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전시회명
| BEX-ASIA 2013 (Build Eco Xpo) 아시아 친환경 건축 박람회
|
개최장소
| Marina Bay Sands Expo & Convention Centre
|
개최기간
| 2013년 9월 11일~13일
|
분야
| 친환경 빌딩, 건설자재, 제품, 서비스
|
개최주기
| Annually
|
주최
| Reed Exhibitions
|
입장료
| Free
|
전시규모
| *2012년 기준 총 방문객 52개국 8,113명 *이 중 4300명 이상이 기업의 의사결정권자
*외국인 방문객 비율 약 20% *2013년 30개국 306개 기업 참가 (국내기업 9개사 포함)
|
◎전시회 개괄
지난 9월 11일부터 13일 까지 3일간의 BEX-ASIA 2013이 싱가포르의 랜드마크인 Marina Bay Sands Expo 에서 성황리에 개최 되었음. BEX-ASIA는 첨단 빌딩 디자인 및 친환경 건축관련 one-stop sourcing 제공 목적의 전시회 임. 때문에 행사장에는 각종 친환경 원자재, 인테리어, 수 처리장치, 공기처리장치, LED 등 건축에 필요한 모든 제품들이 총 망라.
사진 - 각 국가관 위치 및 전시장
금년에는 총 306개 사가 전시회에 참여 했는데 이는 전년(282개사)과 비교해 약 10% 증가한 수준이며 매년 총 참가업체의 수는 증가하고 있음. 금년에는 싱가포르(28개사), 일본(20개사), 중국(9개사), 대만(6개사) 의 총 4개국이 국가관으로 참여 하였으며 이는 전체 참가기업의 약 25% 수준임.
-싱가포르 관: 현지 로컬 기업뿐 아니라 싱가포르에 지사를 두고 있는 외국 기업들과 함께 조성되어 있었음. 싱가포르 도시개발청 및 친환경 건축 협의회 부스에서 적극적으로 싱가포르의 친환경 정책을 홍보하는 것이 눈에 띄었음.
-일본 관: 두 번째로 규모가 컸던 일본관은 참가 업체들의 참신한 아이디어 상품으로 관람객들의 이목을 집중 시킴. 재사용이 가능한 테이프와 직접 물에 개어 제작하는 친환경 벽지를 제조하는 [Oriental Coat]사, 실내온도상승 억제로 인한 에너지절약 효과가 있는 특수 반사처리 지붕 전문업체 [SHADAN Roof Gr] 사 등이 눈에 띄었음.
-중국 관: 중국 관은 친환경 건축이라는 전시회의 주제와 참가기업의 연관성이 부족해 아쉬웠다는 것이 주최측의 설명. 실제로 대부분의 참가 기업의 제품들이 Eco friendly, 에너지절약, 오염물질 비 배출 등의 기능적 면에서 타 국가관에 비해 떨어지는 모습을 보임.
-대만 관: 대만 관의 참가기업은 다른 국가관에 비해 적었지만 태양광 충전이 주 사업인 [KYOHANA Tech Ltd]사와 고효율 LED 조명 제조업체 [Yun Chang Tech Co Ltd] 사 등 친환경 건축 관련 내실 있는 기업들이 참가하였음.
한국기업은 총 9개사가 참가 했으며 이 중 *6개사는 첫 참가. 주최측은 한국 기업의 잠재력과 풍부한 경험을 높이 평가하며 더욱 많은 한국기업의 참가를 원함.
한국기업 참가현황: [*Bando Co., Ltd], [*Eurolite Group], [*Samsung], [Seokyung Co Ltd], [Virdi]
[*CygnusPower G&C], [Suprema], [*UTSOL Co., Ltd], [*VeroMetal Asia Co., Ltd]
BEX-ASIA 2013은 동남아 최대의 친환경 건축 전시회이며 30개국 300개가 넘는 다양한 업체와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구축 할 수 있는 만남의 장임. 나아가 글로벌 친환경 건축 트렌드를 한 눈에 파악 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기도 함. 또한 최근 친환경 건축산업에서 수요가 높아 주목 받고 있는 제품 군은 고효율 친환경 LED 제품 이라는 것이 주최측의 설명.
◎전시회 현장 둘러보기
사진1-
싱가포르 국가관 전경 사진2- 국제 기후변화 협의회 싱가포르 사무국 부스 전경
사진3 - 참가업체 LEONI 사의 내화 케이블 강도 시연 사진4- Shell 사와 싱가포르 명문대학 NTUS가 함께 제작한 친환경 컨셉 카
사진 1
- 개최국인 만큼 가장 큰 국가관 규모를 자랑하는 싱가포르 국가관의 전경 사진. 친환경 건축에 어울리는 녹색계열 분위기의 부스 인테리어가 눈에 띔. 또한 싱가포르 도시 개발청에서 친환경 도시개발 계획을 홍보하는 부스가 마련되어 정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을 눈으로 확인 할 수 있었음.
