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전시회 명 | 한글 | 2013 아시아 패션 쥬얼리 & 액세서리 전시회 - 6월 |
영문 | Asia's Fashion Jewellery & Accessories Fair - June | |
개최기간 | 2013.06.20 ~2013.06.23 (4일간) | |
홈페이지 | ||
연혁 | 1998년부터 16회 개최 | |
규모 | 15,000sqm, 15개국 | |
참가업체수 | 373개사 | |
참관객수 | 6,400여 명 | |
전시분야 | 패션 쥬얼리, 악세사리, 네일케어 등 | |
한국관 참가현황 | 141sqm, 11개사 (한국관홍보부스 9sqm 포함) |
1. 전시회 특징
1998년 첫 번째 전시회를 개최한 이래로 16회째를 맞이하는 아시아 패션 쥬얼리 & 액세서리전시회가 홍콩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전시회는 국내외 총 400여개의 쥬얼리관련 업체의 참가와 106개국의 6,400여명의 방문객이 전시회를 관람하였다. 다양한 종류의 패션 쥬얼리와 액세서리가 전시되어 많은 참관객들의 관심을 얻었다. 이번 전시회에는 일곱 개의 그룹 파빌리온을 구성해 중국, 프랑스, 인도, 한국, 필리핀, 스페인, 대만 지역의 제품들을 지역별로 선보였다. 또한 최신 패션 쥬얼리의 트랜드를 확인할 수 있고, 3월 쥬얼리전보다 더 다양하고 규모가 크게 진행되어 명실상부 아시아 최고 패션 쥬얼리전임을 보여줬다.
2. 주목을 끄는 부대행사
본 전시회는 다양한 이벤트 및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진주 경매, JNA 어워즈 컨퍼런스, 러시아의 쥬얼리 시장에 대한 프리젠테이션 등 쥬얼리 관련 다채로운 행사가 열려 이목을 끌었다.
JNA 어워즈 2013은 쥬얼리 뉴스 아시아가 개최하며 쥬얼리 시장의 혁신적인 발전을 기여하는 리더에게 상을 수여하는 행사로 생산, 브랜딩, 소매, 발명, 시장 기여도 등 여러 측면에서 뛰어난 인재에게 상이 주어졌다. 러시아 쥬얼리 시장에 관한 프리젠테이션은 최근 쥬얼리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러시아 쥬얼리 시장에 관련한 발표였다. UBM 아시아와 RESTEC 그룹이 공동 주최하는 이 행사는 최근 러시아 쥬얼리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팁과 실질적인 기술을 전해주었다. 또한 쥬얼리 e커머스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하는 세미나도 개최되었다. 본 세미나에서는 가장 크고 다이나믹한 e커머스 시장을 가지고 있는 미국과 중국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3. 트랜드 및 유망 품목
최근 쥬얼리 시장의 트랜드는 패션의 포인트를 주는 크고 화려한 제품이었다. 커스텀 쥬얼리를 사용해 전체적인 패션의 포인트를 주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로 은근한 멋을 내는 작고 단순한 쥬얼리 보다는 눈에 확 띄는 크고 튀는 색상의 제품이 높은 인기를 끌었다. 또한 어울리지 않을 듯 한 소재인 메탈, 비즈, 가죽 등의 소재를 믹스한 액세서리에 대한 젊은 층의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번 전시회에서는 자연을 모티브로 한 디자인 제품들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꽃, 나비 등 자연을 나타내는 디자인은 원래 많이 대중화 되어있었지만, 최근 친환경 제품에 대한 관심 증가로 더욱더 인기를 끌고 있었다.
4. 한국관 주요 품목 소개 및 동향, 바이어 반응
5. 전시회 종합 평가
본 전시회는 아시아 3대 쥬얼리 전시회로써 크고 다양한 규모의 쥬얼리 관련 제품들을 선보였다. 경기 침체의 영향을 받아 바이어 수가 적었다는 참가자들의 일부 평가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업체는 만족스러웠다고 평가했다. 작년보다 전시 규모는 물론이고 참가업체 수 또한 증가해 업계 관련 참관객들에게는 새로운 트랜드와 다양한 제품을 볼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또한, 주최사인 UBM 아시아는 5월에 쥬얼리 페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런칭해 참관객들에게 수비고 편한 정보 제공을 함으로써 전시장 정보, 참가업체 정보, 각 파빌리온 정보, 각종 행사에 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었다.
UBM 아시아는 바이어들이 원하는 제품을 빨리 찾을 수 있도록 전시장 구성을 국가관과 제품군에 맞추어 배치했다. 예를 들어 15개의 국가관 및 그룹관을 구성해 나라별로 참가업체들을 분류해 각 국가 간의 트랜드 파악이 쉽게 되었다. 또한 12개의 테마 파빌리온을 구성해 홍콩 프리미어 관, 옥 관련 제품 구성관, 빈티지 쥬얼리관, 은 쥬얼리관, 다이아몬드 관, 진주관, 원석 제품 관 등으로 나누어 바이어들 개개인이 원하는 제품군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배치해 두어 효율성을 높였다.
6. 홍콩 쥬얼리 시장현황
홍콩 쥬얼리 시장의 규모는 2012년 쥬얼리 수입액 기준, 미화 약 24,036백만 불에 이르며, 이 중 약 47.5%가 재수출 되고 있다. 현재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홍콩은 인도와 아랍에미리트에 각각 101%와 85%의 수출 증가를 보이며 성장하고 있다. 주요 수입국으로는 중국(45.9%), 인도(13.8%), 미국(9.8%) 순으로 나타난다. 최근 중국 소비재 온라인 시장 규모의 활성화로 쥬얼리 온라인 시장 역시 온라인 시장 규모 확장의 영향을 받고 있다.
KOTRA 홍콩무역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