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전시회 명
| 한글 | 파리 항공우주 국제 전시회(파리 에어쇼) |
영문 | Salon International de l’aéronautique et de l’espace(SIAE) | |
개최기간 | 2013.06.17~2013.06.23(7일간) | |
전시장 | Paris Le Bourget 전시장 | |
홈페이지
| ||
연혁 | 1909년부터 격년 개최 | |
규모(2011 년 기준) | 130,000m²(상업 전시), 192,000m²(항공기 전시) | |
참가업체수 | 약2,113개 업체 참가 | |
참관객수 | 151,000명(전문 참관객) / 204,000명(일반 참관객) | |
전시분야
| 기내설비, 전투용 무기, 장치 및 소프트웨어, 항공우주, 보수 및 A/S장비, 엔진 및 추진기관, 소재 및 표면 처리, 항공 서비스 등 | |
한국관 참가 현황 | 한국 기업7개사 참가 |
■ 전시회 개요
2013년 6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일주일간 전시되는 이 프랑스 파리 항공우주 박람회(Salon International de l’aéronautique et de l’espace (SIAE))는 세계 3대 항공우주 박람회들 중 규모, 역사, 전시 구성, 지명도면에서 최고로 손꼽히는 전시회로, 1909년부터 개최하여 올해 100주년이자 50회를 맞아 그 세계적인 위상과 입지를 보여주고 있다.
항공산업은 ‘지지 않는 산업, 잠재적인 산업’으로, 국가의 안보와 직결되는 핵심 방위산업,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되는 첨단 종합시스템 산업, 파급효과가 큰 국가 차원의 전략 산업, 그리고 고용창출과 타 산업에의 파급효과 측면에서 매우 고부가가치 산업에 해당한다. 프랑스는 현재 미국에 이어 항공분야 5대 선진국(미국, 러시아, 영국, 독일, 프랑스)에 해당하며 격년으로 개최되는 동 전시회를 통해 항공산업과 향후 국가 안보의 발전을 기대하고 있다. 동 전시회는 많은 참가업체와 참관객의 관심, 그리고 세계 언론들의 주목을 통해 항공우주의 첨단 기술 발전과 세계 교역의 증가, 그리고 관련 분야 고용 창출의 원동력으로 거듭나고 있다.
△ 전시관 전경(좌측상단), 실외 전시장 모습(우측상단),
상공에서 바라본 전시관 전경(좌측하단), 2관 전시관 모습(우측하단)
■ 전시회 구성 및 현황
올해 동 전시회는 44개국, 전시참가업체 총 2,215개가 참가하였다. 중소기업 참가율과 미국 업체 참가율이 11년 대비 10% 증가하였으며 참가업체 수는 5.5% 상승하였다. 전시는 파리 시내 가장 큰 전시장 Le Bourget 전시장을 가득 매울 정도의 항공기 전시장과 8개의 실내 전시장, 직업 및 훈련 교육장, 항공우주 박물관 등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직업 및 훈련 교육장과 항공우주 박물관은 비즈니스 전시 이외에도 일반 관람객에게 실질적인 고용의 기회와 전 세계의 이색적인 항공기들을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하고 있다. 이외에도 전시주최자 SIAE공식관, SIAE 소속 프랑스 항공우주 전문 조합 GIFAS공식관, 국방부 특별관을 마련하여 세계 항공우주 업계에서 프랑스의 국가적 위상과 입지를 나타내고 있다.
2011년 전시참가국은 총 45개국, 전시참가업체로는2,100개 업체였으며 전시 참관객으로는 전문 참관객151,000명과 일반 관람객204,000명이 참여하는 전시회 사상 최고의 기록을 갱신하였다. 당시 총 전시면적은 항공기 전시장과 모든 실내 전시장을 포함하여 322,000m²였다.
또한 동 전시회는 항공우주 산업이 기술 집약 산업임에 따라 매 개최마다 업계의 최신 기술을 선보이며, 2011년에는 태양 탐사체가 개발 및 전시되어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다.
동 전시회의 첫 개최일인 6월 17일, 현지신문인 Les Echos에 따르면 유럽 항공기 제조사 Airbus는 230억 달러의 판매액을 달성하였으며, 아일랜드 바이어 Doric사에게A380 항공기를20대 판매하는 기록을 세웠다. 이는 11년 대비 8대가 더 판매된 것이며 경쟁사 Boeing의 약 3.5배에 달하는 판매액을 달성하였다.
