련 부품 시장 또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배터리 셀 : 배터리 팩의 초기 단계로 리튬이온 배터리로 구성


   *   배터리 모듈 : 외부 충격으로부터 배터리 셀을 보호하기 위해 여러 개의 셀을 하나로 묶은 조립체


   *   배터리 팩 :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관리 시스템, 냉각장치 등 각종 제어/ 보호 장치가 함께 장착된 최종 형태의 배터리 케이스


 전시회 현장을 전하다


 ㅇ 매년 전시회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배터리 쇼는 작년 705개 업체보다 소폭 증가한 734개 업체가 참가함


전시관 전경


     


자료원 :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직접 촬영  


 ㅇ BorgWarner, Eaton, DANA등 다수의 글로벌 부품사가 독자적인 홍보 부스를 확보하여 전시회에 참가하였으며 소규모 업체 및 벤처기업의 참가가 증가해 작년 보다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함   


전시관 내 글로벌 Tier -1 부스 전경


  


자료원 :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직접 촬영


 ㅇ 11개의 한국업체가 참가하며 미국  브랜드 인지도 강화  신규 고객사 발굴을 위한 열띤 홍보에 나섰음


  -  참가업체로는 ECOCAB, EPT Inc, Gridwiz, ILJIN Materials, PNT, PNE Solution, EGTRONICS, LSIS Co, mPLUS, NS Co, KET  있음


전시관 내 한국업체 부스 전경


  


자료원 :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직접 촬영


 ㅇ 세계 최대의 전기차 시장으로 떠오른 중국답게 57개의 배터리 관련 중국 업체가 배터리 쇼에 참가하면서 미국 내 배터리 시장을 선점하려는 기업 간의 경쟁이 치열했음. 전시회 측에서 미국에 법인 또는 지사를 운영하는 기업은 미국기업으로 분류한 만큼, 미국에 진출한 중국기업을 추가할 경우 중국기업의 참가 수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참가업체로는 Alium Batteries, AME energy co, AYAA Technology, Charles Ross & Son Company등이 있음


 ㅇ 또한, 대만의 National Cheng Kung 대학교와 National Tsing Hua 대학교의 전시회 참가가 눈에 띔. 각 대학 소속 연구실이 연구한 리튬 배터리 소재 연구 결과를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하였으며, 미래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중국과 대만의 노력이 기업뿐만 아니라 대학교에서도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함


전시관 내 National Cheng Kung 대학교 부스 전경


 


자료원 :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직접 촬영


 ㅇ 테크포럼 세션은 크게 Advanced Battery Technologies Industry Outlook, Electric & Hybrid Vehicle components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정부기관 (Department of Energy), 대학 (University of Michigan), 완성차 기업 (Ford, GM), 글로벌 부품사 (BorgWarner, Eaton, DANA) 유관기관에서  150명의 연사가 참가


  -  (Advanced Battery Technologies) Solid Power의 CEO인 Doug Campbell이 연사로 참가하여 리튬 이온 배터리 보다 안전하며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벌크형 전고체 배터리 (Bulk Type all Solid State Batteries, ASSB)를 소개함


  -  (Hybrid Vehicle Technology) MAHLE Powertrain의 북미 엔지니어링 부서 총괄자 Hugh Blaxill이 연사로 참가하여 하이브리드 보다 가격 경쟁력이 있으면서 고전압 시스템 사용이 가능한 48볼트 시스템을 소개함


전시관 내 테크포럼 전경



자료원 : thebatteryshow.com


 전시회 참가 주요 기업 인터뷰


  (O 사, 엔지니어) 중국 업체들의 참가가 눈에 띄며, 미래 전기차 시장을 중국이 선도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음. 또한, 유럽국가에 기반을 두고 있는 기업들이 48볼트 마일드하이브리드 부품을 소개하는 것으로 보아, 유럽 환경 규제 강화로 기업들이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대안으로 48볼트 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것으로 보여짐


 ㅇ (E사, 영업담당자) 올해 2번째로 배터리쇼에 참가하고 있으며, 작년 전시회 참가로 만난 고객사와 좋은 관계를 이어나가고 있다고 표하며, 향후 지속해서 전시회에 참가할 시 북미 시장 개척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힘. 또한, 고객사들도 전시회장에 독자적인 부스를 마련해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는 만큼, 고객사 및 잠재 고객사와의 네트워킹에도 용이하다고 함


 시사점


 ㅇ 전 세계적으로 연비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만큼 자동차 산업 전반에서 친환경 자동차 및 관련 부품 시장이 대두되고 있는 모습을 이번 전시회를 통해 볼 수 있었음. 자동차 산업이 변화하고 있는 만큼 국내기업 또한 배터리 전시회 참가를 통해 배터리 기술동향 및 최신 트렌드를 파악하고 적극적인 네트워킹으로 신규 바이어를 발굴하는 등 미국 배터리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임   


 ㅇ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중국의 배터리 기술력 빠르게 성장함과 동시에 국제 배터리 시장에서 경쟁력을 쌓고 있는 만큼 국내기업이 미래 배터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투자 및 기술 연구 지원 정책 마련이 시급함


자료원 :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보유 종합 자료, thebatteryshow.com, IBIS World  

목록보기 인쇄하기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