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리포트EXHIBITION REPORT
업종별 박람회
전시회 명 | 한글 | 2014 중국 심천 국제 전지 전시회 |
영문 | The 11th China International Battery Fair | |
개최기간 | 2014. 06. 18 - 2014. 06. 20(3일간) | |
홈페이지 | ||
연혁 | 1992년부터 2014년까지 11번째 개최 | |
규모 ( 2014년 기준) | 60000s/m, 35 개국 | |
참가업체수 | 980개사 | |
참관객수 | - | |
전시분야 | 각종 전지 및 조합전지, 동력전지 및 관리 시스템, 전동 자동차 충전소 및 관련 부대시설, 각종 에너지 저장 전지, 태양전지, 시스템 및 관련 응용제품, 전지용 생산설비, 테스트기기, 원자재, 부품 등, 전지산업용폐물처리설비, 전지회수처리기술 및 설비 등, 전지테스트 및 인증기관 등. | |
한국관 참가현황 | 126s/m, 13개사 |
□전시회의 특징
○CIBF는 중국 최대 규모의 국제전지전문전시회로서 2년간 1차례씩 중국의 심천에서 개최됨. CIBF2014는 국내외 기업들에게 교류의 장을 제공하며, 대리판매 업체, 수입업체, 제조업체 등 참관 바이어들에게는 우수한 상품을 접할 수 있는 기회와 비즈니스의 장이 되었음.
○동 전시회에는 국내외 유명 기업들과 브랜드들이 대거 참가했음. 참가국으로는 중국, 일본, 한국, 미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를 비롯하여, 대만과 홍콩 등 35개국의 900개 이상의 업체가 참가했음. 특히, 독일, 한국, 대만은 비교적 많은 수의 업체들이 조직을 이루어 동 전시회에 참가했음.
□한국관 주요품목 소개 및 동향, 바이어 반응
○한국관 주요 품목 소개
배터리 테스트 설비, 2차전지 분리만, 배터리, BMS, PCM, SM 검사장비, 축전지 품질 진단장비, LIBF 생산설비, 재생 전지, 충⦁방전기 등.
○한국 제품의 경우, 현 시장의 중국 제품과 비교했을 때, 기술적으로 매우 우수하지만, 관련 중국 업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술력 또한 발달하고 있어 다른 경쟁력이 필요함. 무엇보다 중국의 전지 제조사는 중국 내 제품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 우리 제품의 시장 진입에 어려움이 따름.
○한국관을 찾은 중국 바이어들은 우리 제품의 품질적인 부분이나 공정 기술 부분에 있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임. 하지만 대부분 여전히 우리 제품의 가격이 높다는 의견을 보이며, 저렴한 가격 제시를 요청하는 경향이 있음.
□전시회 참가 종합 평가
○동 산업의 한국 업체들은 마케팅, 홍보, 유망 바이어 접촉의 어려움등 으로 인해, 중국 시장 진입이 다소 늦어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동 전시회에 참가함으로 인하여 관련 산업 중국 고객 및 구매 담당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가능했음.
○총 13개의 한국 업체들은 한국관을 구성하여 동 전시회에 참여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기업 이미지를 상승 시킬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자사의 제품을 중국 시장에 홍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음.
□주목 끄는 부대행사
○제11회 중국 국제 전지 기술 교류회 포럼 주제
-전동차 및 에너지 저장 전지 국가 프로젝트 와 세계 시장 전망
-선진 전지 시스템의 혁신
-선진 에너지 저장 전지응용
-선진 에너지 저장 전지 개발
-전동차 및 에너지 저장 전지 재료 개발 등
○업계 최고 전문가들이 모인 최첨단 기술 포럼
-CIBF2014 기술교류회는 "동력전지와 에너지 저장 전지"를 주제로 진행됨. 본 기술교류회에서는 전동차 전지 및 스마트 전력계량 에너지 저장 전지의 시장 진입에 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룸. 50여 개국 및 지역에서 초청한 800여명의 업계 전문가들과 학자, 기업가들이 본 포럼에 첨가했음. 본 기술교류회 뿐만 아니라 신제품기술발표회, 국제 전지 수출 상담회가 함께 개최되었음.
□참가비 및 입장료
○표준부스
-국내 자본 기업: 9000위엔/9m2
-국외 합자 및 독자 기업: 12000위엔/9m2
-국외 및 홍콩, 마카오, 대만 기업: 2800달러/9m2
(※ 개방형부스 10% 추가 부가세 지불 )
○특별부스 (최소 36m2, 전시품 전시기간 관리비 미포함)
-국내 자본 기업: 900위엔/m2
-국외 합자 및 독자기업: 1200위엔/m2
-국외 및 홍콩, 마카오, 대만 기업: 280달러/m2
KOTRA 광저우무역관