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전시회 명 | 한글 | 2013 제 11회 중국 국제 전지 상품 및 원료/보조재, 부속품, 기계설비 전시교류회 |
영문 | 2013 The China International Battery, Raw Material, Producing Equipment and Battery Parts Fair | |
개최기간 | 2013년 06월 17일 ~ 06월 19일 | |
홈페이지 | ||
연혁 | 2003년부터 11번째 개최 | |
규모 ( 20 년 기준) | 2,5000s/m | |
참가업체수 | 240개사 | |
참관객수 | 30,000명 | |
전시분야 | 전기, 전자 | |
한국관 참가현황 | 13개사 |
Battery China 전시회가 6월 17일에서 19일까지 3일간 중국 국제전람중심(구관)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전시회는 규모 25,000㎡, 총 800여개의 업체가 1,200개의 부스에 위치해 사상 최대 규모로 열렸다. 세계 최대의 전지 전문 전시회라는 이름에 걸맞게 참관객은 약 30,000명으로 집계되었다.
◈전시관 구성 및 주요 전시 품목
품목은 크게 전지완제품, 전지설비, 전지원재료, 전지종합, 신에너지차량기업으로 나뉘어 다섯 구역에 배치되었다.
중국은 세계 에너지 생산량과 소비량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국가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이 세계 에너지 소비량의 약 20%를 차지했으며, 향후 5년간 최근 이슈화 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생산에서 선두에 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지 산업은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 중 특히 친환경에너지, 재생 가능 에너지, 전동차 등은 세계 경제 발전에서 중요한 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이번 전시회도 이러한 트랜드에 맞게 태양에너지부품, 연료전지, 폐기물처리설비, 순수 자동차, 하이브리드카 등 다양한 신 에너지 제품을 선보이고자 했다. 주요 품목으로는 전지, 태양광 전지, 전지 부품, 전지 원자재, 전지 생산 및 시험 장비, 전지 재활용 기술 및 장비, 전기 자동차 등이 전시되었다.
◈한국관 주요품목 소개 및 동향, 바이어 반응
이번 전시회의 국가에 참여한 국가는 총 2개국으로 한국관과 대만관이 설치되었다, 우리나라는Kotra와 한국전지산업협회(KBIA)가 한국기업들과 함께 한국관을 구성하였다. 참가기업으로는 Kokam, AEKYUNG PETROCHEMICALl, PEOPLE&TECHNOLOGY, YULLIN TECHNOLOGY, NESSCAP, MASTER, LSIS, Ferrous Magnet, THESUNTECH, MisumSystech, MOODEUNG, ETH로 총 13개 기업이었으며, 주요 전시품으로는 리튬배터리, 전자 부품 생산 장비, 울트라캐패시터, 자기 분리기, 배터리팩 등이 있었다.
◈한국관 평가
전시회의 중심부에서 조금 떨어진 4홀에 위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은 한국 전지 산업에 관심을 갖고 찾은 바이어들이 많았다. 또한 Kotra와 한국전지산업 부스에서는 참가기업들의 홍보와 통역을 도우며 10월에 coex에서 개최될 ‘InaterBattery 2013’ 전시회를 동시에 홍보함으로써 한국 전지 산업을 알리는데 힘씀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얻었다. 이로 인해 다수의 중국 기업들이 해당 전시회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참가업체 현황 및 부스 트랜드
최근 에너지 산업 분야에서 환경이 큰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만큼 참가 업체들의 부스도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내세워 흰색, 녹색 등 깨끗한 이미지의 색을 많이 사용했다. 특히 한국관 외에 별도로 전시회에 참가한 GS의 복층으로 된 부스는 세련되고 깔끔한 디자인으로 고안이 되어 참관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주요 참가 업체로는 비야디주식유한공사(BYD Company Limited), 베이징화학시약연구소(Beijing Institue of Chemical Reagents), Desay, 마이크로메리틱스(MIRCROMERITICS INSTRUMENT (SHANGHAI) LTD), 환우유한공사(Huanyu Group) 등이 있었다.
KOTRA 베이징무역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