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전시회 명 | 한글 | 2014 제 13회 북경 국제 자동차 전시회 부품전 |
영문 | 2014 13th Beijing International Automotive Exhibition | |
개최기간 | 2014.04.20. ~ 2014.04.24 | |
홈페이지 | ||
연혁 | 1990년부터 13번째 개최 | |
규모 ( 20 년 기준) | 70,000 s/m, 14 개국 | |
참가업체수 | 20,000 개사 | |
참관객수 | - 명 | |
전시분야 | 보드, 차체, 차량용품, 자동차 보호용품, 전자전기제품, 신재생 에너지제품, 자동차 네트워크장비 등 | |
한국관 참가현황 | s/m, 13개사 |
- 전시회의 특징
2014북경 국제자동차전시회 부품전은 중국기계공업연합회와 중국기계공업그룹유한공사, 중국 자동차공업협회가 연합하여 주최한 전시회이며 지난 4월 20일부터 24일까지 중국국제전시센터(CIEC: China International Exhibition Center)에서 열렸다. 2년에 한 번 열리는 전시회로 글로벌 A급 자동차 전시회답게 국내외 20,000여 개의 기업들이 참가하였다. 이번 전시회는 ‘자동차와 함께 더 나은 미래로(汽车让未来更美好)’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자동차 부품뿐만 아니라 스마트 자동차 발전 추세에 힘입어 스마트 자동차 관련 상품들까지 폭넓게 다루었다.
- 전시관 구성
CIEC전관을 사용한 이번 전시회는 1관, 2관, 3관, 4관, 5관, 6·7관, 8관으로 나눠져 자동차 부품, 전자전기 제품 등 분야별로 전시해 놓았다. 주요 전시 제품으로는 자동차 내부 부품인 클러치가 주를 이루고 친환경 에너지 자동차 부품과 스마트 자동차 기기도 볼 수 있었다.
▲ 중국관 ruirong &anbang 부품회사 부스 ▲ 대만관
▲ 이동통신 자동차 네트워크 기기 부스 ▲ 대만관
규모가 굉장히 컸고 전시관 마다 테마가 달라 많은 자동차 부품을 볼 수 있었다. 자동차 부품뿐만 아니라 자동차 부품을 절단하는 절단기도 전시를 해놔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끌었고 내부 부품뿐만 아니라 와이퍼, 자동차 후방등, 에어컨필터 등 자동차와 관련된 모든 제품들이 다양하게 전시되어 있었다.
-주요 전시품 트랜드
현재 중국은 미세먼지 문제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친환경 자동차 구매자에게 보조금을 지원하는 이러한 추세로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과 친환경 자동차용 펌프가 전시 되어 있었다. 엔진 기관의 배기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엔진기관이나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하는 전기 수력펌프도 선보였다. 또한 스마트 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카가 출현하여 자동차 네트워크 기기 시장도 눈길을 끌었다. 이 기술은 중국이동통신에서 선보였는데 스마트폰의 데이터를 이용해 차 안에 와이파이 핫스팟을 켜 스마트 카 기기로 인터넷 검색, 네비게이션, 온라인 영상 시청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 기능과 함께 모터상태점검, 원격 진단, 점검 알림 서비스, 운전 스타일 분석 등과 같은 기능도 함께 사용할 수 있게 해놓았다.
▲ 이동통신 자동차 네트워크 기기 시연 ▲ 한국관 GMB 부스
- 한국관 주요품목 소개
한국관은 1B관 입구 쪽에 자리하고 있어 접근성이 좋았고 대부분의 부스들에 들어가 전시품에 관심을 보이면 친절하게 상품에 대한 설명을 해주었다. 전시품목으로는 자동차 차체에 쓰이는 고무제품, 자동차 내 에어컨, 마찰 용접기, 필터류, 모터 등으로 다양한 전시품이 있었다. 그 중에 인기 있었던 부스는 GMB와 Axle motors였다. GMB는 전기 물펌프를 만드는 회사로 현재 트랜드에 맞는 상품이어서 많은 관람객들이 관심을 보였다. 또한 Axle motors는 대형 차량 SUV와, 트럭, 트레일러, 버스의 모터를 생산하는 업체로 부스에 문의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 한국관 ▲ 한국관 우일고무
- 시사점 및 전망
중국의 거대한 자동차 소비 시장에 힘입어 자동차 부품 시장 또한 빠른 속도로 성장 중으로 유망한 시장 중 하나이다. 그러한 시장의 추세는 중국 내 환경오염 문제가 이슈화되어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친환경 자동차 부품이 강세를 보일 것이다. 현재 중국의 미세먼지 문제로 정부에서도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친환경 자동차를 사면 보조금을 지원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친환경 부품들도 더 많이 시장에 나올 것이다. 현 엔진 기관의 배기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엔진기관이나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하는 펌프 또는 전기 자동차의 리튬베터리가 이 시장의 주력 상품이 될 것이다. 또 스마트 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카가 출현하게 되어 자동차 네트워크 상품 시장도 활성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자동차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스마트폰과 스마트카 기기가 함께 데이터를 공유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고 자동차 차량에 관한 정보도 수시로 점검할 수 있어 많은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 것으로 보인다.
KOTRA 베이징무역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