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전시회 명 | 한글 | 2013 중국 물 박람회 |
영문 | 2013 Water Expo China | |
개최기간 | 2013/12/2 ~ 2013/12/4 | |
홈페이지 | ||
연혁 | 1989년부터 11번째 개최 | |
규모 ( 2013년 기준) | 22,000s/m, 23개국 | |
참가업체수 | 450개사 | |
참관객수 | 30,000명 | |
전시분야 | 물 관련 기계, 설비,제품 등 | |
한국관 참가현황 | s/m, 3개사 |
◈전시회의 특징
중국 중국수리학회와 프랑크푸르트 발전공사와 공동으로 주관한 ‘2013 물 박람회’가 12월 2일부터 4일까지 3일간 북경 국가회의중심에서 개최되었다. ‘물 박람회’는 중국 최초 전시회로서 1989년부터 시작하여 2013년 11회로 꾸준히 열리고 있다. 물 전시회는 물 관련 설비, 정보 등 물 관련산업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전시회로 현재 중국에서 물 관련 산업의 모든 측면을 다루는 유일한 전시회이며 올해는 23개국의 450개사가 참가하고 30,000명의 관람객이 모일 정도로 성황리에 전시회를 마쳤다.
◈주요 전시품 구성 및 주요 전시품목
이번 물 박람회의 주 참가 업체는 절수설비 및 제품, 물 처리 설비 및 기술, 급수 설비 및 기술 등 원수, 상수, 중수. 폐수 등 모든 물 관련 산업을 총괄하는 업체로 구성되었다. 물 관련 전시 이외에 오염문제에 관한 해결방안, 중국 관개배수산업현황, 중국 수질 측량 관리 등에 관한 현장 회의도 함께 진행되었다. 전시는 주 분야를 A, B, C, 구역으로 나누어 A 구역에는 물 관련 투자, 정수, 절수 관개수로, 등 물 처리 관련 분야, B 구역은 막 여과기 설비분야 C 는 잡지사 등 기타 물 관련 산업분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절수 관개수로 제품은 어떻게 절수가 이뤄지면서 물을 공급하는지 직접시연을 보여 방문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방문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도 하였다.
◈참가업체 부스 트랜드 및 특징 있는 부스 형태/디자인
부스 형태는 전시회 성격에 맞게 ‘물’의 색깔과 느낌을 강조하는 부스가 많았다. 회사 이름이나 제품 설명서 등의 디자인도 대부분 파란색 계열이었다. 이번 박람회에서 가장 눈에 띄던 부스는 ‘VEOLIA’ 회사였다. 부스 천장을 물 무늬의 천으로 만들어 마치 바이어들이 깨끗한 물 속에서 상담을 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조성하였고, 물 재생 관련 회사로서 깨끗한 물에 대한 이미지를 각인시켜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디자인이었다. 또한 ‘BLUESTAR’ 회사는 부스는 LED바닥 조명으로 설치하여 맑은 물의 느낌을 강조하고, 많은 관람객들의 시선을 끌었다.
대부분 물 기계 관련 업체들이 참가하여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전시한 부스보다 기계를 설치하여 보여주기만 하는 부스가 많았다. 배수 관련 업체는 배수시설을 축소판으로 만들어 전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다 보니 한곳에 관람객과 몰리는 부스는 없었고, 목적과 관심에 따라 부스를 찾아가는 바이어들이 대부분이었다.
◈전시회 이모저모
‘물 박람회’가 열리는 ‘국가회의중심’은 베이징올림픽공원(奥林匹克公园)역 옆에 위치하여 교통이 편리하였다. 전시회장 내부도 매우 깨끗하였다. 그러나 ‘국가회의중심’에는 다른 전시회들도 열리고 있었고 전시장 내부 안내 부분이 조금 미흡하여, 도착하였을 때 물 박람회가 열리는 장소를 잘 찾을 수 없었다. 관객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이벤트나 부스가 부족하다는 것도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박람회 외에도 55개의 포럼, 기술세미나가 열리는 등 다양한 행사가 마련되어 있었다. 이런 부대 행사를 통해 ‘물 박람회’가 물 시설에 대한 기술과 정보를 교류하는 장으로 발전 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가장 각광 받은 행사로는 ‘제8회 중국 국제 물 비지니스 회담’, ‘제2회 수질 모니터링 및 관리 포럼’, ‘2013 밸브 친환경 디자인, 제조 및 기술 교류회’ 등 이 있다. 또한 물 관련 사업 부분에서 큰 성장을 이룬 기업에게 ‘2013 최고 성장력 있는 물 기업’, ‘2013최고 물 서비스 기업’, ‘2013물 전문 브랜드 상’을 수여하는 ‘물 스타(水之星)’ 행사도 추진하였다.
◈전시회를 통해 파악된 현지 시장 확대 방안
급속한 도시화로 심한 물 부족 사태를 겪는 중국은 도시지역의 음용수 확보문제가 앞으로 경제 발전의 걸림돌이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현재 상황을 반영한 듯 이번 전시회도 물 오염처리, 물 정화, 폐수처리 등의 물 관리 산업이 많은 부스를 차지하며 물 처리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었다. 특히 가정용 보다는 공업용 정수처리 시설에 관한 전시가 눈에 띄게 많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중국정부측에서 물 처리 관련하여 지속적인 정책이 나올 것으로 보아 꾸준한 모니터링을 통해 관련정책에 맞는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보여진다.
KOTRA 베이징무역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