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작성자 : 관리자 등록일 : 2020-01-21 조회수 : 532

- 4회째 개최되는 아프리카 Korean Consumer Goods Showcase -


아프리카에서도 한국 제품에 대한 관심 증가 전시회 활용한 우리 기업의 적극 진출 필요 -


□ 행사 개요 



 2016년부터 올해 4회째인 이번 전시회는 작년과 같이 나이로비와 연계하여, 10 1()~2(케이프타운, 4()~5(나이로비에서 개최됨.

    - 올해는 특히 아프리카 소비재 수출대전 플러스로 명명하며 소비자들도 국내 기업 전시를 참관하고 한류 행사까지 가미하는 등 색다르게 시도


전시회장 전경


EMB000044842a94EMB000044842a95


EMB000044842a96EMB000044842a97


자료원요하네스버그무역관 직접 촬영 


□ 전시 및 운영 


  ㅇ 수출상담회


    - 참가 기업은 뷰티(화장품네일스티커 등), 식품(반조리식품스낵커피 등), 생활용품(세제선풍기도어락골프용품, LED 전구플라스틱 병쥬서기언더웨어 등등의 부문으로 약 500건의 상담이 진행됐으며대면 상담 외에도 화상상담대리 상담등이 이루어짐.


    * 대리 상담일부 타아프리카 국가들에서 참가하기로 했던 바이어들이 비자를 발급받지 못해 부득이 불참했던 바해당 국가들에 있는 KOTRA 무역관 현지 직원들이 바이어들을 대신하여 상담 진행


    - 바이어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들도 등록 후 입장할 수 있게 하여소비자들에 직접 제품을 판매하면서 반응을 실제로 볼 수 있었음.


    - 화장품은 특히 현지 대형 드럭스토어인 Clicks와 온라인 쇼핑몰 Superbalist, Takealot 등에서 큰 관심을 보였고일반 바이어들도 많이 문의함.


    - 식품생활용품 등의 경우는 Woolworths, Pick n Pay 등 대형 유통망 관계자 및 벤더들과도 상담이 이루어졌고 현지 시장 및 소비자 특성에 대한 피드백을 얻을 수 있었음.


전시 업체 수출상담회


EMB000044842a98EMB000044842a99EMB000044842a9aEMB000044842a9b


자료원요하네스버그무역관 직접 촬영


  ㅇ 전시


    - 사회적 기업관에서는 사회적 기업(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며 영업하는 기업)들의 각종 캐릭터 제품식품여성청결제키보드 등을 전시하고 판매함.


    - K-Tech관에서는 한국의 첨단 기술을 보여줄 수 있는 전자기기, PC 주변장치휴대폰 액세서리(VR 렌즈거치대 등)가 전시됨.


    - CSR관에서는 앰뷰글로벌의 생리대 기부 및 삼성의 사회공헌사업에 대해 소개됨.


    - 또한 삼성 기업관과 연계하여 진행한 VR 체험관을 통해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시킴.


    - K-Culture관은 문화 홍보관으로, K-pop, 한국 영화 등을 홍보


사회적 기업관, K-Tech, CSR  VR체험관


EMB000044842a9cEMB000044842a9d


자료원요하네스버그무역관 직접 촬영


  ㅇ 판촉전


    - 한국 제품을 판매하는 현지 업체 12개사, KOTRA에서 판매 대행한 국내 화장품 업체 8개사 20개사가 판촉전에 참가하여 일반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제품을 체험하고 구매할 수 있는 팝업스토어를 이틀간 운영함.


    - 현지 업체 중 7개사는 뷰티(화장품네일제품 등), 3개사는 식품(김치한국 식품라면), 2개사는 생활용품(K-pop 굿즈휴대폰케이스)을 취급함.


    - 국내 화장품 업체들의 제품은 K-Beauty관에서 전시되었는데이 중 2개사는 소비자들에 제품을 판매했으며 다른 6개사는 추후 현지 온라인 쇼핑몰 Superbalist에서 판매될 제품을 소개할 수 있었음.


    - 제품을 판매한 화장품 업체 중 하나인 고센코리아는 남아공 대형 드럭스토어 디스켐(Dis-chem)에 공급하기로 계약된 마스크팩의 샘플을 시연하는 등 제품을 홍보함.


판촉전 전경 및 마스크팩 시연


EMB000044842a9eEMB000044842a9f


EMB000044842aa0


 자료원요하네스버그무역관 직접 촬영


  ㅇ 포럼


    - 전시회의 시작을 알렸던 10.1(개막 포럼에는 남아공 소비재협회주남아공 한국 대사관남아공 한류 커뮤니티에서 참석


    - 남아공 소비재협회장은 남아공 소비재 시장을 설명하며 한국 기업이 진출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함.