사진 2
- 전시회장 입구 바로 앞에 위치한 국제 기후변화 협의회 싱가포르사무국 부스는 친환경 건설의 이점과 이를 장려하는 내용의 전시를 마련함.
사진 3
- 글로벌 케이블 제조업체인 [LEONI Pte Ltd] 사의 부스 전경. 직접 내화 케이블을 가열해 강도를 시연 하였음. [LEONI Pte Ltd]는 작업 위협요인이 많은 oil, gas, chemistry 산업에서 기능성 케이블 및 전도체로 시장경쟁력 우위를 점하고 있음.
사진 4
- 글로벌 석유화학기업인 [Shell] 사와 싱가포르의 명문공대인 NTUS가 함께 제작한 친환경 컨셉트 카의 모습. 친환경과는 약간 거리가 있는 [Shell] 사 이지만 동남아 최대 규모의 이번 전시회를 통한 기업 이미지 재고 전략의 일환으로 참가 한 것으로 보임
◎주요 참가 업체
◆[AIR CHANGE Pte Ltd]
Air Exchange Solution(외부공기 흡입 및 실내공기 배출을 통해 실내 온도 조절 및 쾌적한 환경을 제공) 을 제공하는 기업인 AIR CHANGE PTE LTD 사는 이번 전시회 주제에 맞춰 ‘Building That Breathe’ 라는 슬로건으로 참가 하였음. 해당 기업의 주요 취급품목은 HVAC (에너지 절약 난방, 환기, 공기정화) 장치 및 설비임. 호주에 본사를 두고 있는 기업으로 현재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 지사를 두고 있으며 전년도에 이어 올 해도 싱가포르 국가관 소속으로 참가함.
AIR CHANGE Pte Ltd 사의 핵심 기술은 특별한 반전 흐름의 온도 차 기반 공기교환장치로서 HVAC장치의 주요 부품으로 사용됨. 타사 제품이 약 75%의 외부공기 전환 효율을 보이는데 반해 AIR CHANGE Pte Ltd 사의 제품은 최대 100%의 전환 효율을 자랑함. 전환효율이 높을수록 에너지절약 효과 및 실내온도 유지 효과가 높다고 함.
최근 지속 가능한 건설과 에너지효율 및 업무효율을 높이기 위해 Green Building 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2011~12년도 각각 $13Million(USD, 한화 약 139억원) 이 넘는 매출을 기록. 부스 담당자는 최근 주목 받고 있는 동남아 건설 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히기 위해 참가했다고 함.
◆[LEONI Pte Ltd]
사진 - 기능성 케이블을 전시해 놓은 LEONI 사의 부스 전경
올해 BEX-ASIA 2013에 처음 참가한 [LEONI Pte Ltd] 사는 Dat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 Manufacture를 주 사업으로 하는 글로벌 기업으로서 2012년도 매출액이 약 5조 1천억에 달함. 이번 전시회에는 할로겐프리, 친환경 전도체, 케이블을 주력 상품으로 내세워 참가.
부스 담당자는 최근 환경 및 자원부족에 대한 글로벌적 관심에 발 맞추어 자연친화적, 수명연장, 절연, 내화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업활동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힘. 또한 [LEONI Pte Ltd] 사의 주 사업 영역인 Infrastructure, Wind & Solar Power Utilities 관련 다양한 제품을 접하고 아이디어를 나눌 수 있어 좋았다며 전시회 참가에 상당히 만족한 모습을 보임.
◆[UTSOL Co Ltd]
LED 조명기기를 취급하는 국내기업 [UTSOL Co Ltd] 사는 이번 박람회에서 다양한 싱가포르 바이어들과의 만남을 통한 네트워크 구축에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고 함. [UTSOL Co Ltd]사는 Wireless LED Lightning을 핵심제품으로 내세워 금년 6월 KOTRA주최의 무역사절단 일원으로 싱가포르를 방문하여 상담 했었음. 해당 미팅에서 만나 사전 관계를 구축했던 싱가포르 바이어 ‘L’ 사와 이번 전시회를 통한 제품홍보 및 시연으로 계약성사를 목전에 둔 성과를 달성.
올 해 BEX-ASIA 첫 참가임에도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올바른 시장환경 판단과 바이어와 사전 접촉을 통한 관계형성으로 볼 수 있음. 특히 싱가포르는 end user를 위한 direct supplier 보다 중간상인 distributor 시장이 활성화 되어있음을 올바르게 파악하여 해당 바이어들에게 집중한 것이 성과에 주효.
◎부대행사
◆싱가포르 에스테틱 아시아 Aesthetics Asia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