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전시회명 | 2013 HBA 글로벌 엑스포 |
개최장소 | Jacob K. Javits Convention Center |
개최기간 | 2013년 6월 18일-20일 |
전시회분야 | 화장품 패키징(용기), 화장품 , 미용용품 |
주최자 | UBMi Princeton LLC |
웹사이트 | |
참가자수 | 6,500 여개 업체 이상 |
■ 패션과 뷰티의 중심지인 뉴욕 맨하튼의 Javits Center에서 열린 HBA Global EXPO
지난 6월 18일-20일 3일간 뉴욕 자빗 전시장에서는 뷰티와 건강 산업의 전문화를 한눈에 직접 확인할수 있고 내년 트렌드 또한 짐작할수 있는 HBA(Health & Beauty American) Global Expo가 개최되었음.
동 전시회는 미국 최대 규모의 뷰티 전시회/컨퍼런스 중 하나로 특히 패키징(뷰티 상품 포장)이나 원료, 재료등의 용기, 공급업체와의 자체 기획상품이나 상표, 천연 제품 등을 다 포함한 총 6500여개의 다양한 업체들이 참가를 지원하였음. 또한 새로운 화장품 원료를 공급하거나, 새로운 배급 시스템을 구상하거나, 새로운 스킨케어 상품을 런칭하는 좋은 기회로 여겨지는 행사임.
지역적으로는 뉴욕에서 43%가 참여를 하였고, 이 다음으로는 25%는 뉴저지, 5%와 3%가 각각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에서 참여를 하였음. 총 6500여개사의 특색있는 회사들이 참가 등록을 하였음.
주로 화장품이나 향수, 개인미용이나 위생용품의 패키징 업체가 전체의 32%를 차지하며 주를 이룸.
■ 주요 전시관 및 전시품목, 현장 분위기
전세계에서 28개가 넘는 국가들이 참여를 하였고 모든 참가자들은 최상의 품질의 화장품, 향수, 개인 뷰티용품 업계의 선두주자였으며 유럽, 아시아, 중동, 캐나다에서 라틴 아메리카에 이르기까지 여러 국가들이 최신 상품들과 원료들, 신기술과 그에 따른 서비스들을 선보임.
중국업체들이 강세였던 패키징 프로덕트 (헤어케어 펌프용기, 화장품 용기, 마스카라 용기, 파우더 용기)와 우리나라 상품의 속눈썹과 맆스틱 용기, 향수병, LED 젤 메니큐어 등을 선보임. 또한 의학과 뷰티제품을 하나로 합친 얼굴 클린징 솔, 모공 확대 카메라 등을 홍보하기도 함.
작년 2012년부터 정부보조금을 받아 출범해 온 한국 국가관(Korea Pavillion)은 분홍색 컬러의 네모난 독립부스 공동관 형태로 전시장 입구와는 멀리 떨어진 안쪽, 타이완과 중국 국가관 부스 옆에 나란히 자리하였음. 이번 전시회는 중국, 타이완, 한국의 세개의 국가관, 그리고 특화된 부스들 (Splash Pavillion, 스파 서비스와 제품 부스, Ingredients Pavillion 등) 다섯개의 공동관을 제외하고는 모든 다양한 국가와 브랜드들의 회사들이 독립된 형태의 부스로 섞여서 나와있었음.
특히 전시장 한쪽에 자리잡은 Splash Pavilion은 최근에 생긴 업체들 중 주최측의 투표와 리뷰를 철저하게 거쳐 초청을 받은 업체들만을 한곳에 모은 코너라는 점이 독특했음. (이 업체들을 선정하는 HBA 심사위원단은 새로 출발하는 독립회사들의 멘토가 될 수 있도록 정성스레 뽑혀진 바이어들과, 최고의 뷰티 블로거들, 온라인 소매상들, 브랜드 전문가들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전시장이 넓은 탓도 있겠지만, 이튿날에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군데군데 앉아서 상담하는 모습이나 상품을 현장에서 구매하는 모습은 눈에 거의 띄지 않을 정도로 전체적인 분위기는 무척 한산하고 조용한 편이었음. 이곳에서 만난 한국업체 중 한 분은, 자신이 생각했던 것보다 코스메틱 관련 바이어들이나 참가자들이 없다는 사실과, 패키징이 주를 이루는 전시회의 성격에 불만을 터뜨리기도 했음.
이번 HBA Global 전시회에 한국에서 참여한 브랜드로는 COSWEL KOTRA, Sea tree art Cosmetic, CTK Cosmetic, Mbeauty Cosmetics, JinSae Corps, Nasan Co., Ltd, Won Yong Beauty Products Co., Ltd, Cheong Su Cosmetics Co, Ecomine Co., Ltd, Beauty Promotions Inc, Cosmelab Co., Ltd, Trendy Products Co., Ltd, Habalan Med & Beauty Co., Ltd 등 15개의 업체임.
한국화장품 공업 협동조합(http://www.kcic.or.kr)이 주관한 업체들은 이렇게 한국관에 자리하고, 그 외에 국내 유명 또는 새로운 한국 코스메틱 / 패키징 브랜드들이 전시장 군데군데 있어 국내기업으로는 총 20여개가 넘는 업체의 참여로 예상됨.
입장료는 $75로 다소 고가인 편이었던 티켓은 쇼케이스 등은 포함이 된 금액이며, 컨퍼런스를 참여하는 티켓은 가장 저렴한 가격이 $195임. ($195~$1375) 2013년도의 컨퍼런스 프로그램은 케이스 스터디와 상호간의 경험을 토대로, 업계의 리더와 공급업자들에게 미와 개인용품에 관하여 전문적인 시각을 제시함.
올해 2013년도에는 브랜드 개발, 혁신, 스킨케어와 자연보호에 관한 세션에 포커스를 맞춤. 디지털 시대에 맞추어 디지털 마케팅, 환경적인 파괴가 없는 자연적인 재료를 사용하며 현명한 소비자가 되는 방법, 오가닉 화장품의 규정과 그 모든 것, 환경파괴가 없는 화장품 용기의 흐름 등의 이번 컨퍼런스의 주제는 친환경이라는 새로운 흐름을 반영하는 특색있는 것이었음. 60여개의 컨퍼런스와 Q&A세션이 이뤄짐.
자료원 : http://www.hbaexpo.com / 뉴욕 KBC 자체종합자료 / 뉴욕전시요원 현지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