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전시회 명 | 한글 | 2013 추계 매직쇼 |
영문 | Magic Market Place 2013 F/W | |
개최기간 | 2013.8.18(일) ~ 8.21(수) | |
홈페이지 | ||
연혁 | 1967년부터 47번째 개최 | |
규모 ( 20 년 기준) | 1,000,000 s/m, 80여 개국 | |
참가업체수 | 4,000 개사 | |
참관객수 | 80,000 명 | |
전시분야 | 의류, 악세서리, 원단 |
◆ 전시회의 특징
o 전시회 성장성
- 매직쇼는 미국 서부 최대 규모의 의류 전문 전시회로, 매년 달라지는 미국 서부 섬유 및 의류시장 트렌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자리임
- 주최측의 발표에 따르면 올해 춘계 매직쇼의 전시참가업체 전시규모는 전년대비 확대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경기회복이 진전되면 그 규모가 점차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o 국가관 참가 현황
- 한국, 콜롬비아, 중국, 홍콩, 방글라데시, 인도, 파키스탄, 페루등 20여 개국 참가
- 매직쇼 중 '소싱관'에만 국가관 참가가 가능하며, 중국관이 전체 부스의 70% 이상을 차지하였음.
◆ 전년대비 전시회의 전반적인 분위기
o 전체적으로 예년에 비해 Traffic 이 늘어난 것으로 보아 경기침체에서 조금씩 벗어나고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바이어들의 움직인 또한 시장조사 차원의 방문이 많았던 지난 봄 행사와 달리 실제적으로 계약을 하는 바이어들이 많이 보였음.
<전시장 & 입구 사진>
◆ 한국관 주요품목 소개 및 동향, 바이어 반응
o 철저한 입장관리로 바이어의 품질은 높아진 것으로 보이나, 한국관 참가업체들은 참관객규모가 전년에 비해 다소 줄어든 것으로 평가. 특히 한국관이 위치한 소싱관의 경우 WWD 등 다른 섹션에 비해 관람객이 더 적은 모습
o 여성복 전문전시회인 ‘WWD MAGIC'에서는 LA 자바시장을 중심으로 한 한국 교포업체가 대거 참가하였으며, 이는 서부 여성복시장의 금융위기 이후 계속되어온 Fast Fashion 위주의 저가시장 강세를 반영함.
o 또 하나의 최근 트렌드인 악세서리 강세를 반영하듯 신발전문쇼인 ‘FN플랫폼쇼’의 비중이 확대되었음.
o ‘프로젝트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왔던 데님섹션은 대형브랜드의 참가가 줄어들면서 최근의 데님 약세와 대체시장인 면바지류(치노팬츠)의 강세를 보여줌.
<한국 업체 사진>
◆ 한국관 평가
ㅇ 규모
- 한미FTA에 따른 한국 섬유시장 홍보 확대를 위해서는 ‘한국’의 이름을 건 국가관 확대 필요. 특히, 고부가가치 원단 및 부자재로 제품군을 특화하여 참가한다면, 바이어들로부터 호응을 얻는데도 용이할 것이라 기대됨.
- 또한, 한국의 유망 디자인 브랜드기업의 육성 및 해외시장 진출 장려를 위해 브랜드관 참가도 병행해야 하며 그 규모 역시 확대 필요. 한국은 중국 등이 장악한 OEM시장에서는 더 이상 경쟁력이 없으며, 유럽등지의 ‘명품의류’의 바로 아랫단계인 ‘디자이너 브랜드의류’ 분야에 집중해야 함.
ㅇ 차년도 한국관 참가기업 구성시 필수 고려 사항
- 한미FTA에 따른 유망기업을 우선 선별하여 한국관 참가를 독려할 필요가 있음
- 특히 섬유 의류제품이 한미 FTA 최대 수혜품목임을 감안 내년에는 한국관의 규모를 확대해 바이어들에게 어필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임
◆ 향후 전시회 참가를 위한 조언 및 참고사항 소싱관 및 브랜드관 분산개최에 따른 지원인력 추가운영
- 매직쇼는 라스베가스CC와 만달레이베이CC 두 곳에서 동시에 개최되며, 참가업체가 소싱관과 브랜드관으로 나뉘어 업체별 성격에 따라 분산 배치됨
- 이에 따라, 한곳에 참가업체를 집중시켜 한국관을 구성하는 일반 전시회와 달리, ‘정상적인’ 업체지원을 위해서는 추가 지원인력 배치가 필수적임
ㅇ 방문바이어에게 제공 가능한 국내유망기업 DB 준비
- 향후 한국관 참가시에는 전시회 해당 산업분야의 보증브랜드 기업, 기타 국내 유망기업 등을 포함한 DB를 사전에 준비하여 바이어가 요청 시 필요한 정보를 바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 요청드림.
<전시장 사진>
자료원: MAGIC SHOW 홈페이지, 로스앤젤레스 KBC 자체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