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전시회 명 | 한글 | 두바이 물, 에너지, 환경 기술 박람회 |
영문 | Water, Energy, Technology and Environment Exhibition | |
개최기간 | 2014.4.14-16 | |
홈페이지 | ||
연혁 | 1999년부터 15번째 개최 | |
규모 ( 20 년 기준) | 48,000s/m, 44개국 | |
참가업체수 | 약 1500개사 | |
참관객수 | 약 16000여명 | |
전시분야 | 물, 전기, 오일, 가스, 환경 산업분야 | |
한국관 참가현황 | 17개사(개별참가 제외) |
1. 전시회의 특징
두바이 물, 에너지, 환경 기술 박람회(이하 WETEX)는 두바이 수전력정부기관인 DEWA가 1999년 처음 주관하여 올해 15년째를 맞았다. 물 절약, 천연자원 및 환경 보존 관련한 모든 분야를 다루며 해당되는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가진 업체들이 모이는 중동 최대의 전시회이다. UAE의 경제, 비즈니스, 관광 허브인 두바이에서 열리는 가장 유망한 전시회 중 하나로써 전세계에서 촉망받는 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동 전시회는 총 4개 분야로 나눠져있다. 녹색기술, 가정용 제품을 모티브로 한 Smart Tech, 환경 및 지속 가능한 발전을 강조하는 Green week, 삼성, 샤프와 같은 전자제품을 전시한 Smart Tech Shopper, 오일, 가스, 석탄 관련 업체 전문관인 Fossil and Fuels가 바로 그것이다.
<전시관전경> <두바이정부기관 부스 전경>
(두바이무역관 자체자료)
2. 한국관 주요품목 소개 및 동향, 바이어 반응
2014 WETEX의 한국관은 플랜트기자재산업협의회의 주관으로 17개사가 참여하였다. 주요 품목으로는 수량 측정기, 수압기 및 서비스, 밸브, 재생플로어, 전력시스템 등이 있었다. 한국 업체들에 대한 바이어들의 반응은 대체적으로 양호했다. 참가업체인 J사는 유량측정기 전문 제조회사로써 제품을 clamp-on 형태로 사용하는 독보적인 기술을 갖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출신 바이어로부터 비행기티켓 및 비자를 제공받는 조건으로 해당 국가에서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방문을 제안 받기도 하였다. 또한, 한 인도 바이어로부터 독점 에이전트를 권유받는 등 이번 전시회에서 바이어와의 상담이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관 전경>
(두바이무역관 자체자료)
3. 주요 참가국 및 경쟁국 참가 현황
주요 참가국으로는 국가관으로 참가한 영국, 한국, 말레이시아, 독일, 인도, 중국이 있었으며 상당수의 UAE회사는 General Pavilion및 정부기관Pavillion의 형태로 참가하였다. UAE의 도로교통공단 격인 RTA 및 DUBAI MUNICIPALITY와 두바이경찰청, 아부다비 수전력청을 비롯한 약 26개의 UAE 토후국 공기업 및 정부 관련 업체를 찾아볼 수 있었다.
<중국관 전경> <말레이시아관 전경>
(두바이무역관 자체자료)
4. 향후 전시회 (발전) 전망
두바이 통치자인 셰이크 모하마드는 2012년,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녹색 경제’라는 슬로건 하에 장기 플랜을 발표했다. UAE는 그린 테크놀로지의 수출 및 재수출의 중심지로써 성장해나간다는 목표로 이를 실행하고 있다. 동 목표를 위해 재생 가능한 에너지 및 관련 기술의 생산을 홍보하고 있고, 일련의 프로그램과 정책이 마련되어있는 등 이를 실천하고 있다. 본 전시회는 에너지 산업의 모든 분야를 다룸과 동시에, 무역과 기술의 융합이라는 전시회 고유의 특성을 잘 이용한 행사로 평가 받고 있다. 또한, 그린 시티, 그린 경제에 관한 UAE 정부 차원에서의 지원으로 볼 때, 동 전시회의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부다비 신재생에너지 관련 계획도시 MASDAR 참가>
(두바이무역관 자체자료)
5. 참가비 및 입장료
참가비는 독립식 부스의 경우 SQM당 미화 410달러 수준이며, 조명이 포함되어있고 공식 디렉토리에 이름을 올릴 수 있다. 조립식 부스의 경우 9SQM가 최소 공간이며 1SQM당 미화 435달러이다. 방문객의 경우, 입장료는 따로 받지 않고 있으며 사전 등록 및 현장 등록 후 입구에서 뱃지 수령 후 입장이 가능하다.
KOTRA 두바이무역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