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전시회 명 | 한글 | 사우디 국제 의료전 2014 |
영문 | Saudi health exhibition 2014 | |
개최기간 | 2014년 5월 19일부터 21일 까지 3일 간 개최 | |
홈페이지 | ||
연혁 | 2011년부터 4번째 개최 | |
규모 ( 2014년 기준) | 9000 s/m, 35 개국 | |
참가업체수 | 321 개사 | |
전시분야 | 핵의학, 방사선 치료, 심장 치료 등 의학 전반에 관련한 의료기기 및 관련 서비스, 병원 관리 서비스, 기타 의학 관련 제품 | |
한국관 참가현황 | 2 개사 |
사우디아라비아는 GCC 역내 최고 의료시장이며, 2014년까지 200억 달러 시장규모로 성장이 전망됨. 매년 2.6~3%에 이르는 인구증가율에 비해 의료시설은 매우 부족한 상황으로 사우디 정부는 2011~2016년 동안 121개의 신규 병원 건설과 기존 66개 병원의 시설개설과 함께 다수의 메디컬시티 건설을 추진 중임. 또한 사우디 정부는 2014년 예산안 중 보건 및 사회복지부문에 전년 대비 8% 증가한 SR 1,080억(USD 288억)을 배정하면서 의료산업 확장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임.
해당 전시회에서는 다양한 국가의 헬스케어 제품 생산자, 판매자, 공급자들에게 혁신적인 제품들과 서비스를 선보임. 또한 참가 기업들에게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네트워크 구축의 장을 마련하고 있음. 13년도에는 총 14개국에서 250개사가 참여하였는데 이 중 80%가 2014년도 전시회에 재참가할 정도로 해당 전시회는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음
2014년도 전시회에는 총 35개국 321개사 참가. 26개국 250개사가 참여한 전년도에 비해 참여 국가 및 업체의 수가 증가함. 급속도로 성장하는 사우디 의료시장을 반영하듯 전년에 비해 30%가량 많은 기업이 전시회에 참가한 수치임. 전시회 종료시간까지도 방문객 현장 등록을 위해 줄을 서야할 정도로 활력이 넘치는 모습을 보임.
<전시장 입구, 방문객 등록 창구 모습>
전시관의 전체적인 구조는 대기업들이나 스폰서 기업들의 부스가 중심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기타 기업들은 전시장 외곽 쪽에 집중되어 있는 형태임. 참가 기업이 많은 터키, 프랑스, 캐나다, 독일, 중국, 미국, 파키스탄, 이탈리아, 영국의 경우 국가별로 독립된 국가관을 마련하고 있음. 하지만 가장 많은 98개의 부스가 설치된 사우디아라비아는 국가관을 따로 설치하지 않고 각기 독립적으로 부스를 운영함.
<주요 5개국 부스설치 현황>
(단위: 개)
구분 | 프랑스 | 중국 | 미국 | 터키 | 영국 |
부스설치 기업 수 | 20 | 18 | 17 | 15 | 14 |
<전시회 내부 조감도>
특히, 터키와 캐나다의 국가관의 경우 세련된 디자인을 갖추었으며, 특히 캐나다는 모든 부스를 통합해 개방형 구조의 부스를 설치함. 이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참가 기업수가 많은 반면 일반 부스와 별반 다르지 않은 국가관을 구성한 중국, 파키스탄 등 국가에 비해 방문객들의 많은 이목을 끎.
<캐나다와 터키 기업의 전시회 부스>
전시장에 부스를 마련한 한국 기업은 Neomed Co. Ltd와 ShinHwa Medical 두 기업임.
Neomed는 무릎 재활 보조기, 무릎보호대, 허리보호대, 손목보호대를 전시함. Neomed의 경우 유사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이 없어 많은 현지 에이전트들과 바이어들이 관심을 보임. 회사와 제품 설명을 들은 에이전트의 반응들은 긍정적이었으며 Neomed와의 구체적인 거래를 원하는 기업들도 많았음.
ShinHwa Medical은 3차원 감압치료 교정기와 의료용 조합 자극기들 전시함. 현재 이미 ShinHwa Medical 사우디에 에이전트가 있어 이번 전시회 참가 목적은 새 바이어발굴 바이어와의 미팅에 초점이 맞추고 있었음. 몇 몇 바이어들과 심도 있는 상담을 하였으며 바이어들은 상담과 시범 사용 이후 제품의 품질과 성능에 대해 만족도를 보임. 하지만 두 곳 모두 별도의 국가표시가 되어있지 않아 방문객이 묻기 전까지는 한국기업임을 인지할 수가 없었음.
< ShinHwa Medical과 Neomed Co. Ltd의 전시부스>
사우디 아라비아의 의료 시장은 증가하는 인구로 인한 꾸준한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됨. 또한 가처분 소득의 증가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전체 의료 시장의 전망을 밝음. 해당 전시회는 시장의 주요 기업들이 혁신적인 제품들과 서비스를 선보이는 장이기도 하지만 지역 에이전트와 많은 바이어들이 방문을 함에 따라서 국내기업들이 시장을 개척하는 데에 좋은 기회가 될 것임.
의료기기의 특성상 제품에 대한 품질이나 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중요시 되는 만큼 좋은 품질을 가진 한국 제품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하지만 사우디아라비아의 의료시장이나 해당 전시회에 대한 정보가 부족함에 따라 국내기업들의 참여가 부족한 실정임. 따라서 해당 전시회를 적극 홍보하는 한 편, 참가 기업에게는 국가·시장 정보 및 전시회 참여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