■ 전시회 구성 및 참가업체 특징
동 전시회의 총 전시 면적은 일반 실내 전시의 10~20배(Paris Porte de Versailles 기준)이며, 전시장은 항공기 전시장과 8개의 실내 전시장, 직업 및 훈련 교육장, 항공우주 박물관 등으로 구성되었다.
Hall 1, 2A, 2B, 2C, 3, 4, 5의 7개의 실내 부스 전시장은 각 국가별로 구성하여 전시하였다.
전시주최측에서는 곳곳에 식음료를 파는 부스와 안내데스크를 배치하여 관람객의 편의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뿐만 아니라 지하철 역에서 전시장이 멀리 떨어져 있어 접근성이 떨어지는 점을 고려하여 주최측에서 전시장까지의 무료 셔틀 버스와 샤를 드골 공항까지의 셔틀 버스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 주목을 끄는 부대 행사
- 프랑스 국방부(Ministère de Défense) 주최 항공기 시승 체험관
실외 행사 중 관람객의 눈길을 끈 행사는 프랑스 국방부 주최 항공기 시승 체험 행사였다. 군사용 헬기, 정찰기, 전투기 등을 전시하고 이에 관람객들이 직접 시승하여 비행기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또한 시승 후 전문가가 옆에서 조종법을 알려주는 등 관람객들에게 이색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 항공우주 취업 및 직업 박람회 (18ème Forum Air & Espace)
동 전시와 함께 개최되는 항공우주 취업 및 직업 박람회는 일반 관람일인 21~23일에 개최되고 있으며,70개의 항공우주, 교통, 국방부, 교육기관(대학, 공과 전문 그랑제꼴, IUT, CFA, 전문 고등기관)들이 참가하여 고등학생, 대학생, 석사 및 박사 학위 소지자 등을 맞이한다. 이 행사는 항공 우주 분야의 다양한 직업들을 소개하고 그 직업에 속한 전문가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고등 및 대학생들이 항공우주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갖게 하고 직업의 길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관련 전문 교육 과정을 적극적으로 소개한다. 뿐만 아니라 학위 소지자에게는 인턴쉽의 기회를 제공하여 실질적인 채용으로 이어지고 있다.
동 행사를 통해 프랑스에서 국가 및 전시주최자에 의한 항공우주 분야 인재 양성의 노력은 매우 적극적이며, 비즈니스만이 아닌 국가 고용 창출에 이바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 행사를 통해 파리에어쇼 관람객 범위가 비즈니스 관련 전문 관람객에서 일반 관람객까지 크게 확장되는 결과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주최측에서 다양한 연령층이 이 전시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왔음을 느낄 수 있었다.
특히 21일 금요일에는 대학생들에게 무료로 개방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전시회 공식 홈페이지나 www.aeroemploiformation.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주요 전시품 트렌드 및 종합평가
동 전시회에서는 무인 항공기에 관련하여 세계적 관심을 느낄 수 있었다. 세계 전망에 따라 무인 항공기 시장은 앞으로 10년간 시장규모가 6배 이상 커질 것으로 예측되며, 남미 국가들이 공동으로 무인 전투기를 개발하는 등 해당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범유럽 항공 방위산업체 Dassault, EADS, Finmeccanica는 이번 전시회에서 유럽 내 연합 조직을 설립할 것을 지난 17일 에 발표하였다. 대한민국 육군의 소형정찰 무인항공기 사업에 선정된 두 개의 업체들도 동 전시회에 참가하여 무인항공기 시장에 한 발 내딛었다.
또한 항공우주 분야의 전문가들은 대체 항공 연료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현재 각 전문가들은 액체 연료들은 몇 십년 뒤 그 사용이 줄어들 것이며, 국제 자원의 고갈에 따라 한번 운행할 시 다량의 연료가 소모되는 현재의 항공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연료를 찾아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Hall 1에서 펼쳐진 교육적 과학 전시는 업계의 모든 국제 기업들에게 지속가능한 이동성과 대체 연료의 사용 가능성을 기술적인 면에서 설명하여 많은 업체들의 대체 연료 개발 참여를 장려하고 있다.
2013년 동 전시회에는 7개의 한국 업체가 참가하여 대한민국의 항공우주 기술을 선보였으나, 중국, 일본에 비해 현저히 저조한 참가율을 기록하였다. (중국 참가 업체 : 11개, 일본 참가 업체 : 31개). 이는 대한민국의 국가적인 항공우주 발전과 동 전시회와 같은 항공우주 산업전시회에 많은 참가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한국 참가 업체 부스 (좌측 및 우측 상단),
미국 공군 부스 (좌측하단), 러시아 참가 업체 부스(우측하단)
■ 정보 출처 : 전시회 공식 홈페이지 및 전시회 현장 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