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작성자 : 관리자 등록일 : 2020-01-21 조회수 : 564


전년대비 전시회의 전반적인 분위기
올해 CAMX 복합소재 한국관 전시 행사는 처음 개최하는 것으로, 한국관 홍보를 강조하기 위해


상부를 높게 설치하고, KOREA BI를 크게 넣었으며, 배경을 blue 톤으로 하여 시선이 분산되지


않게 디자인하였음
전시관 구성
홍보부스의 경우, 참가사의 정보가 기재된 디렉토리 북 거치대를 배치하여, 방문객이 기업정보 및


전시품에 대한 정보를 선 이해하고 둘러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무역관에서 대동한 통역관을


상주하게 하여, 한국관 참가사 전체를 소개하고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데스크를 배치함


종합분석
  가. 전시회 현장 르포
    ㅇ 항공, 우주, 자동차, 건축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고강도 부품 소재 위주의 전시업체가 주로 참가함.


    ㅇ 특히 탄소섬유 복합소재와 관련된 전시업체가 대부분 이었으며, 섬유 및 원단 제조업체, 에폭시


        등 수지 제조업체, 프리프레그 및 성형, 가공업체 등이 각자의 기술력을 홍보하며 전시하였음


    ㅇ 미국은 항공, 우주, 방위산업이 발전된 나라로써, 탄소섬유가 보강재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


        션이 매우 다양하여, 다른 선진국가에 대비 스펙트럼이 넓고 기술 수요가 명확함.


    ㅇ 社Rockledge(미국)와 社Cygnet Texkimp(영국)는 고밀도의 매트릭스 복합소재와 등방성 수지,


        탄소섬유 처리 기술을 통하여 하이테크 용 복합소재를 개발


    ㅇ 탄소섬유 원사 제조 분야에서 확고한 입지를 굳힌 대표적인 일본 기업 3곳(도레이, 데이진,


        미쓰비시 레이온) 또한 이번 전시에 참여하였으며, 응용 분야가 넓은 시장인 만큼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여 기술력과 제품 품질을 홍보함


    ㅇ 특히 도레이는 심해저용 파이프에 적합한 탄소섬유 제품과, 비닐에스트르계 레진과 접착성이


        향상된 해양용 제품, 고압용기용 제품 등을 전시함
    ㅇ Biomid Fiber(미국)는 기존 복합재료용 섬유를 대신할 비스코스레이온 계열의 제품을 전시하여


        주목받았으며, Toho Tenax(미국)은 항공우주용 spread tap 탄소섬유 제품을 전시하는 등,


        응용분야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제품을 출시하는 업체들이 주목 받음


    ㅇ 금년 국내 업체로는 유일하게 효성이 원사 제조업체로써 본 전시에 참여하였으며, 일본의


        탄소섬유 기술과의 독립을 선포한 올해, 새로운 시장 분석 및 기술력 홍보를 통해 도전을


        꾀하는 모습임


    ㅇ 미국은 항공, 우주 산업이 발전된 나라로써, 탄소섬유가 보강재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매우 다양하여, 다른 선진국가에 대비 스펙트럼이 넓고 기술 수요가 명확함


    ㅇ 이번 전시에서는 특별히 社Airborne(네덜란드)가 데모 전시공간을 마련하여. 복합소재를 제품의


         제작과정을 시연하였으며, 특히 스마트 생산라인을 이용하여 응용제품에 따라 각각 요구되는


         성능을 짧은 시간동안 구현할 수 있음. 단가의 부담이 없는 다품종 소량생산 시스템을 제안함으


         로써 관람객들에게 가장 관심이 많음


  나. 한국관 주요 전시품목 동향
    ㅇ 한국관 참가 기업 9개사 중, 탄소섬유 제조 및 가공과 직물 및 프리프레그 제작, 부품용 성형


        제품 제조와 관련된 기업이 총 6개사로 가장 많았으며, 2개사는 복합소재 제조 기계 제조 업체


        이고, 나머지 1개사는 복합소재를 활용한 응용제품 생산기업이었음


    ㅇ 보강재용 섬유 가공 및 제직
      - 프리프레그 용 탄소섬유 직물 (LFT, CFT Weaving, UD Slitting 및 Weaving)       