    - 이후 한국 생리대 제조업체인 엠뷰글로벌의 생리대 기부 행사를 통해 NGO단체 2 (OGRACE LAND, GIRLS with WIINGS) 20만장의 생리대를 기부함.


개막 포럼 및 생리대 기부 행사


EMB000044842aa2EMB000044842aa3


자료원요하네스버그무역관 직접 촬영


  ㅇ 한류 행사


    - 전시회 기간 동안 같은 장소에 마련된 무대에서는 한류 컨퍼런스, K-pop 댄스 경연대회불닭볶음면 챌린지한류 퀴즈메이크업 튜토리얼 등 다양한 한류 행사가 진행됨.


    - 메이크업 튜토리얼은 판촉전에 참가한 국내업체 브랜드 제품을 사용했으며현지 유명 인플루언서가 실제로 일반인에 메이크업을 시연하며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팔로워들에 한국 뷰티 제품을 홍보함.


한류 행사(메이크업 튜토리얼댄스 경연대회)


EMB000044842aa4EMB000044842aa5


자료원요하네스버그무역관 직접 촬영


□ 전문가 의견


  ㅇ 현지에서 한국 화장품을 판매하는 Butterkup 대표는 한국 제품의 아프리카 현지 시장 진출 시현지 사정에 맞도록 제품 패키징에 주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언급


    - 아프리카 소비자들은 미백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은데패키징에 “화이트닝(Whitening)”이라는 표현이 있으면 인종차별적이라고 생각하거나몸에 안 좋은 화학 성분이 들어있을 수 있다는 편견을 가질 수 있으므로밝아진다는 뜻의 “브라이트닝(Brightening)”이라는 표현을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함.


    - 또한 제품 패키징에 영어로된 설명이 너무 작은 글씨로 적혀 있을 경우 통관 시 잘 보이지 않게 표기되었다는 이유로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영어로 된 설명이 잘 드러날 수 있으면 좋을 것이라고 첨언


□ 시사점


  ㅇ 전년도 행사에 비해 한국 제품을 판매하는 현지 업체도 더욱 많아졌고한국 제품 및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방문한 사람들도 증가했던 바문화 산업과 연계한 소비재 상품 수출 활로 모색 필요


    - 현지 온라인 쇼핑몰에서 가장 인기 있는 2곳인 Takealot Superbalist에서는 다양한 부서에서 여러 명의 담당자들이 참가했으며일반 참가자들 중 다수가 첫째 날에 방문한 후 이튿날에도 재방문하는 등 많은 사람들이 한국 제품에 관심을 보임.


    - 한류 스타가 사용하는 화장품한국 드라마에 나오는 생활 소비재 등 한류 콘텐츠와 접목한 연계한 마케팅 사업도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


  ㅇ 특별히 이번 행사에서는 현지 유통망(드럭스토어온라인 쇼핑몰)에 판매될 예정인 제품들을 소비자들에게 선보이고 직접 체험해볼 수 있게 하여 효과적인 홍보 기회가 됨.


    - Superbalist에 판매될 제품들은 전시회 현장에서 판매되진 않았지만 소비자들이 직접 사용해볼 수 있었고 제품에 대해 문의하는 경우도 많았던 바 향후 판매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ㅇ 현지 바이어의 수요를 파악하여 특성에 맞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


    - 대형 유통망이 아닌 일반 바이어들은 한 품목 대량구매보다는 다양한 품목 소량 구매를 선호하는 보수적인 구매 관행이 있기 때문에 거래 시 사전에 유의하는 것이 바람직


    - 자사 브랜드(Private Label) 제품으로 유통하고자 하는 바이어도 많기 때문에 OEM 공급 위주로 거래선을 찾는 것도 효율적일 것


  ㅇ 열악한 인프라로 물류비가 높고 통관 지연이 잦다는 점 역시 염두에 두어야 하며한국과의 거리적 한계 극복을 위해 온라인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는 것도 방법


  ㅇ 한국에서 개최되는 KOTRA 소비재대전에 아프리카 소비재 바이어들이 다수 참가하고 있고국내기업들도 아프리카에서 개최되는 소비재 대전에 참가할 수 있으므로 양측 기회를 활용하면 신규 거래선 구축 및 기존 바이어와의 관계 유지에도 도움 될 것

출처 : 요하네스버그 무역관

목록보기 인쇄하기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