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작성자 : 관리자 등록일 : 2014-10-18 조회수 : 980

제39회 광둥 국제미용박람회

- 화장품부터 포장재까지 미용산업 전반의 트렌드 제시 -

- 中 미용시장 남성용 화장품 및 색조화장품 성장성 유망 -

 

 

 

□ 제39회 광둥 국제미용박람회(广东国际美博, Guangdong International Beauty Expo)

 

 ○ 박람회 개요

 

 

 

개최기간

2013.9.15~17.(3일간)

개최장소

중국 광저우시 파저우 국제 전시장(琶洲国际会展中心)

전시품목

화장품, 미용 및 두발용품, 네일 미용 및 케어용품, 미용기기 및 부자재, 중국 전통 
미용 건강 제품, 포장재 등

홈페이지

http://www.gdbeautyexpo.com/

 

 

 

 

  - 아시아 최대 규모이자 중국 내에서 가장 오래된 미용 관련 박람회로 1989년 시작돼 1996년부터 봄, 가을 연 2회 개최함.

  - 미용 제품 원자재부터 미용 서비스, 제품 포장에 이르기까지 미용산업 전반을 포괄하는 박람회로 총 12개의 전시관으로 구성됨.

 

전시관 구성

 

 

 

위치

1층

위치

2층

위치

3층

9.1

네일아트

9.2

포장, 기계, 원자재, OEM

9.3.

고급 미용제품, 피트니스 속옷

10.1

문신, 네일아트, 성형

10.2. &11.2.

개인 관리용품, 메이크업 제품, 향수, 체인점 및 프랜차이즈 사업

11.1

중국 전통 헬스케어

10.3. &11.3.

고급 미용·스파제품, 기기 설비

13.1

헤어 미용용품, 국제 소싱

12.2. &13.2.

국제관

 

 

 

자료원: 광둥 국제미용박람회 홈페이지

 

 ○ 방문객 분석

  - 매회 세계 20개국 2500개 이상의 업체의 약 40만 명 화장품 업계 관계자가 참여하며 방문객 수도 평균 6%씩 증가함.

 

자료원: 광둥 국제미용박람회 홈페이지

 

  - (국가별) 방문객 중 중국인은 88%, 외국인은 12%였으며, 광둥성 출신 방문객은 전체의 59.4%를 차지함.

  - (직업별) 제조업자의 비율이 34.6%로 가장 많았으며, 미용 및 헤어숍(26.3%), 유통 및 도매업자(23.9%)가 뒤를 이음.

  - (사업 범주별) 방문객 중에는 향수, 화장품 등 개인 미용용품사업 종사자의 비율이 42.8%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은 미용실 및 스파용품 관련 사업 종사자가 35%를 차지함.

 

  

자료원: 광둥 국제미용박람회 홈페이지

 

□ 박람회 특징

 

 ○ 관람객 발길 사로잡는 이벤트 및 특별 부스

  - 박람회 중 중국 및 국제 미용산업의 트렌드를 제시하는 다양한 이벤트가 함께 진행됨. 중국과 대만 미용의 유행을 보여준 이벤트 ‘메이리칸중궈(美看中)’와 ‘타이완메이리제(台魅力)’, 중국의 유명 미용학교 ‘컨저우 미용학교(肯洲美发学院)’에서 준비한 ‘패션 헤어 쇼’ 등이 눈길을 끎.

  - 네일아트체험 부스, 전문 헤어 미용용품 및 화장품 구매 부스 등 특별 구역을 처음 운영해 상품에 접근성을 높임.

 

 ○ ‘친환경’ 키워드, 화장품산업에도 스며들다

  - 다채로운 이벤트 사이에서도 ‘화장품 포장 디자인전’이 가장 큰 이목을 끌었음.

  - 가장 중요한 트렌드는 ‘친환경’이었음. 세미나에 연사로 참여한 타이베이 화장품산업협회의 우야오잉(吴玥莹) 회장은 발표에서 친환경적 지속가능성을 가진 포장재의 중요성을 강조함.

  - 행사장 한편에서는 다양한 포장재가 전시됨. 최근 트렌드는 포장재의 친환경성뿐만 아니라 뛰어난 상품 보호기능과 독창적 디자인도 중시함.

 

화장품 포장 디자인전 전시 모습

 

자료원: 

 

 ○ 남녀 가리지 않고 ‘꿀피부’에 관심

  - 박람회 참가 품목 중 스킨케어 제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한국 여성보다 평소 색조화장을 많이 하지 않고 피부 미용에 더 관심이 있는 중국 여성의 문화적 특징이 반영됨.

  - 중국인의 소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고급화 전략을 앞세운 기능성 화장품의 인기가 높아짐. 특히, 안티에이징 혹은 화이트닝 제품을 대표 상품으로 내세운 기업이 많았음.

  - 남성전용 화장품의 선전 또한 돋보임. 남성 화장품 전문 브랜드가 박람회에 직접 참여했으며, 바이어와 관람객도 적극적 관심을 보여 중국 남성 화장품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짐작케 함.

 

 ○ QR코드 활용한 O2O(Online to Offline) 마케팅 붐

  - 스마트폰의 보급에 힘입어 박람회에 참여한 많은 기업이 O2O 마케팅을 새롭게 선보임.

  - 특히, 기업 다수가 QR 코드를 활용함. 기업은 QR코드 스캔을 통해 경품을 증정하는 이벤트뿐만 아니라 온라인 주문 웹페이지로의 연결 등 새로운 마케팅 방법을 선보여 관람객 및 바이어들의 주목을 받음.

 

QR코드를 활용한 마케팅 방법을 선보이는 기업

자료원: 中

 

□ 한국관 특징

 

 ○ 참가 개요

  - 본 박람회에는 총 45개의 한국 기업이 참여했으며, 이 중 25개의 기업이 대한화장품협회가 운영하는 한국관에 참여함.

 

 ○ 식을 줄 모르는 한국 화장품의 인기

오스트리아 빈 공작모형 전시회 Modellbau Messe 2013

다음
중국 광저우 수출입상품교역회 2013
목록보기 인쇄하기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