      - 전도성 확보를 위한 금속 코팅 가공 탄소섬유 및 전자파 차폐 소재


    ㅇ 복합소재 부품 성형
      - 자동차용 탄소섬유 복합소재 부품(B필러, C필러, 센터터널 등)
      - 여행용 케리어 등 카본섬유 성형품
      - CNT 혼입 복합소재 펠렛 및 사출 제품


    ㅇ 복합소재 및 응용 부품 제조 기계
      - 캘린더링 용 인덕션 히팅 롤
      - 슈퍼섬유, 탄소섬유, 기능성 섬유 연구개발용 방사 시스템
전시회 성장성(추이 혹은 발전 방향)
    ㅇ 세계 최대 미국시장에서 개최되는 유일의 복합소재 전시회
     - CAMX는 복합소재 제품과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비즈니스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하고자 하며, 최대 수요처인 미국에서 개최된다는 점과, 기존 기업의 다양한 제품군


       생산 역량 및 스타트업의 성장을 통한 신기술 개발 역량 등을 비추어 보았을 때, 향후


       JEC show와 비교되는 복합소재 전문 전시회로써 성장 할 가능성이 높음


주재국 내외 동종 전시회와의 경쟁 상황
    ㅇ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는 JEC show는 세계 최대 규모의 복합소재 전시회로서, 매년 3월에


        개최되며, 100여개 국가에서 약 2000개의 업체가 참가하고, 약 4만여명의 관람객이 찾는 전시회임.
    ㅇ 복합소재 전시 후발 주자인 CAMX는 앞으로 최대 시장인 미국의 수요를 배경으로 JEC 급의


        전시회로 급부상 할 예정임


국가관 참가 현황
    ㅇ 한국관 외, 프랑스관이 본 전시에 참가하였음(총 국가관 참가 국가 2개사)


전시품에 대한 평가
  가. 전시회 전반적인 전시품 경향 (선진국 및 선진제품 동향)
    ㅇ 탄소섬유의 경우, 레진과의 접착성이 향상 등 응용분야에 따라 최적화 된 맞춤형 제품을 출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직편물 분야에는 대체로 탄소섬유 spread tape을 사용하여 부분 보강


        또는 3차원으로 적층한 preform들이 최적의 솔루션으로 보편화되는 추세임


    ㅇ 수지 및 성형공법 분양에서는 열가소성 CFRP, wet compression molding, SMC, overmolding,


        사출성형, 인발성형, multi-material 성형, insert 복합성형 등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고속 성형


        공법이 증가하는 추세임
     ㅇ 열가소성 수지는 항공용으로서 PEKK, PEEK, PA, PPS, 자동차용으로서 PA, polyolefin, PPS,


         PC로 수렴되고 있으며, 가방, 스포츠용품 등에는 ABS, Polyolefin, PA, PC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고 있음


  나. 한국관 전시품의 경향
    ㅇ 올해 전시에서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탄소섬유 가공 및 프리프레그용 원단 제조, 열프레스


        성형을 통한 완성품 제조 등 중간재 제조 및 성형 업체들이 참가하여, 기술 및 제품을 홍보하였음


    ㅇ 국내 기업 들이 기존 인프라 및 기술력을 통해 선진 제품의 성능을 따라가는데 어렵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향후 공정 과정에서의 비용을 낮추기 위한 공법, 설계, 시뮬레이션, 제조장비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갖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음


    ㅇ 또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자동차의 금속과 플라스틱을 대체할 재료로써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며, 차년 전시에서는 업체를 발굴하여


        한국관에 전시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임

출처 :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목록보기 인쇄하기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