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전시회 명 | 한글 | 제 19회 광저우 국제 조명 전시회 |
영문 | China Import and Export Fair Complex | |
개최기간 | 2014년 6월 9일 ~ 2014년 6월 12일 | |
홈페이지 | ||
연혁 | 1996년 시작 2014년까지 총 19회 | |
규모 ( 2014년 기준) | 220,000/㎡ | |
참가업체수 | 미국, 중국, 한국, 일본, 독일 등 2621家 | |
참관객수 | 약 116,000 | |
전시분야 | 전문조명, 장식조명, LED기술, 광원, 전등, 조명제어 등 | |
한국관 참가현황 | 144s/m, 10개사 |
□ 전시장 구성
전시관 (A관) | 전시관 (B관) | ||||
1.1 | 상업조명 / 장식조명 브랜드 | 1.2 | 장식조명 | 9.2 | LED광원 및 브랜드 조명용구 |
2.1 | 상업조명 브랜드 | 2.2 | 장식조명 | 9.3 | LED광원 및 조명용구 |
3.1 | 전문조명 브랜드 | 3.2 | 조명부품 | 10.2 | LED광원 및 브랜드 조명용구 |
4.1 | 전문조명 브랜드 | 4.2 | 전문조명 | 10.3 | LED광원 및 조명용구 |
5.1 | 야외조명 브랜드 | 5.2 | 전문조명/광원조명 | 11.2 | LED광원 및 조명용구 / 해외관 |
6.1 | LED제작 및 테스트 장치 | 7.1 | LED광원 및 조명 용구 | 11.3 | LED광원 및 조명용구 |
|
| 8.1 | 전문조명/야외조명 | 12.2 | LED 장착 조명 |
|
|
|
| 13.2 | LED 장착 조명 / 조명 기구 / LED기재 |
|
|
|
| 9.1 | 건설전기품 |
|
|
|
| 10.1 | 건설전기품 |
자료원 : 광저우국제조명전시회 홈페이지
- 광저우 국제 조명 전시회는 1996년에 처음 시작해 현재 2014년까지 총 19회에 걸쳐 개최 되고 있음
- 세계 최대 규모의 조명&LED 전문 전시회로 전 세계 메이저급 회사가 대거 참가
- 조명, LED, 디스플레이라는 3대 빛 응용산업을 하나의 테마로 하는 전시회임
- 지명도 높은 조명&LED 전문전시회에 참가함으로써 국제시장 판로 개척 및 세계 최대 시 장인 중국 내수시장 공략을 하고자 함
□ 박람회 특징
○ 대규모 전시회, 다양한 에너지 절약 High Quality LED 제품 전시
- 세계에서 가장 큰 독일 건축조명박람회 다음으로 유명한 박람회로써, 전 세계 바이어들이 참가하는 대규모 전시회임
- 다양한 볼거리와 시장 공략을 위한 홍보용 LED장식조명으로 사람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함
HANDOU LED TOP LED CHARMING
자료원 : 광저우무역관 직접 촬영
□ 한국관 소개
- 이번 한국관 참가 규모는 144 s/m 으로 총 10개 사가 참여 했음
- 참가 업체들의 주요 제품으로는 LED를 기반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LED 조명, LED 모듈 및 SMPS, LED 투광기, LED BOX-LIGHT, 평판조명, 도넛팬던트 외 원형직부타입조명, 열전도 LED 방열소재, 알루미늄 대체친환경 열전도성 소재 등 전기를 절약하는 측면과 자연환경 보호를 위한 제품 까지 다양한 디자인과 성능을 가진 제품들이 전시됨
- 모든 업체가 DLC인증(DLC는 조명 시스템의 고품질, 고성능을 보장하고자 일정 테스트를 통해 제품을 인증하는 기관으로, Energy Star와 함께 Energy Rebate 프로그램 중 하나로 북미 지역 에너지절감 제품 인증 제도) 소유하고 있으며, 중국 내수시장을 넘어서 전 세계 선진국 시장 공략을 목표로 함
NC LED 보조조명 (주)테크자인 실내조명
- NC LED는 보조조명 LED로 High Quality, 심플한 디자인으로 바이어들의 눈길을 사로 잡음. LED제품 특성상 열을 빼내줘야 램프 수명을 단축되지 않게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제품 뒷면에 알루미늄을 촘촘히 박아 열을 빼내는 기술을 사용하여 한 층 더 높은 퀄리티를 보여줌
- (주)테크자인은 LED 실내조명으로 도넛 모양의 조명과 평판조명 LED 디자인으로 모양이 심플하고 예뻐서 바이어들의 이목을 끔. 품질과 성능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특별한 디자인으로 바이어들에게 어필함으로써 성공적인 홍보 효과와 관심을 삼
□ 전시회를 통해 파악된 현지 시장 확대 방안
○ 방안
- 이번 전시회를 통해 중국 시장 확대 방안으로는 기술 협력 차원에서 서로 도와주는 방식을 원하는 바이어가 있었음
- 그 이유는 중국 LED 제품과 한국 LED 제품의 가격 차이가 많이 나고 제품의 질 또한 차이가 나기 때문에 경쟁 구도로 나아가기 보다는 중국에 널리 분포 되어있는 공장과 기술을 협력하여 같이 제조, 생산 한다면 적은 인건비로 많은 생산을 할 수 있음
□ 전시회 참가 종합평가
○ 이번 2014 광저우 국제 조명전시회도 조명&LED 전문전시회에 맞게 큰 규모와 높은 명성을 자랑했음.
기존보다 한층 더 업그레이드되었으며, 색다르고 다양한 디자인 구성으로 많은 바이어와 관람객의 이목 을 집중시킴
○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전시회 규모인 만큼 그 규모를 채운 기업이 대부분 중국 기업이었음. 중국의 주요 수출 국가는 러시아, 터키, 폴란드, 인도 시장 등으로 제품의 디자인은 큰 차별이 없지만 본 국에 다수의 공장을 소유하고 있으므로 고품질의 제품보단 대량 생산을 하여 다량의 제품을 값싸게 거래하려고 함
○ 이렇다보니, 한국과 중국가의 가격 경쟁력은 맞춰질 수 없는 부분임. 다시 말해, 한국의 제품은 고성능, 고품질인 대신 가격이 비싼 반면 중국은 낮은 성능으로 값싸게 물품을 대량으로 판매하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은 없다고 보아야 함
○ 이에 따라, 한국은 미국, 유럽, 중동 등 선진국 시장을 목표로 두고 있지만, 중국은 아시아 쪽을 겨냥하여 저가 시장을 노리는 추세임. 결론적으로, 중국 내수시장을 장악하려는 생각보다는 중국 LED 조명 산업과 협력하여 함께 win-win 하는 전략으로 기술을 공유하고 산업 체인에 기반한 협력을 추진 한다면 세계 시장을 함께 점유 할 수 있을 것임
KOTRA 광저우무역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